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리사의 선거 Q&A - 4

멜리사의 선거 Q&A - 4

0 개 1,186 KoreaPost

지난번 칼럼에서 국회의원 선거인 명부의 정보가 각 정당의 정책 수립과 지역의료이사회(DHB)의 선거 자료, 법원의 배심원 목록, 여론조사 등에 제공될 수 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투표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뉴질랜드 선거의 교민 투표율

 

Q: 소수 민족별 투표율을 선관위에서 집계하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소수 민족별 투표율과 관련한 공식 집계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선거인 명부에 출신 민족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집계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론 등을 통해 비공식 집계가 나오기도 합니다.

국회의원 투표는 선거인 명부를 바탕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선거인 명부와 투표자 명단을 살펴보면 투표율 집계가 가능할 수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선거인 명부에는 이름과 주소, 직업 등이 적혀있습니다. 우리 교민의 경우 Lee, Kim, Park, Jung 등 다른 민족과 확연히 구분되는 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인 여부를 비교적 손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구센서스 자료에 나온 한국 교민 수를 토대로 선거인 등록명부 등을 참고하면 교민 투표율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Q: 비공식적으로 집계된 역대 교민 투표율은 어떻게 되나요?

A: 지난 2008년 총선 당시 저조한 한국 교민투표율이 크게 이슈가 됐습니다. 당시 교민 신문들은 2005년 총선 당시 교민 투표율이 한 자리 수에 그쳤다면서 교민들의 투표참여를 독려했습니다. National을 포함한 각 정당들도 낮은 교민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책 설명회를 여러 차례 개최했습니다.

NZ투데이에 따르면 뉴질랜드 통계청이 실시한 ‘2013 인구조사에서 뉴질랜드 내 한인 숫자는 총 317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것은 2006년 인구조사 때 3792명보다 621명이 준 수치인데요. 2001~2006년 사이에는 한인 숫자가 12천 명 증가했었습니다.

작년 조사에서 한인은 뉴질랜드 내 아시아인 그룹 가운데 중국인(17만 명), 인도인(155천 명), 필리핀인(4만 명)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인구 비율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투표율에서는 중국인 투표율이 전체 중국 전체 교민수의 40%에 달한 반면 교민 투표율은 현저히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Q: 이민자들의 투표율은 얼마나 됩니다?

A: 최근 발표된 뉴질랜드 일반사회여론조사(New Zealand General Social Survey)에 따르면 새로운 이민자 가운데 59.4% 2011년 총선에서 투표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오래 거주한 이민자 가운데 20%가 투표를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이민자들의 인구는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투표율은 저조한 것 같습니다.

오클랜드 주민의 39%가 이민자로 구성돼 있고 4명 중 한 명이 아시안인만큼 각 정당들이 아시아인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헤럴드에 따르면 지난 총선에서 아시안 유권자가 약 2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예전과 달리 다수의 지역에서 아시아인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Q: 지난 선거에서 꽤 투표를 한 것 같은데,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필요성을 못 느끼겠어요.

A: 교민 여러분께 꼭 드리고 싶은 말은 현재의 우리는 한국에 사는 한국인이 아니라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한국인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1.5, 2세대 등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우리가 과연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곰곰이 따져봐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정치인으로서 저는 그 해답을 투표 참여에서 찾고 싶습니다. 지금보다 더 많은 교민들이 투표에 참여할 때 한국인의 목소리를 더 크고 힘차게 낼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우리는 다른 아시안 커뮤니티에 비해 정치적으로 좋은 터전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는 뉴질랜드가 더 밝은 미래를 열 수 있는 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저를 포함한 국민당 정부의 노력이 풍요로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당투표’(Party Vote)를 통해 National을 적극 지지해 주십시오. <⑤에서 계속>


 Authorised by Melissa Lee MP, 779 New North Road, Mount Albert, Auckland

 

700만불 이상 잘못 청구한 키위뱅크 “공정거래법 위반 고발”

댓글 0 | 조회 1,269 | 1일전
상업위원회가 공정거래법을 오랜 기간에… 더보기

경찰 “톰 필립스와 아이들 찾을 수 있는 정보에 8만불 현상금”

