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 문제 심각, 일부 지역은 급격하게 증가

노숙자 문제 심각, 일부 지역은 급격하게 증가

0 개 1,417 노영례

e73f8d4a6cc304cdd5b2e899dbd2e6e9_1753266493_2999.jpg
 

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의 노숙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확한 증가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 노숙과 관련된 민원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증가했다. 현장에서는 체감되는 노숙자 수가 훨씬 더 많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해마다 새로운 사례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주택도시개발부의 ‘노숙자 통계 보고서(Homelessness Insights Report)’는 2023년 인구조사 자료와 전국의 정부 기관, 지자체, 비영리단체들의 자료를 종합해 작성되었다. 보고서는 노숙자 수가 확실히 늘었다고 지적했지만, 그 수치를 명확히 집계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노숙자(Homelessness)'를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살아야 하는 상황, 즉 거처 없이, 임시 숙소에 머물거나, 다른 가구와 함께 공동으로 거주하거나, 거주할 수 없는 주택에 거주하는 상황으로 정의한다.


 


크리스 비숍 주택부 장관은 실제로 문제가 있다며, 현장 단체들과의 대화를 통해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이 집 없이 살아가는 것은 심각한 사회적 위기이며, 누구도 거리에서 잠을 자선 안 된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긴급 주택을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처 없이 생활하는 사람들이 37% 증가했다.


정부는 현재도 상당한 예산을 투입해 긴급 주택, 노숙자 재정착 프로그램, 가정 폭력 피해자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숙자의 이동성이 높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계를 집계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특히 긴급 주택에서 퇴거한 이들 중 일부는 다시 거리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또한 노숙의 정의에 포함되는 범위가 넓어, 단순 거리 노숙뿐 아니라 차량에서 생활하거나 주거 환경이 부적절한 경우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거리 노숙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지자체의 공식 집계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웰링턴과 오클랜드를 비롯한 대도시 중심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긴급 주택 기준 강화가 일부 사람들을 제도 밖으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가정 폭력 피해자나 저소득 가구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모든 생존자에게 적절한 주거 지원이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택 정책 전반에 대한 구조 개편을 예고하며, 더 나은 데이터 수집과 실질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결국 이번 보고서는 노숙자 문제가 실제로 악화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동시에, 대응을 위해 더 나은 정보와 통계 기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5월부터 2025년 3월까지 972가구가 Priority One Fast Track(우선순위 신속 지원)을 통해 주택을 제공받았으며, 이 중 2,055명의 아동이 포함되었다.


3월에는 긴급 주택 신청의 32%가 거부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수치이다.


거부 사유는 '다른 방법으로 필요를 충족할 수 있음'(34.3%), '상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음'(22.5%), '보조금 수급 자격이 없음'(16.7%), '긴급 상황이 아님'(14.7%) 등이었다.


오클랜드의 아웃리치 기관들은 809명의 '노숙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했는데, 2024년 9월의 426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왕가레이 지방의회는 노숙자 관련 공개 신고 건수가 2023년 680건에서 2024년 1,066건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대로라면 2025년에는 신고 건수가 1,2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뉴질랜드 소비자 2만5천명 서명, 슈퍼마켓 정확한 가격 책정 촉구 청원서 경제성장…

댓글 0 | 조회 179 | 59분전
오늘 뉴질랜드 소비자 단체인 Consumer NZ가 ‘가격 책정 바로잡기(Price It Right)’ 청원서를 니콜라 윌리스(Nicola Willis) 경제성장… 더보기

뉴질랜드 청소년 전자담배 사용률, 규제 방향에 논란 이어져

댓글 0 | 조회 98 | 1시간전
최근 뉴질랜드에서 청소년들의 전자담배(베이핑) 사용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규제 정책이 올바른 방향인지 논란이 일고 있다.… 더보기

