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원 도용, 피싱, 문자·이메일 사기 등 다양한 금융사기 수법이 전국적으로 급증하면서, 누구나 피해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산과 개인정보 보호는 남의 일이 아니라 내 일”이라며, 사기의 주요 유형과 예방법 숙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범죄자들은 내 개인정보를 빼내 내 이름으로 대출을 받거나, 통장과 신용카드를 몰래 개설하는 등 다양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대표적 수법은 다음과 같다.
·은행, 정부기관, 경찰 등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요구
·내 우편물 도난
·쓰레기·재활용함에 버린 문서에서 개인정보 추출
·이메일·문자를 통한 피싱(가짜 링크 클릭 유도)
·내 SNS 계정을 복제해 친구들에게 접근
·대형 포털이나 기관의 정보유출을 빌미로 직접 개인정보 요구
최근 기업이나 기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유출 사고를 계기로, 범죄자들이 “정보 유출이 발생했다”며 직접 연락해 개인정보를 추가로 요구하는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 항상 공식 경로 외 연락은 의심해야 하며, 비밀번호 등은 절대 전송하지 말아야 한다.
이메일·문자·전화 사기, 가장 흔하지만 가장 치명적
·모르는 번호, 생소한 이메일이나 문자에서 온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 것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연락은 즉시 삭제
·실수로 클릭했을 경우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고, 은행이나 관계기관에 신속히 신고
·항상 두 단계 인증(2FA) 등 추가 보안 설정을 해 두는 것이 효과적
회사 운영자나 직원의 이름을 도용한 피싱(Phishing)·스미싱(Smishing) 시도가 늘고 있다.
·2단계 인증(2FA) 활성화
·소프트웨어·보안 시스템 최신 상태 유지
·고객·직원 모두 수상한 메일·문자에 대한 내부 교육 필수
내 정보는 ‘나부터’ 안전하게…
·‘절대’ 모르는 이메일·문자 링크 클릭 금지
·가족이나 동료에게도 항상 주의를 당부
·조금이라도 이상하거나, 평소와 다른 점이 느껴진다면 곧장 은행·관련기관에 신고
·사회 전체가 경계심을 갖고 협력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엔 반드시 신고하세요!
·알지 못하는 번호나 이메일에서 중요한 정보를 요구할 때
·실제 기관을 사칭한 연락을 받을 때
·내 계좌에서 이상한 출금이나 거래가 있을 때
·의심가는 문서·기기를 발견했을 때
“사기와 금융범죄는 바로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작은 의심, 빠른 신고가 내 자산과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첫 걸음입니다.”
관련 신고처:
·은행 고객센터
·경찰 105 또는 온라인
·악성 메일, 사기 문자 신고: [NCSC, CERT NZ 등 공식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