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Z세대 유치 ‘파격’…국제인 대상 워크라이트 확장, 글로벌 교육 판도 바꾼다

뉴질랜드, Z세대 유치 ‘파격’…국제인 대상 워크라이트 확장, 글로벌 교육 판도 바꾼다

0 개 1,679 KoreaPost

a3aca0fb12910bb9daa1a4adb104c40d_1752781578_4648.jpg
 

뉴질랜드는 오랜 기간 고품질 교육과 자연 환경으로 국제 유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나라였다. 최근에는 파격적인 정책 개혁을 통해 세계적 유학 허브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그 중심에는 국제 학생 워크라이트(취업허가) 확대와 ‘International Education Going for Growth’(국제교육 가치 2배 도약) 전략이 있다.



뉴질랜드 정부는 외국인 유치 학비 수입을 2024년 36억 달러에서 2034년 72억 달러로 2배 성장시키는 목표를 내세웠다. 이를 위해 우수한 학업 환경뿐 아니라 유학생의 현지 아르바이트와 경력 개발 기회를 확대해 경제적 지원과 경험 중심 학습을 보장한다는 전략이다.


2025년 11월부터 뉴질랜드 내 유효 학생비자 소지자는 학기 중 주 25시간까지 합법적으로 근무할 수 있게 된다(기존 20시간 제한에서 확대). 이 정책은 현지 생활비 마련뿐 아니라, 실제 현장 실습·파트타임 근무를 통한 경력 형성에 중점을 둔다.


관광·호스피탈리티 등 실무 분야 학생에 특히 호재

·뉴질랜드는 관광·숙박·여행 산업이 발달해 있어, 시간제·시즌제 일자리 많음

·전공과 직접 연계된 실습, 여행사·호텔·리조트·아트랙션 인턴십, 운영 체험 가능

·실제 근로경험을 통해 취업 경쟁력과 현지 네트워크 형성 가능


이러한 제도 덕분에 학업과 커리어 개발의 균형이 한층 쉬워진다는 평가다.


장기유학생 위한 ‘멀티-이어(다년) 비자’ 도입 시범 실시

워크라이트 확대 외에도, 뉴질랜드는 장기 유학생의 비자 간소화와 안정성 확보를 위해 ‘Pathway Student Visa’(경로형 학생비자) 파일럿을 시행 중이다.


·한 번의 비자 신청으로 최대 3개 학위(최대 5년간 연속 수학) 가능

·매년 비자 갱신하는 번거로움 없이 학습-실무-인턴십이 이어지는 체류 요건 보장

·특히 관광·여행 등 현장실습 위주 전공생에게 실질적 이점

·경제·문화 파장, 글로벌 유학생 경쟁 본격화

이러한 근본적 변화는 뉴질랜드 경제와 문화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024년 1~8월 인도 유학생 34% 증가, 전체 해외유학생 73,535명(작년 동기 대비 6% 증가) 등 유입세가 역대급.


유학생 소비 파급 효과

·교육, 생활, 관광, 숙박, 외식업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다문화 교류 통한 현지 인적자본·글로벌 인재 네트워크 강화

·관광산업 인재 배출과 성장

·교육과 노동이 연계돼 지역 관광업 경쟁력 상승

·지속가능 관광, 현지화, 혁신역량 등 미래 관광산업 선도 기반 마련


관광·여행 관련 전공 기회 ‘풍성’

뉴질랜드는 여행, 관광경영, 지속가능 관광, 호스피탈리티 등 다양한 전문 커리큘럼 제공.

·실무 위주 학습, 현장 연계 인턴십 수업이 일반적

·실제 취업/경력 개발과 직결되는 현장 프로그램 풍부

·여행사, 항공, 호텔, 관광 안내, 마케팅, 이벤트, 커뮤니티 개발 등 다양한 진로로 연결

·워크라이트와 멀티-이어 비자 정책 강화로 실제 경험 기반 학습 기회가 확대된다.


이민당국(Immigration New Zealand)의 역할과 국제학생 지원

·학생비자, 멀티-이어 비자, 연장 및 변경 프로세스의 간편화

·정착·주거·생활·노동법 등 종합 안내, 상담

·현지 적응 및 졸업 후 경력 관리 지원


정책 변화로 뉴질랜드는 청년 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글로벌 유학지로 도약하고 있다.