초콜릿 도둑 잡혔다! 슈퍼마켓서 700달러어치 훔치려던 10대 검거, 강력 저항도…

댓글 0 | 조회 1,253 | 12시간전
오클랜드 동부 하일랜드 파크(Highland Park) 슈퍼마켓에서 초콜릿으로 가득 찬 가방을 훔치려던 10대들이 결국 경찰에 체포되었다.경찰은 지난 일요일 저녁… 더보기

건축 허가 제도 대대적 개편 발표, 지역 자치단체 책임 부담 완화

댓글 0 | 조회 872 | 14시간전
최근 정부는 지역 자치단체들의 책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건축 허가 제도를 전면 개편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건축 및 건설부 장관 크리스 펭크(Chris Pe… 더보기

‘이중 난동’: 단속 중 총기·마약 적발… 밤새 두 건의 차량 검문서 무장범 검거

댓글 0 | 조회 431 | 15시간전
금일(18일) 새벽 뉴린(New Lynn)에서 과속 차량을 단속하던 경찰이 총기와 마약을 적발하는 등 단순 교통 딱지 이상의 사건이 발생했다.오전 3시경, 티티랑… 더보기

‘한겨울 폭설·초강풍’… 뉴질랜드 전국, 이번 주 초 극한 겨울 날씨 직격탄!

댓글 0 | 조회 2,403 | 18시간전
뉴질랜드 기상청(MetService)에 따르면 이번 주 초에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눈과 강풍이 몰아치는 활기찬 날씨가 예보되어 있다. 특히 주 초에는 활동적인… 더보기

건축 허가제도, 20여년 만에 최대 개편 예고…정부 “간소화·비용 절감 추구”

댓글 0 | 조회 884 | 18시간전
뉴질랜드 건축 및 건설부 장관 크리스 펜크가 건축 허가제도의 대대적 개편을 공식 예고했다.2024년 말 정부가 건축비용·절차 간소화를 위해 다양한 개혁 모델을 검… 더보기

뉴질랜드 국가 부채 1조 달러 임박…정부 지출 증가에 우려 커져

댓글 0 | 조회 1,203 | 19시간전
뉴질랜드의 전체 국가 부채가 2025년 5월 기준 약 8,700억 달러(870 billion NZD)로 집계되며, 1조 달러(트릴리언) 돌파를 앞두고 있다. 이는… 더보기

7월 인플레이션 급등! RBNZ, 금리 인하 신중 모드 전환 전망

댓글 0 | 조회 889 | 20시간전
2025년 8월 16일 뉴질랜드 7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의 금리 인하 경로에 신중함이 요구된다는 경제 전문… 더보기

한인 커뮤니티, 우울 위험 69%…정신건강 사각지대

댓글 0 | 조회 1,666 | 1일전
7월 발표된 아시아 가정 서비스 정신건강 및 웰빙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 거주 한인(한국계) 성인 중 69%는 우울증 징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더보기

이번 주 부동산 시장에서 꼭 알아야 할 다섯 가지

댓글 0 | 조회 1,184 | 1일전
2025년 8월 18일, 켈빈 데이비슨(KeIvin Davidson) Cotality 최고 경제학자가 전하는 최신 부동산 시장 동향입니다.1. 수익은 줄고 손실은… 더보기

임대인 신뢰 ‘안갯속’: 80% “다음 총선이 투자 자신감 결정한다”

댓글 0 | 조회 651 | 1일전
2025년 8월 14일, 오클랜드 부동산 투자자협회(APIA)가 발표한 최신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 임대시장 내 임대인 5명 중 4명은 다음 총선 결과에 투자 신… 더보기

주택담보대출 조기 상환, 전문가가 추천하는 20가지 실천법

댓글 0 | 조회 829 | 1일전
2025년 7월 기준, 뉴질랜드에서 집을 구입할 때 평균 주택담보대출액은 약 56만 8,846달러에 달한다. 대출 기간 30년에 연간 4.89% 금리를 적용해 최… 더보기

더 비싼 KiwiSaver 펀드가 더 높은 수익을 줄까?

