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편, 핵심 개념도 없이 진행…“AI 도입까지 검토”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편, 핵심 개념도 없이 진행…“AI 도입까지 검토”

0 개 1,191 KoreaPost

97acfa1b0aab379c2f8ceb17d844d7b5_1753127837_5625.jpg
 

뉴질랜드 교육부가 진행 중인 학교 교육과정 개편 프로젝트에 심각한 문제가 존재하며, 일부 관리자들이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작업을 돕는 방안을 고려한 것으로 내부 문서 유출을 통해 밝혀졌다.


RNZ가 입수한 내부 문서에 따르면, 올해 초까지 교육과정 개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지식 기반 교육과정(knowledge-rich curriculum)’의 명확한 정의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수학 및 영어 교육과정은 이미 공개됐으며, 중등 단계 초안도 거의 완성된 상태였다.



초중등 교장단과 교사노조는 교육부의 방향성과 정의 부족에 우려를 표하며, "지금은 사실상 하늘에서 비행기를 조립하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레안 오테네(Leanne Otene) 초등학교 교장 연합회장은 "지식 기반 교육과정이란 각 단계에서 무엇을 가르칠지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핵심인데, 그런 설계 기반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실제 일부 과목의 문서들은 “복붙”에 가깝다는 혹평도 나왔다.


교사단체와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의 과학’, ‘지식 중심’ 등 핵심 용어조차 명확한 정의 없이 정책이 추진되며, 현장 교사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키어런 게인스포드(Kieran Gainsford) 중등교사노조(PPTA) 부회장은 “정책 책임자조차 용어의 의미를 고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장 교사가 그 의미를 파악하길 바라는 건 어불성설"이라며, “현재는 잘 정의되지 않은 지시사항에 맞추려다 논의가 진전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RNZ에 보낸 입장문을 통해, 교육과정 개편 프로그램의 명칭인 ‘테 마따이아호(Te Mātaiaho)’를 지식 기반 교육 설계 원칙에 따라 개발 중이며, 외부 문헌 검토를 통해 정의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RNZ가 재차 정의를 요청했음에도 구체적인 정의안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어서 덧붙인 설명에서 "지식 기반 교육과정이란 모든 교과와 학년에 대해 학생이 배우고 익혀야 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교육과정으로, 체계적이고 일관된 내용 구성을 통해 심화된 이해력과 전이 가능한 학습 능력을 키운다"고 최종 설명했다.


최근 유출된 문서는 과학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과도한 내용 구성, 학생의 흥미 부족, 대학 진학 저조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이로 인해 전면 개편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 고위 관리자는 내부 브리핑 자료에서, 싱가포르, 뉴사우스웨일스, 브리티시컬럼비아 등 다양한 해외 교육과정을 뉴질랜드 맥락에 맞게 AI를 활용해 빠르게 통합·요약하는 방식을 제안했으며, AI가 용어·용법의 일관성 유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해 “AI는 교육과정 내용을 직접 작성하지 않으며, 국제 교육과정 정보 분석 및 배경 연구에 국한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교육과정 개편은 수십 년 만에 진행되는 가장 광범위한 교육 개혁 중 하나이며,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일정 조정과 우선순위 변경은 불가피하다. 현재는 고위험(Red) 단계이나, 이는 정책개발 과정에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현재 개편 작업과 관련해 총 10개의 고위험, 25개의 중간 위험, 5개의 저위험 요소를 관리 중이며, 관련 리스크는 체계적 관리 시스템에 따라 지속적으로 점검·완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작년 12월 작성된 또 다른 교육부 문서인 ‘교육과정 규제 체계 변경안’에는 미래적으로 학교 유형별로 상이한 교육과정 기준을 부여하는 구상까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술 허브를 갖춘 학교 또는 마오리 중심 학교(kura kaupapa Māori)에 특화된 교수법이나 교육과정 진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안이다.


현장 교사와 교육단체, 그리고 교육부 자체 문서조차 현재 작업이 기준 없이 추진되고, 각 참여 그룹 역시 경험과 전문성 부족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으며, 이로 인해 '핵심 없는 개편'이라는 구조적 문제점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교육부는 이를 의식했는지, 해외 전문가의 기술 지원도 검토 중이며, 통일된 설계 틀과 정의, 실행 가능성 확보를 위한 외부 협력 방안을 고려 중이다.


