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서 보험 가입자들의 불만과 분쟁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이는 최근 보험료 급등과 생활비 위기가 맞물리며, 소비자들이 기존보다 더 많은 보상을 기대하지만 그만큼 실망이나 갈등도 커지는 현상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 및 금융서비스 옴부즈만(Karen Stevens) 측에 따르면, 2024년 7월~2025년 6월까지 소비자와 보험사 등 금융서비스업체 간 공식 조사 대상 분쟁이 600건에 달해 전년 대비 25% 증가했고 민원 및 문의 건수는 4,293건이나 됐다.
특히 집, 가재도구, 자동차 보험료는 최근 1년 새 각각 25~28%씩 폭등했으며, 3년 누적으로는 51%나 인상됐다.
보험료 오를수록, 소비자 기대는 높아져 옴부즈만은 "많은 민원이 빠르게 내부에서 해결되지만, 내부 절차를 거쳐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유에 대해 “보험료 인상에 따른 혜택 기대 상승, 복잡한 약관 해석, 생활비 위기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전체 분쟁의 약 3분의 2는 ‘일반 보험’(집, 자동차, 가재도구, 여행보험) 관련이었다.
가령 어떤 남성은 도난 후 회수된 레인지로버 차량의 수리비 3만7천 달러는 보험금으로 지원받았지만,냉방고장, 침수, 메스암페타민(필로폰) 오염 등 추가 문제에 대해선 “보험 약관상 기존 손상·무관 손상”으로 보상 불가 판정이 났다.
옴부즈만은 "보험금 지급은 약관과 증거에 기반해 판단된다"며 "만약 보험금 산정에 동의하지 못할 경우, 추가 손상이 있었거나 보상이 부당하다는 점을 직접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보험료 부담은 뉴질랜드 국민의 네번째 큰 경제적 걱정거리로 부상했다.
일부 소비자들은 실제로 보험을 포기하거나, 보장 범위 축소, 회사 이동 등을 고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약관의 꼼꼼한 확인, 다른 보험사 상품 비교, 필요시 분쟁조정 절차 이용"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결과적으로 rising cost-of-living과 보험료 인상이, 소비자의 기대와 서비스 불신을 낳아 분쟁 증가로 직결되고 있음을 각종 실태조사가 보여주고 있다.
Source: RN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