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의 노숙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확한 증가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 노숙과 관련된 민원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했다. 현장에서는 체감되는 노숙자 수가 훨씬 더 많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해마다 새로운 사례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주택도시개발부의 ‘노숙자 통계 보고서(Homelessness Insights Report)’는 2023년 인구조사 자료와 전국의 정부 기관, 지자체, 비영리단체들의 자료를 종합해 작성되었다. 보고서는 노숙자 수가 확실히 늘었다고 지적했지만, 그 수치를 명확히 집계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노숙자(Homelessness)'를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살아야 하는 상황, 즉 거처 없이, 임시 숙소에 머물거나, 다른 가구와 함께 공동으로 거주하거나, 거주할 수 없는 주택에 거주하는 상황으로 정의한다.
크리스 비숍 주택부 장관은 실제로 문제가 있다며, 현장 단체들과의 대화를 통해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이 집 없이 살아가는 것은 심각한 사회적 위기이며, 누구도 거리에서 잠을 자선 안 된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긴급 주택을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처 없이 생활하는 사람들이 37% 증가했다.
정부는 현재도 상당한 예산을 투입해 긴급 주택, 노숙자 재정착 프로그램, 가정 폭력 피해자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숙자의 이동성이 높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계를 집계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특히 긴급 주택에서 퇴거한 이들 중 일부는 다시 거리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또한 노숙의 정의에 포함되는 범위가 넓어, 단순 거리 노숙뿐 아니라 차량에서 생활하거나 주거 환경이 부적절한 경우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 노숙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지자체의 공식 집계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웰링턴과 오클랜드를 비롯한 대도시 중심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긴급 주택 기준 강화가 일부 사람들을 제도 밖으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가정 폭력 피해자나 저소득 가구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모든 생존자에게 적절한 주거 지원이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택 정책 전반에 대한 구조 개편을 예고하며, 더 나은 데이터 수집과 실질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결국 이번 보고서는 노숙자 문제가 실제로 악화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동시에, 대응을 위해 더 나은 정보와 통계 기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5월부터 2025년 3월까지 972가구가 Priority One Fast Track(우선순위 신속 지원)을 통해 주택을 제공받았으며, 이 중 2,055명의 아동이 포함되었다.
3월에는 긴급 주택 신청의 32%가 거부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수치이다.
거부 사유는 '다른 방법으로 필요를 충족할 수 있음'(34.3%), '상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음'(22.5%), '보조금 수급 자격이 없음'(16.7%), '긴급 상황이 아님'(14.7%) 등이었다.
오클랜드의 아웃리치 기관들은 809명의 '노숙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했는데, 2024년 9월의 426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왕가레이 지방의회는 노숙자 관련 공개 신고 건수가 2023년 680건에서 2024년 1,066건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대로라면 2025년에는 신고 건수가 1,2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