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클랜드 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박사(PhD) 졸업 - 임 동빈 박사

오클랜드 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박사(PhD) 졸업 - 임 동빈 박사

0 개 7,452 코리아포스트
/Interview/

“한국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하여 한국 문화를 포함한 동아 문화를 연구하고, 또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시작점을 찍었다고 생각합니다.”


   서구전통문화의 연속이라 할 수 있는 뉴질랜드에서 한국의 전통 건축 문화를 연구하는 것은 어려움과 함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자료입수와 주제의 토의가 어려운 환경적인 제한이 있지만, 한국의 전통 건축을 서구문화에서 공부한다는 면에서는 더욱 의미 있고 동양과 서양의 대비적 관점을 깊숙이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고국을 떠나 타지에 이민 와서 한국의 역사적인 전통 건축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40대가 거의 다되어 오클랜드 대학교 건축학과(The University of Auckland, School of Architecture) 대학원을 선택한 교민 임 동빈 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 (중국, 한국, 일본 그리고 베트남 문화를 말함) 전통 건축의 의미를 그 문화사상의 맥락 속에서 찾으려 하였다. 석사 과정을 마친 후 그는 동아 전통 사상의 대강을 깨우치면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하고자 박사 과정을 밟았고 논문을 완성하여 졸업하였다.

   전통적인 농촌 주택과 생활을 간직한 충청남도의 한 농촌 가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임 동빈 박사는 “어릴 때부터 건축적인 면에 관심이 많았으며, 건축이란 것이 생산자(건축가)나 소비자(건축주) 어느 편에서든 지간에, 모든 사람의 삶에 중요 요소를 이루고 있어서 한 번 해 볼만한 일이라고 생각했고, 대학교 입학 시에 건축공학과를 선택해 건축설계를 공부하면서 건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대학 졸업 후 설계사무소에 입사하여 전문가로서 일을 하게 되었으나 1993년 건축 설계 외에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다고 느껴 경제학이나 사회학과 같은 건축과 관련된 분야를 다양하게 관심을 갖고 탐구하기 시작했죠. 물론 이는 갑자기 시작한 것은 아니고 대학 재학시절부터 관심이 있었는데 보다 집중적으로 탐구했다는 것입니다.”라며 건축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와 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1993년 뉴질랜드에서 이민을 받는다는 정보를 접하게 되었고, 결국 그는 뉴질랜드 이민을 신청해 영주권을 받게 되었다. “뉴질랜드는 우선 한국보다 전공의 선택의 기회가 좀 더 자유롭고 학비도 저렴해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지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클랜드 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과정을 입학신청을 했습니다. 대학에서 지도 교수님을 찾아보던 중 석.박사 모두 지도해준 교수님께서 ‘한국전통건축’에 대해 연구해 보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을 하셨어요. 한국 전통 건축은 제가 태어난 집이 속한 건축이고 어린 시절을 그 곳에서 보냈기 때문에 유리한 입장에서 연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 그 제안을 쉽게 받아들였습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우리말로 하면 ‘한국전통건축의 자연순응’인데 영어로는 ‘Tangible and Intangible Complian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이다. 서구전통이나 현대의 세계관을 가지고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라 한다. 그는 “동아의 자연관은 서구 역사에서의 신의 세계까지를 포함한 영역이 자연이었기에 그 자연관에 맞추어 문화 를 해석하여야 하고 그 자연의 범주와 다른 자연관에 근거한 문화와 현상만을 직접 비교하는 것을 경계하여야 합니다. 즉, 서구전통문화와 우리전통문화를 드러난 현상만을 가지고 비교하는 것은 올지 않다고 봅니다. 그 직접적인 예는 동아건축과 서구건축을 건물만 가지고 비교하는 것입니다. 서구에는 그리스 로마 뿐 아니라 그 이전에도 건축가라는 개념이 존재 했고 동아에서는 조선시대 말 까지도 건축가라는 개념이 없었고 목수만이 있었습니다. 대신 풍수라는 사고가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건물의 단순비교는 그 의미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죠. 아예 건축에 대한 관념이 서로 다른 역사를 갖고 있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심하게 말한다면, 서구건물과 동아의 건물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건물과 조각품을 비교하는 경우처럼 맞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 건축은 서구전통의 연속선 상에 있는 것인데, 저의 연구는 그러한 현대에 동아 전통 문화에서의 건축관을 찾아서 정립시키자는 것입니다. 아직도 동아의 건축관이 무엇이라는 결론은 세워지지 않은 상태인데 이는 동아의 철학에 대한 정립이 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동아의 철학도 건축의 경우처럼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고 그 정의가 모호하죠. 그 이유는 현대 철학을 기준으로 해 보면 동아 역사의 주요사상인 유교나 도교가 철학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죠. 철학이라기 보다 종교에 가깝다 하기도 하지만 한편에서는 종교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죠. 그래서 철학도 종교도 아닌 것이 유교와 도교라고 하면 동아 역사는 철학도 종교도 없는 역사가 되어지는 것이죠. 철학과 종교에 대한 개념과 정의가 바뀌어야 유교와 도교를 철학 또는 종교라고 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건축에 대한 개념이 세계관과 함께 바뀌지 않고는 동아의 건축을 건축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즉, 개념과 관점을 맞추어 가는 것이 동아건축을 이해하는데 필요하고, 동아의 건축관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현대의 건축관과 세계관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전통시대 세계관에서 현대 세계관으로 바꾸었듯이 현대의 세계관도 때에 따라서 다른 세계관으로 바꿀 수 있다고 보는 자세가 필요한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전통연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천 년간 유지해온 우리동아문화가 무언가 유지할 가치가 있기에 수천 년간 변함없이 유지해온 것이라고 보고 저는 그것의 바탕을 캐는 연구를 하려 합니다.”라며“한국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하여 한국 문화를 포함한 동아 문화를 연구하고, 또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시작점을 찍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한다.

