[374] 1.5세대, NZ 고등학교에서 통계청 근무까지 - 김도균씨

[374] 1.5세대, NZ 고등학교에서 통계청 근무까지 - 김도균씨

0 개 6,151 KoreaTimes
- 통계학 전공, 뉴질랜드 통계청 근무 김도균씨 -

Statistics NewZealand, 뉴질랜드 통계청에서 근무하는 1.5세대 교민 김도균씨. 약 10년 전 뉴질랜드로 이민을 결정하신 부모님을 따라 오클랜드 남쪽지역에 정착하게 됐다는 김씨는 철없던 고등학교 시절을 떠오르며 ‘공부 좀 열심히 둬서 성적 관리 좀할걸…….’ 이라고 말해 듣는 이를 공감하게 만들었다. 물론 모든 사람들이 후회해 봐도 되돌릴 수 없는 대학 성적,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 함께 했던 친구들과의 추억은 어느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며 인간관계 또한 사회생활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는 김도균씨를 만나 보았다.

  고등학교시절 뉴질랜드로 이민 와서 적응하기가 남들 못지 않게 힘들었을 텐데 그는 방과 후에는 누나와 함께 상추농사를 지으시는 부모님을 도와 모자란 일손을 채우며 바쁘게 지냈다고 한다. “상추농사는 수경재배라 하우스와 수로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작업들을 저희 가족이 함께 만들어 갔어요. 정말 힘들었죠" 본격적으로 상추가 나올 시기에는 방과 후 매일매일 상추농장에서 힘들게 일을 하고, 주말에는 부모님께 용돈을 받아 친구들과 나가서 놀기도 했죠." 그는 이러한 고등학교시절 가운데 철없던 고등학교 시절을 회상하기도 했다. “가끔은 아픈 척 하고 학교도 빠졌어요. 대학교를 가기 위해 당시 버서리시험 (수능시험)을 치러야 했는데 성적이 무지 안 좋았죠. 오죽하면 고등학교 생물학 선생님이 대학교 갈 성적이 안 된다고 말씀을 하실 정도였으니까요.(웃음)”그러나 그는 무조건 대학교에 들어가야 겠다는 열정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교 에 입학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김씨는 2001년 대학교에  입학을 하게 되었고 화학 전공, 환경과학 부전공을 선택했다. "2001년 대학교 입학부터 2002년까지 대학교를 다니면서 총 14 과목을 들었는데 2년 동안 패스한 과목이 전부 3과목 밖에 안 되더군요." 그는 이런 저런 생각 끝에 2003년은 휴학계를 제출하고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 연말에는 유럽여행을 다녀왔다고 한다.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재충전을 하여 2004년 다시 대학교로 돌아왔고 그 동안 못다 채운 과목들의 점수를 채우며 전공도 통계학으로 변경하여 2005년 대학교를 졸업하게 되었다.        
          
  대학과정을 마치고 그에게 또다시 닥쳐온 고민거리는 직장문제였다.“2005년 대학을 졸업 하고 직장을 찾아 여러 군데 이력서도 넣어 봤지만 인터뷰 요청조차 들어오지 않더라고요.”당시 가족과 떨어져 한국에서 취업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던 김씨는 어떻게 해서든지 뉴질랜드 사회에서 직장을 찾아야 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어려운 취업난으로 학력을 높여야겠다고 생각한 그는 대학교 졸업 후 대학원(Postgraduate Diploma), 1년 과정을 선택했지만 이 또한 만만치 않은 높은 벽이었다. “대학원 과정은 상당히 힘들었죠. 뭐 다른 학문 역시 힘들겠지만, 통계학은 대학원 과정으로 들어가면 이론도 많이 나오고 공부하는 양 또한 엄청나죠. 머리 좋은 친구들도 너무 많아 그들을 따라가기도 힘들었어요.”

  대학원 졸업을 앞두고 여러 회사에 이력서를 제출했으나 이번에도 역시 연락 오는 곳은 없었다고. 그는 대학원 졸업 후 우연히 뉴질랜드 통계청에서 졸업자들을 위한‘신입사원채용' 프로그램이 있다는 소식에 이력서를 제출했지만 불합격의 아픔을 겪었다. 그 후 2007년 Master(석사)과정을 다니면서 몇 달이 지난 뒤 김씨는 통계청으로부터 인터뷰를 봤으면 좋겠다는 연락을 다시 받았다. 통계청은 이미 포기하고 생각하지도 못한 상태였는데 운이 좋게도 그는 인터뷰에 합격하여 사회의 첫 발을 통계청에 내딛게 되는 기쁨을 얻었고 이로 인해 석사과정은 중간에 하차하게 되었다.

