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장애인도 독립할 수 있습니다.- IDEA서비스, 사회복지사 이재완 氏

[359] 장애인도 독립할 수 있습니다.- IDEA서비스, 사회복지사 이재완 氏

0 개 4,958 KoreaTimes
뉴질랜드의 장애인 복지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공간에 장애인을 위한 시설을 마련해 놓고 있어, 혼자 길을 나서도 이동이나 활동에 거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그들과 융화하는 사회적인 인식수준도 높다.

이재완(32세)씨가 뉴질랜드 행을 결심한 것도, 이 곳의 복지 정책을 공부하기 위해서 였다.

"한국은 사실 장애인 복지 면에서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정부 지원금이 개인이 아닌 시설이나 프로그램에 투자되죠. 이 곳은 각 장애 케이스를 위한 매뉴얼이 있어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직접 지원하는 시스템이예요. 분야별 전문 케이스매니저가 각 가정을 방문해 뭐가 필요한지 알아내고, 보호자와 상의를 거친 후 지원하는 방식이죠.”

레크레이션을 전공한 그는, 수 년간 한국 치료 레크레이션 협회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치료 레크레이션이란 자폐나 정신 지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등을 대상으로 레크레이션을 통해 심리적 치유를 돕는 일이다. 그 분야를 좀 더 공부하기 위해 지난 2000년 유학생 신분으로 뉴질랜드를 찾은 그는 결국 정착을 결심하고 작년에 영주권을 받았다. “우여곡절이 많았어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영주권을 얻는 과정에서 사람에게 치이고 고생도 많이 했죠. 다행히 제 분야인 지적장애인 관련 복지 인력이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이더군요. 일이 힘들고 사명감이 필요한 분야니 만큼 이직율도 높죠. 현재 근무하는 기관에 맨땅에 헤딩하듯 이력서를 넣고, 잡오퍼도 얻었어요. 제가 필요한 사람이라는 게 확인이 되니 적극적으로 도와주더라구요. 그 때부터 남보다 제 자신을 더 믿게 됐죠.”

IDEA서비스에 햇수로 2년째 몸담고 있는 그는, 요즘 한국인 전용 그룹 홈을 만들기 위한 작업에 분주하다.

"그룹 홈은 이미 성인이 돼 독립이 필요한 지적 장애인들로 이뤄진 가정입니다.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언제까지 부모에게 의지하면서 살수는 없잖아요. 16~17세 정도가 되면 그룹 홈을 꾸려서 비슷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사는 거죠.”

그가 한국인만으로 이루어진 그룹 홈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유는 지적 장애인들이 가진 특수성과 문화적 차이가 가져오는 갈등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식사예요. 자폐의 특성상 먹던 음식이 아니면 다 토해내죠. 그건 고쳐지는 문제가 아닙니다. 한국인 신청자가 4명 이상만 되면 별도의 그룹 홈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생활하는 당사자들이나 부모님들이 훨씬 편해지겠죠.”

마치 자식을 버리는 것 같은 죄책감에, 그룹홈 입소를 망설이는 건 비단 한국 부모들 뿐만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새로운 가정에 적응하게 되면 본인들에게도 좋고 부모님들의 삶도 180도 달라진다.”라고 조언한다.

다음 달, 7월 4일 수요일 오후7시에 한국인을 위한 그룹홈에 관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장소는 3047 Great North Rd. New Lynn, Westpac 건물 G 층이며, 관심있는 교민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다. 아울러, IDEA 서비스는 장애인 복지 업무에 관심있는 풀타임 또는 파트타임 사회복지사 (Community Support Worker)를 모집 중이다. 이재완 씨는 전체적으로 일손이 부족하지만 특히 한국인 스탶들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힘든 만큼 보람도 큰 직업이니 만큼 교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문의: 021-231-3613 (이재완), leejaeyoan@msn.com


IDEA 서비스란?

IDEA (Intellectual Disability Empowerment in Action)서비스는 지적 장애인이라 불리는 정신 지체, 자폐, 다운증후군 환자 등이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 IHC의 부속기관으로, 장애인 가정을 방문해 도움을 주는 홈 서포트 케어, 성인이 된 장애인의 독립을 돕는 레지덴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연희 기자 (reporter@koreatimes.co.nz)

[354] 나는 태권도 외교관 - 오진근 관장

댓글 0 | 조회 4,940 | 2008.07.26
2004년, 뉴질랜드 태권도 사상 최초로 올림픽에 출전한 베리나 위홍이(Verina Wih… 더보기

[355] "우리는 코리안 키위입니다."-이홍규 보좌관

댓글 0 | 조회 4,687 | 2008.07.26
뉴질랜드 최초의 아시아인 국회의원으로 이미 언론과 여성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던 Pansy… 더보기

[356] 제 9 대 재 뉴질랜드 한인 회장 단독 출마자 - 유시청 후보

댓글 0 | 조회 4,473 | 2008.07.26
제 9 대 재 뉴질랜드 한인회장 선거일이 몇 일 앞으로 다가왔다. 5월 12일에 있을 이 … 더보기

[357]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CAB 다국어 정보서비스, 정택일氏

댓글 0 | 조회 3,813 | 2008.07.26
비영리 단체인 CAB (Citizens Advice Bureau)가 이민자들을 위해 운영하… 더보기

[358] 치과의사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 신세대 의사 정혜원씨

댓글 0 | 조회 6,092 | 2008.07.26
많은 사람들이 동경하는 직업 10가지를 꼽으라면,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아마 치과의사… 더보기