   실제로 그는 세계에서 한국 사람으로는 5번째로 한국 전통 건축을 영어권 국가에서 영어로 논문을 쓴 사람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한국전통건축에 대한 논문을 영어로 쓴 사람은 1980년대 3명이 있었고, 호주에서는 1990년대 말에 1명이 있었다고 한다.

   임 박사가 졸업한 오클랜드 건축학과는 세계적 수준을 자랑하며, 최고 수준의 교수진들과 스탭들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이 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자랑한다. 평소에도 동양학에 관련한 다양한 서적을 즐겨 읽는다는 그는 집 서재에만 2천 권이 넘는 책들이 책장에 빼곡히 자리잡고 있다며, 다양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주제를 좇아가는 독서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동양과 서양 두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장,단점을 잘 비교해 연구하면 현재를 뛰어넘는 새로운 문화의 기초를 만들 수 있겠다고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꾸준히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죠. 저의 연구를 앞으로도 계속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한다. 젊었을 때 한 전공에만 매어 있는 것 보다는 폭넓게 관심을 갖고 다양하게 공부를 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는 그는 젊은 친구에게 뉴질랜드 대학교는 학생들이 폭넓게 공부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훌륭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설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대학 생활을 알차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나의 팁을 제공했다.

<임 동빈 박사의 연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dongbinim@yahoo.com 으로 연락 바랍니다.>


이강진 기자 reporter@koreapost.co.nz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의 위대한 청년들 뉴질랜드 땅을 밟다! - YGK -

댓글 0 | 조회 5,038 | 2010.05.24
/인/터/뷰/ YGK는 글로벌 프로젝트 첫 출발 국가로 뉴질랜드를 선정, 단원 박운종 씨와… 더보기

[업체탐방] 여행과 유학전문 (주) 뉴질랜드 에이투지 - A to Z -

댓글 0 | 조회 5,629 | 2010.05.24
오클랜드 퀸 스트리트(Queen St.) 75번지 건물 2층(뉴마트 윗층)에 아담하게 위치… 더보기

뉴질랜드 한국전 참전용사 6.25전쟁 60주년 맞이하다...

댓글 0 | 조회 9,730 | 2010.05.10
/인/터/뷰/"전쟁 당시에 한국 아이들이 나에게 먹을 것을 달라고 손을 내밀었어요. 나는 … 더보기

[업체탐방] 뉴질랜드 남섬 여행 전문 <길 여행사>

댓글 0 | 조회 9,011 | 2010.05.10
뉴질랜드 남섬의 길 여행사는 1997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지난 13년 동안 뉴질랜드 남섬 … 더보기

NZ 무에타이 2009 남태평양 프로 챔피언 함 수형 선수

댓글 0 | 조회 5,084 | 2010.04.26
/Interview/태국의 한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무에타이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 더보기

[업체탐방] 오클랜드 대학교 신문방송학과 AKMSA 영상동아리

댓글 0 | 조회 5,565 | 2010.04.26
뉴질랜드 한인 대학생들은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서로를 찾고 마음이 맞는 사람들끼리 모… 더보기

수퍼시티 시장 선거 출마 - 존 뱅크스 오클랜드 시장

댓글 0 | 조회 4,103 | 2010.04.12
Interview오클랜드시티, 마누카우, 노스쇼어, 와이타케레 4개의 시티카운슬과 로드니,… 더보기