  통계청에서 주로 하는 일들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는 질문에“저는 Consumers Price Index 즉 CPI 소비자 물가지수 팀에서 CPI를 분기마다 내 놓는 일을 하고 있어요. 매달마다 Food Price Index를 달기도 합니다. CPI는 어느 한 국가가 내 놓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 중 하나죠. 가장 중요하고 스케일이 좀 더 큰 게 GDP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이고요. CPI는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보시면 되요. CPI는 중앙은행 (Reserve Bank)에서 기준금리(OCR, Official Cash Rate)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쓰는 자료입니다. OCR은 시중은행의 이자율을 결정 하고요. CPI가 높게 나오면 물가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OCR을 올리고 경기가 나빠지면 OCR을 떨어뜨리죠. 이거 이상 말씀 드리는 건 국가 기밀상……. 저희가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느냐는 국회의원들조차도 함부로 못 건드리는 소재입니다.(웃음)”라며 궁금했던 김씨의 주요 업무 내용을 설명해 주기도 했다. 그는 한 국가의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를 내 손으로 만진다는 것에 자부심도 생기고 일을 잘해서 인정받을 때는 보람을 느끼지만, 팀원들과 함께 일을 하다가 실수가 생길 때는 굉장히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김도균씨는 무엇보다도 경력을 중요시 하는 뉴질랜드 사회에서 1.5세대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직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뉴질랜드 사람들은 어렸을 때부터 자기 힘으로 돈을 벌고 경력을 많이 쌓는 반면, 1.5세대의 경우 뉴질랜드에서 공부하면서  경력을 쌓기가 매우 힘들다. 하지만 버거킹과 같은 패스트푸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세금신고를 했다면 이는 모두 경력으로 이력서를 적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는 이어 경력뿐만 아니라 인맥형성 또한 직장을 구하고, 사회생활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덧 붙인다.

   김씨는 경력을 쌓기 위해 버거킹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했고, 인맥을 통해 마누카우 지방법원에서 통역가로 일을 했다고 한다. 뉴질랜드 사회에서 경력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 하냐는 질문에 그는 “회사는 대부분이 단체 활동이므로, 이 사람이 단체 활동을 할 때 어떻게 행동하느냐가 회사가 유기적으로 돌아가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 이기 때문 이라고 생각해요. 즉 사회성이나 위기 해결능력을 보는 거죠.” 젊음의 열정으로 과감하게 대학교 휴학계를 내던지고 돈을 벌어 유럽여행을 떠난 김도균씨. 대학과정에서 취업까지 많은 실패와 좌절감을 겪었지만 그는 목표를 세워 하나하나 단계별로 올라갔고 결국 뉴질랜드 사회의 자랑스러운 교민 1.5세대로 한국인 국회의원을 꿈꾸며 당당하게 살아가고 있다.


글: 이강진 기자 (reporter@koreatimes.co.nz)

스포츠 물리치료사, 매 순간 긴장과 보람이 교차, 박 태중

댓글 0 | 조회 713 | 14시간전
스포츠 팀 물리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한인이 있다. North Shore Rugby FC … 더보기

뉴질랜드 '제2회 한식요리 경연대회' 성료

댓글 0 | 조회 588 | 14시간전
<- "‘한식요리 경연대회’로 K-푸드 열풍 입증, 진혜자 참가자 종합 우승 영예"-… 더보기

민화로 소통하는 사람들! 정 지연

댓글 0 | 조회 567 | 2025.06.24
수백 년의 시공간을 넘어 한국 전통의 미를 현대에 소환하는 예술, 민화. 민화는 조선 시대… 더보기

빈곤한 이웃과 함께 하는 삶! 송 미령

댓글 0 | 조회 1,262 | 2025.06.09
차가운 겨울바람처럼 매서운 경제 한파 속에서, 봉사의 손길마저 움츠러들고 있는 요즘이다. … 더보기

마오리 교육기관(Te Wananga o Aotearoa)

댓글 0 | 조회 700 | 2025.06.09
< - "정부지원 무료 비즈니스과정, 영주권자, 시민권자 대상 신청 가능"->마… 더보기

메시 고등학교 학생회장, 특별한 만남! 김 가은

댓글 0 | 조회 2,361 | 2025.05.27
메시 고등학교에서 학생회장(Head Girl)으로서 바쁜 마지막 13학년 학교생활을 보내고… 더보기

"<한-뉴질랜드 FTA 체결 10주년 기념 행사 >"

댓글 0 | 조회 734 | 2025.05.27
< - "오는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지 오클랜드와 웰링턴에서 뜻깊은 행사"-&g… 더보기