현재 [359] 장애인도 독립할 수 있습니다.- IDEA서비스, 사회복지사 이재완 氏

댓글 0 | 조회 4,959 | 2008.07.26
뉴질랜드의 장애인 복지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든 공간에 장애인을 … 더보기

[360] "바다를 극복하면, 인생이 달라진다." - 교육사업가, 수 앤더슨

댓글 0 | 조회 3,754 | 2008.07.26
누구를 만나는지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는 말은 정말 맞아요. 그런 의미에서 남편과 Glen… 더보기

[361] 삼성전자 뉴질랜드 지점, 민대기 지점장

댓글 0 | 조회 8,877 | 2008.07.26
삼성전자가 본격적인 뉴질랜드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지난 7월3일 아오테아 광장 컨벤션 센… 더보기

[362] 아그로돔 한국인 매니저, 찰스씨를 만나다.

댓글 0 | 조회 4,571 | 2008.07.26
뉴질랜드를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들이 꼭 한 번 들르는 곳으로 로토루아의 아그로돔을 빼 놓을… 더보기

[363] 이 것이 카리스마 경영이다. - 애너벨스 대표 수잔 조

댓글 0 | 조회 4,730 | 2008.07.26
옛날 오래 오래 전에 바닷가 한 왕국에 애너벨 리라 불리는 한 소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 더보기

[364] "잘 지어진 집은 최고의 명품" - 최연소 한국인 건축사, 박준현氏

댓글 0 | 조회 7,687 | 2008.07.26
뉴질랜드에서 Registered Architect, 즉 건축사가 되기 위한 시험을 보려면 … 더보기

[365] 아시아 다운언더 제작자 멜리사 리

댓글 0 | 조회 4,222 | 2008.07.26
아시아인의 눈으로 아시아를 전한다. 아시아 다운언더 제작자, 멜리사 리일요일 아침 8시 3… 더보기

[366] '이민 30년, 이 남자가 사는 법'

댓글 0 | 조회 6,361 | 2008.07.26
Mental health social worker, 윤기중씨의 인생철학 중년 이후의 얼굴은… 더보기

[369] NZ 고등학교 수석 졸업 김용정군

댓글 0 | 조회 5,831 | 2008.07.26
공부 잘하는 비법은 무엇일까? 공부뿐만 아니라 영어는 기본 적으로 잘 해야 하 는 이 곳에… 더보기

[367] '실력보다는 감정이 더 중요하죠' - 김채린씨

댓글 0 | 조회 5,246 | 2008.07.26
노력한 자에게는 그만큼의 성과가 주어진다... 어려서부터 음악에 대한 사랑이 유난히 깊어 … 더보기

[368] "건강한 이민 생활 하세요"- Health Service Manager…

댓글 0 | 조회 6,601 | 2008.07.26
한국에서 이민 온지 6년,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서 뉴질랜드로 발걸음 하였다. 아이들과 함께… 더보기

[370] 건강한 미래, 테니스와 함께 하세요 - 한국인 테니스 코치, 이성호씨 …

댓글 0 | 조회 5,777 | 2008.07.26
뉴질랜드에서 테니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편화 되어 있어 다양한 연령층으로부터 큰 사랑을 받… 더보기

[371] '나이와 영어' 극복할 수 있습니다.- Registered Electr…

댓글 0 | 조회 6,359 | 2008.07.26
한국에서 20년간 근무한 회사의 구조조정으로 40대 중반에 회사를 그만둔 정경헌씨. 그는 … 더보기

[372] 미지의 도시, 두려워 말고 도전하세요- 퀸스타운 교민 이삼율씨 -

댓글 0 | 조회 6,156 | 2008.07.26
"내 나이 26세, 남들은 바늘구멍과 같은 취업전선의 좁은 틈새를 지나 직장 이라는 배에 … 더보기

[373]삶 자체가 영화 같다는 말처럼 인생은 행복 그 자체

댓글 0 | 조회 5,526 | 2008.07.26
-KTOC (재뉴 한인 인 바운드 여행업 협회) 회장 강근영-"어머니! 뉴질랜드 가서 한 … 더보기

[374] 1.5세대, NZ 고등학교에서 통계청 근무까지 - 김도균씨

댓글 0 | 조회 5,969 | 2008.07.26
- 통계학 전공, 뉴질랜드 통계청 근무 김도균씨 -Statistics NewZealand,… 더보기

[375] 교민사회 이끌어 갈 차세대 주자들

댓글 0 | 조회 5,283 | 2008.07.26
- Auckland, AUT, Massy대학 회장 및 임원진 인터뷰 -앞으로 뉴질랜드 한인… 더보기

[376] 나는 비행기를 날게 하는 Avionic-Air New Zealand 항…

댓글 0 | 조회 9,079 | 2008.07.26
'Air New Zealand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 어렸을 적 누군가 나에게“커서 무엇이… 더보기

[377] 한국인을 위한 교민 최초 Business Banking Manager

댓글 0 | 조회 5,804 | 2008.07.26
- The National Bank 의 신현주씨 -"뉴질랜드로 이민 오기 전 저는 한국에서… 더보기

[378] NZ 야생 한국인삼재배의 개척과 성공 - 이재현씨

댓글 0 | 조회 6,392 | 2008.07.26
"1999년에 아내와 함께 뉴질랜드로 여행을 오게 되었는데 그 당시 한국 교민들이 사는 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