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주택시장에서 첫 주택 구매자(FHB, First-home buyer)들의 비중이 역대급으로 높아진 가운데, 거래량 회복세와 투자자 복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 분위기를 바꾸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전국 주택 매입자의 26% 이상이 첫 주택 구매자로 집계됐다. 주요 도시별 비중은 오클랜드 29%, 해밀턴 32%, 크라이스트처치·더니든 27%, 웰링턴 광역권 36% 등 더욱 높았다.
이는 KiwiSaver, 저율 대출 등 각종 지원책은 물론, 주택 가격이 정점 대비 16% 하락한 영향이 크다.
이사 또는 재구매를 고려하는 기존 주택 소유자 그룹은 평소보다 상대적으로 조용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결혼, 출산, 직장 이동 등 가구 구조 변화에 따른 잠재수요는 여전히 충분하며, 현재 매물 수준에서는 향후 시장 견인세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6~9개월간 소규모(모기지 활용) 투자자들이 점차 시장에 복귀하고 있다. 기존보다 더 저렴한 기존 주택 매물에 집중하는 모습이며, 신규 주택 대비 세제상 불리함이 해소된 것도 다시 투자 매력이 부각된 이유다.
보험·유지보수비, 임대료 정체 등 부담 요인은 있긴 하나, 대출금리 하락으로 현금흐름(캐시플로우) 부담이 완화된 점이 투자자 복귀세에 힘을 더했다.
6월 한 달간 전국 주택 거래량은 7,000건을 넘어 전년 대비 25%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2023년 저점 이후 26개월 중 25개월 연속 거래 반등세”라면서도, “아직 팬데믹 직후 저점을 회복하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최근 경제지표는 OCR(기준금리) 추가 인하 기대감을 방증한다. 2분기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2.7%로 예측치(2.6%)를 약간 상회했지만, 대부분의 은행·전문가들은 “기저 인플레이션은 충분히 억제됐고, 8월 25bp(0.25%) 인하에 큰 걸림돌이 안 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RBNZ(준비은행) 모기지 대출 자료에 따르면 이자만 내는(interest only) 대출, 고LVR(주택담보인정비율) 대출, DTI(소득대비 부채비율) 등 각종 신용지표의 변화에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는 금리 환경 변화와 맞물려 향후 대출 및 주택 매수 트렌드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Source: N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