댓글 0 | 조회 1,081 | 1일전
경찰이 아빠와 함께 실종된 마로코파(… 더보기

한국 주둔 병력 대폭 늘리는 NZ 방위군

댓글 0 | 조회 1,610 | 1일전
뉴질랜드 정부가 현재 한국에 주둔 중… 더보기

경찰 판단 착오로 밤새 방치된 시신

댓글 0 | 조회 1,190 | 1일전
경찰의 판단 착오로 지난해 발생한 한… 더보기

제 35회 YBA 농구대잔치 성료

댓글 0 | 조회 322 | 1일전
YBA 농구대잔치, 제 35회 대회가… 더보기

상업위원회 “주유소들, 가격 올릴 때는 빨리, 내릴 때는 늦게…”

댓글 0 | 조회 744 | 1일전
상업위원회가 주유소들이 가격이 오를 … 더보기

선체에 자석으로 부착한 마약 상자 적발

댓글 0 | 조회 436 | 1일전
자석이 담긴 상자를 선박 선체에 부착… 더보기

7월 1일부터 유급 육아휴직 최대 주급 인상

댓글 0 | 조회 693 | 1일전
오는 7월 1일부터 ‘유급 육아휴직(… 더보기

웰링턴 도심의 폐쇄 고층 건물에서 추락 사고

댓글 0 | 조회 328 | 1일전
지진으로 몇 년 동안 폐쇄된 웰링턴 … 더보기

침입종 해초 '콜레르파', 리(Leigh)에서 발견돼

댓글 0 | 조회 712 | 2일전
세계 최악의 해양 해충으로 묘사되는 … 더보기

남극 오두막에서 발견된 100년 된 분유

댓글 0 | 조회 1,215 | 2일전
어니스트 섀클턴(Ernest Shac… 더보기

NZ에서 가장 비싼 파이? $50 Crayfish Pie

댓글 0 | 조회 1,453 | 2일전
캔터베리의 한 작은 파이 가게가 뉴질… 더보기

남섬 일부 폭설 경보, 화요일 기온 뚝 떨어져

댓글 0 | 조회 834 | 2일전
밤새 비바람이 치는 거친 날씨를 보인… 더보기

카페에서 너무 오래 머물며 일하다 쫓겨난 언론인

댓글 0 | 조회 1,777 | 2일전
카페에서 커피 한 잔 또는 그 이상을… 더보기

식료품 공급 비용, 느린 속도로 증가

댓글 0 | 조회 1,293 | 3일전
슈퍼마켓에 공급되는 상품 가격의 연간… 더보기

전기차 충전기, 자금 조달 우려

댓글 0 | 조회 1,264 | 3일전
오클랜드에서는 전기 자동차(EV)를 … 더보기

우크라이나 발레단, 뉴질랜드 투어 공연

댓글 0 | 조회 725 | 3일전
그들의 조국은 전쟁 중이지만 우크라이… 더보기

주니어 닥터 파업, "주말 추가 30시간 근무는 너무 피곤해요"

댓글 0 | 조회 2,053 | 3일전
주니어 의사들은 주중에 풀타임으로 일… 더보기

오클랜드 20번 모터웨이, 나무 쓰러져 구간 폐쇄

댓글 0 | 조회 1,550 | 3일전
오클랜드 공항을 오가는 20번 모터웨… 더보기

카이코우라 해수면 상승, 카운실에 경고

댓글 0 | 조회 1,310 | 4일전
남섬 카이코우라의 해수면이 예상보다 … 더보기

83세의 JP, 마약 조직 자금 세탁

댓글 0 | 조회 2,062 | 4일전
83세의 JP(Justice of t… 더보기

오클랜드에서 어린이 친화적인 장소 찾기

댓글 0 | 조회 1,180 | 4일전
최근 출시된 한 앱은 오클랜드에서의 … 더보기

토요일, 수천 명의 시위대 오클랜드 집결

댓글 0 | 조회 2,911 | 4일전
정부가 기존 요구 사항을 우회하여 주… 더보기

오클랜드 브라운스 베이, 창고에 대형 화재

댓글 0 | 조회 2,693 | 4일전
금요일밤 오클랜드 브라운스 베이의 한… 더보기

중부와 남부 지역, 폭우 경보 발령

댓글 0 | 조회 1,705 | 4일전
일요일부터 다음 주 초까지 뉴질랜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