이처럼 혼선 가득한 교육과정 개편은 단순한 정책 추진이 아니라, 뉴질랜드 교육 전체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대한 중대 시험대가 되고 있다.


Source: RNZ

2025년 지방선거, 9월 9일부터 우편 투표 시작

댓글 0 | 조회 119 | 4시간전
뉴질랜드 전역에서 2025년 지방선거(Local Elections 2025)는 9월 9일 화요일부터 10월 11일 토요일 정오까지 약 한 달간 우편 투표로 치러진… 더보기

중앙은행, 은행 자본 요건 완화 검토

댓글 0 | 조회 129 | 5시간전
중앙은행(Reserve Bank of New Zealand, RBNZ)이 은행의 자본 요건을 낮추는 방안을 두고 공식 협의에 들어갔다. 다만 금융 안정성에 미칠 … 더보기

레빈, 총격 및 경찰차 위협 사건 발생

댓글 0 | 조회 110 | 5시간전
북섬 레빈(Levin)에서 경찰차를 향해 차량이 돌진하고 주택을 향해 총격이 가해지는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경찰은 일요일밤 한 차량이 순찰차를 향해… 더보기

Colac Bay 서퍼 조형물, 교체에 14만 달러 들어

댓글 0 | 조회 103 | 5시간전
남섬 사우스랜드 지역의 작은 마을 Colac Bay/Ōraka 입구에는 1999년에 세워진 서퍼 조형물이 있다. 이 조형물은 마을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파도를 타는… 더보기

홍수 잔해 무료 장작, 가져가도 되지만 주의 필요

댓글 0 | 조회 146 | 6시간전
타스만 지역 홍수로 강가에 쌓인 나무 잔해, 주민들이 원하면 가져갈 수 있을까? 타스만 지역 카운슬에서는 주민들이 가져가도 문제 삼지 않지만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 더보기

오클랜드서 ‘상습’ 상점 절도 용의자 20여 건 기소

댓글 0 | 조회 463 | 11시간전
오클랜드 지역 여러 곳에서 다수의 절도 행각을 벌인 혐의로 31세 남성 1명이 뉴마켓 경찰에 의해 지난주 체포돼 현재 구속 상태다.뉴마켓 커뮤니티 치안팀은 절도 … 더보기

Panmure 버스 환승구역 폭행사건 용의자 경찰 시민 제보 요청

댓글 0 | 조회 681 | 11시간전
오클랜드 경찰은 2025년 6월 6일 금요일 오후 9시 30분부터 11시 사이 Panmure 버스 환승구역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 관련하여 아래 인물에 대해 국민들… 더보기

이번주, 봄으로 넘어가는 변덕스러운 날씨

댓글 0 | 조회 575 | 11시간전
지난 주말 동안 북섬 상부 지역은 우박과 천둥번개가 활발했다.이번 주 초반은 대부분 지역에 맑고, 기온이 잠시 오르면서 따뜻해질 전망이다.북섬 동해안 일부 지역에… 더보기

첫 주택 구매자들이 주도하는 시장, ‘무버스’는 뒷전으로

댓글 0 | 조회 1,069 | 16시간전
2025년 들어 뉴질랜드 주택시장이 뚜렷한 구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첫 주택 구매자(FHB·First-home buyers)가 2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입지를 … 더보기

임금 비밀 없앤다! 뉴질랜드 직장 혁신, 법으로 실현된 목소리의 자유

댓글 0 | 조회 1,155 | 16시간전
뉴질랜드 국회에서 ‘임금 비밀 유지 조항(pay secrecy clauses)’ 폐지를 골자로 한 고용관계(직원 보수 공개) 개정법안이 지난 8월 20일 제3독회… 더보기

뉴질랜드 은행 규제 개혁, ‘빅4’ 체제 강화 우려 속 진통 예고

댓글 0 | 조회 590 | 16시간전
뉴질랜드 국회 재정선택위원회(Finance and Expenditure Select Committee)가 최근 은행산업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으나, 전문가들은 이… 더보기

경찰-관세청, 3700만 달러 상당 메스암페타민 대규모 밀수 차단

댓글 0 | 조회 355 | 16시간전
124kg '필로폰' 기계부품에 은닉, 7명 기소경찰과 관세청이 항공 화물로 들어온 기계 부품 속에 숨겨진 3700만 달러(뉴질랜드 달러) 상당의 메스암페타민(필… 더보기