·‘유학-취업’ 연계, 현장경험과 학습의 동행

·비자·노동·경력관리 지원의 체계화

·관광·호스피탈리티 등 현장 밀착형 전공 중심 성장

·지속적인 정책 혁신을 통한 국가 브랜드 강화


2025년의 뉴질랜드, 유학생이 곧 미래 관광산업과 지역경제의 주역이라는 선언이다. 현장 경험-글로벌 네트워크-교육이 어우러져, 현지와 세계를 잇는 인재를 만드는 ‘뉴 웨이브’가 본격 시작됐다.


Source: Travel And Tour World

뉴질랜드 임대주택 ‘반려동물 규정’ 새 법률 도입… 임대인·세입자 모두 대비 필요

댓글 0 | 조회 248 | 1시간전
뉴질랜드 임대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새로운 법안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 발표가 예고된 이번 주택 임대 관련 새 법률은 임대주택에서의 반려동물 허용… 더보기

키위세이버 과도한 보수적 투자, 은퇴 소득 30% 감소

댓글 0 | 조회 149 | 1시간전
뉴질랜드 금융시장당국(Financial Markets Authority)의 최근 키위세이버 리포트에 따르면, 65세 이상 은퇴자들이 너무 보수적인 투자 전략으로 … 더보기

뉴질랜드 2분기 GDP -0.9% 충격, 주요 은행들 금리 인하폭 상향 조정

댓글 0 | 조회 202 | 1시간전
뉴질랜드 경제가 2025년 2분기 예상보다 심각한 0.9% 경기 위축을 기록했다. 이는 당초 경제학자들과 뉴질랜드 준비은행(RBNZ)의 예상치인 0.3~0.4% … 더보기

뉴질랜드, AI 도입 가속화 없이는 장기적 경제 지속 불가능 — 장관 경고

댓글 0 | 조회 102 | 1시간전
뉴질랜드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 7년간 최대 7천만 달러를 AI 연구에 투자한다고 셰인 레티(Dr. Shane Reti) 과학·혁신·기술부 장… 더보기

뉴질랜드 공공부문 일자리 급감에 신입 졸업자들 ‘해외 진출’ 모색

댓글 0 | 조회 896 | 8시간전
최근 뉴질랜드 공공부문 내 신입 졸업자용 일자리와 인턴십 자리가 지난 2년간 약 3분의 1 가까이 줄어들며 졸업자들이 진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격을 갖추… 더보기

뉴질랜드 2025년 “최고의 직장” 명단 공개 — 중소기업 & 중대형 기업 부문

댓글 0 | 조회 1,231 | 8시간전
글로벌 직장문화 조사기관 Great Place To Work NZ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뉴질랜드 최고의 직장(Best Workplaces in New Zeal… 더보기

[금요열전] 도전의 바다를 건넌 소녀, 제시카 왓슨 이야기

댓글 0 | 조회 245 | 9시간전
2009년, 전 세계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는 한 소녀의 요트에 집중됐다. 키는 작고 얼굴은 앳된 십대 소녀, 제시카 왓슨(Jessica Watson). 그녀는 호주… 더보기

뉴질랜드, 국제입양 관련 법 개정에 따른 우려 급증 — 아이들의 삶을 위한 제도 …

댓글 0 | 조회 435 | 9시간전
최근 뉴질랜드 정부는 국제 입양 과정에서 아동과 청소년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입양법 17조를 긴급 개정했다. 이 개정안은 국제 입양 경로에서 검증 없이 입양… 더보기

2025년 7월 뉴질랜드 구직신청 건수 사상 최고치 기록

댓글 0 | 조회 522 | 9시간전
뉴질랜드 직업 정보 사이트 SEEK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7월 구직신청 건수가 2%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노동시장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8월 … 더보기

'여행가방 속 아이들 시신' 재판, 피고 측 유일한 증인 출석

댓글 0 | 조회 1,237 | 15시간전
2018년 오클랜드에서 두 자녀를 숨지게 한 엄마 하경 리 재판에서, 한 법의학 정신과 의사가 “리가 항우울제를 주스에 타서 아이들에게 먹였다”고 증언했다.리는 … 더보기

GDP 하락,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어떤 의미?