댓글 0 | 조회 526 | 1일전
KiwiSaver 펀드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면 더 나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까? 뉴질랜드 공영방송 RNZ의 분석에 따르면, 그 답은 ‘그럴 수도, 아닐 수도… 더보기

키위 엄마와 6살 아들, 미국 이민 수용소에서 석방

댓글 0 | 조회 991 | 1일전
미국과캐나다 국경에서 억류되어 수주간 이민 당국 구금시설(ICE)에 있던 젊은 뉴질랜드인 엄마와 여섯 살 아들이 풀려났다.사라 쇼의 변호사 측은 17일(현지시간)… 더보기

'매우 드문 장애', 항공 관제 시스템 오류로 비행 지연

댓글 0 | 조회 419 | 1일전
뉴질랜드 항공 관제 서비스 기관인 에어웨이즈 NZ(Airways NZ)에서는 토요일 발생한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교란으로 인한 항공편 지연의 원인이 '매우 드문… 더보기

생활비 위기에도 해외여행 떠나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760 | 1일전
뉴질랜드 사람들이 생활비 위기 속에서도 해외여행을 우선시하며 기록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다.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5월은 국제 여행을 다녀온 뒤 귀국한… 더보기

세 사람과 개 두 마리, 왕가누이 강 케이블카에서 구조

댓글 0 | 조회 319 | 1일전
왕가누이 강 위 케이블카에 갇혀 있던 세 사람과 개 두 마리가 무사히 구조되었다.소방당국은 오후 8시 47분경 모든 인원이 안전하게 육지로 돌아왔다고 확인했다고 … 더보기

2025년 ARWU 세계 대학 순위 발표 하버드 1위 유지, 뉴질랜드 대학도 연…

댓글 0 | 조회 2,398 | 2일전
2025년 8월 15일, 중국 상하이 랭킹 컨설턴시(ShanghaiRanking Consultancy)는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 더보기

뉴질랜드 국경에서 학자금 대출 미납자 체포 사례 잇따라

댓글 0 | 조회 2,412 | 2일전
뉴질랜드를 떠나 해외에서 장기간 거주하는 학자금 대출 미납자에 대한 국경 체포 사례가 2025년 들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무려 5만 8,000달러 대출 미납으로… 더보기

오클랜드, 이 주의 감성 충전 필수 이벤트 3선

댓글 0 | 조회 579 | 2일전
1. Tyler, The Creator – CHROMAKOPIA: THE WORLD TOUR·일정 / 장소: 8월 18일(월) 오후 7:30, Spark Aren… 더보기

오클랜드 주택시장, 팬데믹·정책 여파 속 가격 변동 커져

댓글 0 | 조회 1,178 | 2일전
2021년 팬데믹 장기 봉쇄(15주)와 이후의 경기 침체, 정부 정책 변화 등이 오클랜드 주택 시장에 복합적 영향을 주고 있다. 코로나 봉쇄 당시 거리의 적막함과… 더보기

재산세는 어떻게 책정되나?

댓글 0 | 조회 1,137 | 2일전
재산세는 시의회의 연간 계획(Annual Plan)을 통해 결정되며, 기본적으로 부동산 자본 가치와 시의회가 설정한 인상률에 따라 산출된다.2025/2026 회계… 더보기

뉴질랜드 7월 제조업 활동, 3년 만에 최고치로 확장세 복귀

댓글 0 | 조회 399 | 2일전
2025년 7월, 뉴질랜드 제조업 활동이 크게 반등하며 경기 확장 국면으로 복귀했다. BNZ(뉴질랜드은행)와 Business NZ가 공동 집계한 계절조정 제조업 … 더보기

노스랜드 동해안 가재 어획 금지 제안, 우럭이 난해충 성게 번식 방지 목적

댓글 0 | 조회 481 | 2일전
노스랜드 동해안의 가재 어획량 제한 및 어획 금지 조치에 대한 의견 수렴이 시작됐다. 해당 조치는 환경단체들로부터 환영받으며, 뉴질랜드 어업청(Fisheries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