무리와이 해변 사고로 중태에 빠졌던 남성, 병원서 숨져

댓글 0 | 조회 800 | 16시간전
28세 남성, 모래언덕에 매몰돼 중태…병원 이송 뒤 사망토요일 무리와이 해변에서 모래언덕에 매몰되어 중태에 빠졌던 28세 남성이 결국 병원에서 사망했다.{goog… 더보기

경제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돈 관리법

댓글 0 | 조회 926 | 21시간전
금리의 오르내림과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매번 뉴스 헤드라인에 흔들려 재정 계획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 프랜시스 쿡 금융 저널리스트는 침착함을 유지하고 대부… 더보기

[업데이트] 알버트 파크 신생아 시신 발견 후 여성 기소

댓글 0 | 조회 680 | 21시간전
어제 오전 오클랜드 알버트 파크에서 신생아 시신이 발견된 사건과 관련해 한 여성이 기소됐다.오클랜드 시 경찰 수사국의 애쉬 매튜즈 수석 형사는 “일요일 오전 7시… 더보기

얼굴 인식 기술 도입 위한 정책 조율 시작

댓글 0 | 조회 392 | 21시간전
뉴질랜드 정부가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해 소매점 범죄를 억제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최근 법무장관과 관련 기업 오로르(Auror)가 만나 기술 규제 개선에 … 더보기

급증하는 퀸스타운 관광객, 지역사회에 부담 가중

댓글 0 | 조회 707 | 21시간전
퀸스타운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다양한 액티비티로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인구 약 5만 명의 소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성수기에는 하루에… 더보기

집 대출 없이도 생활비 부담에 허덕이는 은퇴자들

댓글 0 | 조회 1,138 | 21시간전
뉴질랜드에서 주택 대출을 모두 갚은 은퇴자들조차 생활비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급등하는 지방세, 보험료, 전기요금 등이 재정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google… 더보기

아르헨티나, 40년 만에 홈에서 올블랙스 꺾고 역사적 승리

댓글 0 | 조회 542 | 21시간전
2025년 8월 24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리포비탄-D 럭비 챔피언십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는 뉴질랜드 올블랙스를 29-23으로 제압하며 홈에서의 첫 승리를 … 더보기

유엔의 가자지구 기근 선언, 뉴질랜드의 입장은?

댓글 0 | 조회 396 | 1일전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유엔이 공식적으로 가자지구에 기근이 발생했다고 선언했지만, 뉴질랜드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여부 결정이 앞당겨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보기

부자 외국인들, 다시 뉴질랜드 주택 구입 허용

댓글 0 | 조회 1,003 | 1일전
정부가 올해 말부터 고액 자산가 외국인들에게 주택 구입을 다시 허용할 예정이다.2018년 해외 투자법 개정 이후, 외국인은 뉴질랜드 주택을 살 수 없었다. 예외는… 더보기

티마루 열악한 임대주택, 집주인에게 배상 명령

댓글 0 | 조회 458 | 1일전
임대차 재판소(Tenancy Tribunal)는 남섬 티마루(Timaru)의 열악한 임대주택 집주인에게 배상 명령을 내렸다. 문제가 된 집은 검은 곰팡이, 바닥 … 더보기

랑이토토 화산 마그마, 600년이 지난 지금도 따뜻해

댓글 0 | 조회 430 | 1일전
오클랜드 대학교 연구진은 랑이토토섬 아래의 굳어진 마그마가 형성된 지 6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랑이토토 화산… 더보기

AI 기술을 활용한 첫 지방선거, "의원인가, 챗봇인가?"

댓글 0 | 조회 288 | 1일전
이번 지방선거에서, 로토루아 레이크 카운슬(Rotorua Lakes Council)의 후보자들이 선거운동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서로 다른…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시스템 경보로 우회 착륙

댓글 0 | 조회 316 | 1일전
오클랜드에서 블레넘으로 향하던 에어뉴질랜드 항공편 NZ5509가 비행 도중 시스템 이상 알림이 발생해 뉴플리머스 공항으로 우회 착륙했다.에어뉴질랜드의 수석 안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