댓글 0 | 조회 551 | 15시간전
뉴질랜드 경제가 예상보다 더 나쁜 상황에 빠지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깊고 긴 침체를 겪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더보기

전 탈리스 매니저, ACC 관련 서류 위조 가능성 드러나

댓글 0 | 조회 230 | 15시간전
뉴질랜드 식품기업 탈리스 그룹(Talley’s Group)의 전직 매니저가 ACC(산재 보상 기관) 청구 관련 문서를 위조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더보기

그리핀스, 넬슨의 Proper Crisps 공장 폐쇄 제안

댓글 0 | 조회 215 | 16시간전
그리핀스 스낵스(Griffin's Snacks)가 넬슨(Nelson)에 있는 Proper Crisps 공장을 폐쇄하고 모든 스낵 제조를 사우스 오클랜드의 위리(W… 더보기

법 개정 예정이지만..."창고 옮겨라"

댓글 0 | 조회 441 | 17시간전
해밀턴에 사는 브라이언 모건은 집에 작은 창고를 지었는데, 시의회가 허가 없이 경계 가까이에 지었다며 옮기라고 했다. 안 옮기면 하루에 2만 달러 벌금을 내야 한… 더보기

엘니뇨, 알레르기 증상 악화시켜

댓글 0 | 조회 310 | 18시간전
봄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눈 가려움, 콧물, 목 간지러움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최근 연구는 기후 현상인 엘니뇨가 오클랜드 주민들의 알레르기 증상을 악화시켰… 더보기

뉴질랜드 공립병원 전문의들, 9월 23일~24일 48시간 총파업 돌입…응급환자만 …

댓글 0 | 조회 1,173 | 1일전
뉴질랜드 전국 공립병원 고위직 전문의(ASMS 소속)가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9월 23일(화) 오전 7시부터 24일(수) 오전 7시까지 48시간 연속 총파업에… 더보기

뉴질랜드, 전립선암 진단 연간 2배 증가 예상…의사들 치료 위기 경고

댓글 0 | 조회 949 | 1일전
뉴질랜드에서 전립선암 진단 건수가 향후 20년 내 두 배로 늘어나 2045년에는 연간 8,000건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의료진이 심각한 치료 위기를 경고하고 … 더보기

건설업, 2025년 2분기 뉴질랜드 기업도산 1위…비즈니스 서비스·소매업도 급증

댓글 0 | 조회 915 | 1일전
2025년 2분기 뉴질랜드 기업도산(인솔번시) 통계에서 건설업이 187건으로 1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가장 심각한 도산 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더보기

학교 방학 시작과 함께 강한 비바람…남부는 짧은 ‘소강’ 후 다시 비 예보

댓글 0 | 조회 905 | 1일전
학교 방학이 시작되는 이번 주, 밤새 많은 지역에 거센 비바람을 몰고 온 전선이 오늘 북섬 전역을 지날 전망이다. 남은 지역에는 서남풍을 타고 차갑고 소나기가 동…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2분기 GDP 0.9% 급감, 예측치 크게 웃돌아

댓글 0 | 조회 445 | 1일전
뉴질랜드 경제가 올해 2분기에 예상보다 크게 위축되었다고 공식 수치가 나타냈다. 통계청(Stats NZ)은 6월 말로 끝나는 3개월간 국내총생산(GDP)이 0.9… 더보기

뉴질랜드 여성들의 은퇴 저축 격차, 키위세이버 성장에도 여전해

댓글 0 | 조회 511 | 1일전
최근 은퇴위원회(Retirement Commission)가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뉴질랜드 여성들의 은퇴 저축액이 남성에 비해 평균 25% 적으며, 이 격차는 나… 더보기

젠지(Gen Z)와 밀레니얼 세대, 전통 검색 대신 AI로 쇼핑 조언 선호 급증

댓글 0 | 조회 230 | 1일전
최근 전 세계 조사 결과, 젠지와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들이 제품 검색과 쇼핑 조언을 받을 때 기존의 검색엔진이나 SNS, 인플루언서보다 인공지능(AI) 플랫폼을 … 더보기

와이테마타 경찰, 홉슨빌 주차장 총격 사건 관련 추가 체포…총 3명 검거

댓글 0 | 조회 416 | 1일전
와이테마타 경찰은 이번 주 화요일 오후 오클랜드 홉슨빌의 한 주차장에서 발생한 폭력 사건과 관련해 두 명을 추가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사건 관련 체포자는 총… 더보기

뉴질랜드 임대료 하락세…"신규 임차인 절반 이상이 이전 세입자보다 낮은 임대료 지…

댓글 0 | 조회 1,651 | 1일전
뉴질랜드에서 올해 새로 임대계약을 체결한 임차인 중 최소 3분의 1 이상이 이전 세입자보다 낮은 임대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도시개발부(HUD) 대변… 더보기

주택 가격 하락이 첫 주택 구매자 호재로 작용

댓글 0 | 조회 700 | 1일전
뉴질랜드 주택 시장은 지난 28개월 동안 단 두 차례만 판매량이 감소하는 등 고전하지만, 최근 가격 하락과 주택 구매 여건 개선으로 특히 첫 주택 구매자에게는 좋…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