[업체탐방] 금연 커뮤니티(Smoke Free Communities)

댓글 0 | 조회 4,321 | 2010.04.12
흡연은 공중 보건을 해치는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이며 암, 폐질환과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 더보기

프린스턴 대학 우드로 윌슨 스쿨에 합격한 교민 자녀 김 은형 양

댓글 0 | 조회 13,722 | 2010.03.23
Interview "아이비리그를 꿈꾸고 미국으로 발걸음하기 원하는 후배들에게 절대로 주저하… 더보기

[업체탐방] 고은희 수영교실 창립 10주년

댓글 0 | 조회 8,626 | 2010.04.12
지난 1999년 12월 여름 방학 수영 강습을 시작으로 뉴질랜드 최초의 공식 한인 수영교실… 더보기

한국으로 귀국한 NZ 유학생의 활약 - 김 가연 사법연수생

댓글 0 | 조회 11,352 | 2010.03.08
Interview - 한국으로 귀국한 NZ 유학생의 활약                   … 더보기

[업체탐방] 오클랜드 대학교 한인학생회

댓글 0 | 조회 7,881 | 2010.03.08
오클랜드 대학교 한인학생회(Auckland Korean Students Associatio… 더보기

KOWIN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NZ 지역 담당관 - 이 청 대표

댓글 0 | 조회 4,725 | 2010.02.22
/Interview/이 대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 많은 자원봉사자들 덕분에 복지체계가 원… 더보기

[업체탐방] 사학의 명문 ACG 그룹

댓글 0 | 조회 4,557 | 2010.02.22
뉴질랜드 최고 진학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는 선두적인 교육기관 The Academic Col… 더보기

현재 오클랜드 대학교 건축대학 대학원 박사(PhD) 졸업 - 임 동빈 박사

댓글 0 | 조회 7,453 | 2010.02.08
/Interview/“한국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하여 한국 문화를 포함한 동아 문화를 연구하… 더보기

[업체탐방] 전문 사설 교육기관 NZMA - New Zealand Manageme…

댓글 0 | 조회 4,919 | 2010.02.08
New Zealand Management Academies(NZMA)는 1985년에 설립된… 더보기

아이비리그 펜실베니아 대학교 복수전공 수시모집 합격자 - 천 상교 군

댓글 0 | 조회 7,674 | 2010.01.25
Interview'아이비리그 펜실베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 & 엔지니어링 스쿨 복수전… 더보기

[업체탐방] NZ 호텔 예약 전문업체 -오클랜드 Hotel for Less -

댓글 0 | 조회 5,622 | 2010.01.25
"사무실 벽에 걸린 세계지도에 있는 나라를 다 돌아보고 싶다”라는 큰 꿈을 가진 이가 있다… 더보기

오클랜드 시티병원 신경외과 병동 - 안 지민 간호사

댓글 0 | 조회 8,928 | 2010.01.11
/Interview/“또 한가지 정말 하고 싶은 것은 동남아시아로 가서 의료봉사로 어려운 … 더보기

[업체탐방] 한국인 버제팅 서비스 - Ethnic Budgeting Service

댓글 0 | 조회 5,212 | 2010.01.11
NZ Federation Family Budgeting service 산하에는 148개의 … 더보기

"2010년에도 활발한 정치활동 기대해 주세요" - 멜리사 리 국회의원

댓글 0 | 조회 4,572 | 2009.12.21
/인/터/뷰/   지난 2008년 11월 뉴질랜드 총선에서 국민당 비례대표로 나선 멜리사 … 더보기

[업체탐방] 창립 17년 맞이하는 iae 유학네트

댓글 0 | 조회 5,529 | 2009.12.21
<창립 17년, 안심 유학 전문 기업 iae 유학네트> iae 유학네트 (www… 더보기

호스피스 웨스트 오클랜드 - 이 순미 자원 봉사자

댓글 0 | 조회 6,357 | 2010.01.11
/인/터/뷰/ 호스피스(Hospice)는 hospes라는 우리나라 말로 ‘손님’이라는 뜻에… 더보기

[업체탐방] 뉴질랜드 탁구 협회

댓글 0 | 조회 7,625 | 2009.12.09
뉴질랜드 탁구협회는 1996년 6월 탁구를 좋아하는 교민들이 소망교회에서 모여 처음 시작 … 더보기

왕가레이 아보카도 농장 - 김 한중·김 인희 부부

댓글 0 | 조회 15,746 | 2009.11.23
/인/터/뷰/"오클랜드에는 거의 일주일 만에 내려오는데 약 두 시간에 걸쳐 오클랜드에 도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