"<민주평통, 제21기 협의회를 마무리하며.. >"

댓글 0 | 조회 1,407 | 2025.05.13
< - "제21기 마무리 앞두고 한국 산불 피해 복구에 온정 나눠"->남반구의 … 더보기

타국에서 피워낸 한국 전통음악, 가야금의 아름다움! 이 설

댓글 0 | 조회 805 | 2025.05.13
남반구의 푸른 하늘 아래, 아름다운 자연을 품은 뉴질랜드에서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의 맑… 더보기

하얀 도복의 뜨거운 열정! 올림픽 도전 ! 전 민국

댓글 0 | 조회 1,742 | 2025.04.22
하얀 도복에 담긴 뜨거운 열정, 검은 띠에 새겨진 굳건한 의지가 보인다. 뉴질랜드 태권도 …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해외 유권자 참여하세요!

댓글 0 | 조회 1,362 | 2025.04.22
< - " 4월 24일까지 국외부재자 신고 및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해야.."->… 더보기

축구로 행복을 찾는 사람들... 정 원식

댓글 0 | 조회 1,670 | 2025.04.08
축구에 대한 열정으로 매주 만나는 한인들이 있다. 선수 출신들은 아니지만 축구에 대한 열정… 더보기

<Good Physio (굿 피지오) >

댓글 0 | 조회 1,991 | 2025.04.08
< - "환자들의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 최상의 컨디션 위해 최선.."->Goo… 더보기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뉴질랜드 해병 전우회! 윤 근채

댓글 0 | 조회 2,042 | 2025.03.25
매년 4월이면 뉴질랜드의 안작데이(ANZAC Day)가 있는 달이다. 이날은 뉴질랜드와 호… 더보기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제 20회 정기 공연 성료

댓글 0 | 조회 629 | 2025.03.25
< - "기타 앙상블 공연 제목은 한국(KOREA), 300여명 관객 무료 입장 ..… 더보기

웹툰 작가를 꿈꾼다! 윤 채빈

댓글 0 | 조회 1,578 | 2025.03.11
웹툰 작가를 위해 공부하고 있는 한인 학생이 있다. 누구나 어렸을 때 만화 책에 대한 추억… 더보기

뉴질랜드 사람들의 눈을 홀리는 한국의 부채춤! 티나 킴

댓글 0 | 조회 1,656 | 2025.02.25
한국의 정통 춤, 무대 위에서 부채와 한복이 만들어내는 화려한 색감과 아름다움의 동작으로 … 더보기

오클랜드 한인 로타리 클럽, 6차 응급처치 교육

댓글 0 | 조회 1,263 | 2025.02.25
< - " 한인들 대상으로 응급처치법 교육의 기회, 100명의 응급처치원 배출.."-… 더보기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지휘자, 임 종인

댓글 0 | 조회 897 | 2025.02.12
뉴질랜드 한인 학생들의 음악을 위해 20년을 지휘자로 지켜온 한인 음악가가 있다. 20년전… 더보기

뉴질랜드 외과의사를 꿈꾼다! 김 성윤

댓글 0 | 조회 3,789 | 2025.01.29
뉴질랜드 외과 의사를 꿈 꾸고 있는 한인 학생이 있다. 혹스베이(Hawke’s Bay) 고… 더보기

2025년 설날 행사,한국교육원, 행복누리, 하버 스포츠..

댓글 0 | 조회 1,124 | 2025.01.29
<행복누리 설날 대잔치>행복누리 설날 대잔치에 많은 한인들을 초대한다. 가족, … 더보기

즐거움의 매력을 느끼는 모토사이클 라이더! 류 동연

댓글 0 | 조회 1,498 | 2025.01.14
모토사이클에 대한 진심 어린 애정을 가지고 있는 한인들이 있다. 이들은 모토사이클을 통해 … 더보기

리디아 고, 뉴질랜드 최고 시민 훈장…역대 최연소

댓글 0 | 조회 1,971 | 2025.01.14
리디아 고가 지난 12월 24일 뉴질랜드에 입국해서 뉴질랜드 정부, 2024년 뉴질랜드를 … 더보기

JET PARK 호텔, 마켓 총괄(Wholesale and Inbound), 제시…

댓글 0 | 조회 2,141 | 2024.12.18
여행업에 종사하는 한인들과 아시안들이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송년행사를 가졌다. 아시안 여행… 더보기

한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사, 안젤라 림

댓글 0 | 조회 2,577 | 2024.12.03
뉴질랜드에서 살고 있는 아시안들의 위해 건강과 사회복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