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클랜드공항 마약 밀수 ‘홍수’…은폐조차 시도하지 않는 밀수범들, 압수량도 사상 최대

오클랜드공항 마약 밀수 ‘홍수’…은폐조차 시도하지 않는 밀수범들, 압수량도 사상 최대

0 개 2,380 KoreaPost

993d58c902782bb6ce9ac16ad76577bd_1752610346_5093.jpg
 

뉴질랜드 최대 관문인 오클랜드 국제공항에서 마약 밀수 시도가 사상 최대 규모로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범죄조직들이 아예 마약을 감추지 않고 ‘그대로’ 들여오는 사례가 늘고 있어 세관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뉴질랜드 전국 세관이 압수한 메스암페타민, 코카인, MDMA 등 마약류는 1,600kg에 달한다. 이 중 오클랜드공항이 담당한 압수량만 542kg(일부 집계 기준)으로, 매월 대규모 적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대표적 사례로, 5월 말 하루 동안 두 건의 단속에서 50kg, 17.8kg 메스암페타민 및 1.1kg 코카인 등 합산 67.8kg(시가 약 2,600만 달러 상당)의 마약이 적발된 바 있다.



오클랜드공항 세관 관리자 폴 윌리엄스는 “과거와 달리 요즘은 범죄조직이 마약을 숨기려는 노력 자체를 포기하고 있다. 택배나 여행가방을 열면 마약이 그대로 담겨 있는 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범행 수법의 변화는 밀수범들의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명 ‘손실 감수’ 즉, 일부를 압수당하는 것을 사업의 불가피한 손실로 여기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2000년대 초 윌리엄스가 입사할 당시에는 마약 밀수 시도가 드물었고, 적발돼도 치밀하게 은폐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메일, 택배, 항공화물, 승객 수하물 등에서 매일같이 마약이 발견되고 있으며, 한 항공편에서만 101kg의 코카인이 압수되기도 했다.


오클랜드 세관은 다양한 항로와 출발지에서 도착하는 화물을 철저한 데이터 분석과 탐지견, 국제 정보 협력을 통해 감시한다.


남미, 아시아 등이 주요 공급지이지만, 최근엔 범죄조직이 출발지를 위장하기 위해 다수 경로를 이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에 따르면, "국제 조직범죄 네트워크가 불법 마약 수요를 급격히 늘리고 있으며, 공급과 수요 통제를 위한 ‘국가 간 협력’이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윌리엄스 관리자는 “마약이 국내에 들어오기 전 국외에서 차단하는 것이 사회적·재정적 가장 큰 이익”이라고 설명했다. "법원 절차와 폐기 비용 등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 마약이 유입되면 국민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해악이 막심하다"고 말했다.


또 주요 물류업체(DHL, FedEx 등)와의 협업, 공급망 교육, 그리고 ‘승인경제운영자(Authorised Economic Operator) 프로그램’ 등으로 보안 취약점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관청 측은 시민들에게 의심스러운 활동을 본 경우 0800 WE PROTECT(0800 937 768) 또는 익명 제보처 Crimestoppers(0800 555 111)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압수량 증가와 더불어 수법의 대담화, 유통망의 다각화 등으로 인해 오클랜드공항에서의 마약과의 전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경제적 피해를 막으려면 정부 기관과 기업, 시민 모두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Source: RNZ

뉴질랜드 임대주택 ‘반려동물 규정’ 새 법률 도입… 임대인·세입자 모두 대비 필요

댓글 0 | 조회 550 | 3시간전
뉴질랜드 임대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 더보기

키위세이버 과도한 보수적 투자, 은퇴 소득 30% 감소

댓글 0 | 조회 281 | 3시간전
뉴질랜드 금융시장당국(Financia… 더보기

뉴질랜드 2분기 GDP -0.9% 충격, 주요 은행들 금리 인하폭 상향 조정

댓글 0 | 조회 373 | 3시간전
뉴질랜드 경제가 2025년 2분기 예… 더보기

뉴질랜드, AI 도입 가속화 없이는 장기적 경제 지속 불가능 — 장관 경고

댓글 0 | 조회 170 | 3시간전
뉴질랜드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 더보기

뉴질랜드 공공부문 일자리 급감에 신입 졸업자들 ‘해외 진출’ 모색

댓글 0 | 조회 949 | 10시간전
최근 뉴질랜드 공공부문 내 신입 졸업… 더보기

뉴질랜드 2025년 “최고의 직장” 명단 공개 — 중소기업 & 중대형 기업 부문

댓글 0 | 조회 1,312 | 10시간전
글로벌 직장문화 조사기관 Great … 더보기

[금요열전] 도전의 바다를 건넌 소녀, 제시카 왓슨 이야기

댓글 0 | 조회 266 | 10시간전
2009년, 전 세계 언론의 스포트라… 더보기

뉴질랜드, 국제입양 관련 법 개정에 따른 우려 급증 — 아이들의 삶을 위한 제도 …

댓글 0 | 조회 460 | 10시간전
최근 뉴질랜드 정부는 국제 입양 과정… 더보기

2025년 7월 뉴질랜드 구직신청 건수 사상 최고치 기록

댓글 0 | 조회 552 | 10시간전
뉴질랜드 직업 정보 사이트 SEEK의… 더보기

'여행가방 속 아이들 시신' 재판, 피고 측 유일한 증인 출석

댓글 0 | 조회 1,274 | 16시간전
2018년 오클랜드에서 두 자녀를 숨… 더보기

GDP 하락,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어떤 의미?

댓글 0 | 조회 573 | 17시간전
뉴질랜드 경제가 예상보다 더 나쁜 상… 더보기

전 탈리스 매니저, ACC 관련 서류 위조 가능성 드러나

댓글 0 | 조회 242 | 17시간전
뉴질랜드 식품기업 탈리스 그룹(Tal… 더보기

그리핀스, 넬슨의 Proper Crisps 공장 폐쇄 제안

댓글 0 | 조회 231 | 17시간전
그리핀스 스낵스(Griffin's S… 더보기

법 개정 예정이지만..."창고 옮겨라"

댓글 0 | 조회 455 | 19시간전
해밀턴에 사는 브라이언 모건은 집에 … 더보기

엘니뇨, 알레르기 증상 악화시켜

댓글 0 | 조회 320 | 19시간전
봄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눈 가… 더보기

뉴질랜드 공립병원 전문의들, 9월 23일~24일 48시간 총파업 돌입…응급환자만 …

댓글 0 | 조회 1,187 | 1일전
뉴질랜드 전국 공립병원 고위직 전문의… 더보기

뉴질랜드, 전립선암 진단 연간 2배 증가 예상…의사들 치료 위기 경고

댓글 0 | 조회 965 | 1일전
뉴질랜드에서 전립선암 진단 건수가 향… 더보기

건설업, 2025년 2분기 뉴질랜드 기업도산 1위…비즈니스 서비스·소매업도 급증

댓글 0 | 조회 930 | 1일전
2025년 2분기 뉴질랜드 기업도산(… 더보기

학교 방학 시작과 함께 강한 비바람…남부는 짧은 ‘소강’ 후 다시 비 예보

댓글 0 | 조회 924 | 1일전
학교 방학이 시작되는 이번 주, 밤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2분기 GDP 0.9% 급감, 예측치 크게 웃돌아

댓글 0 | 조회 453 | 1일전
뉴질랜드 경제가 올해 2분기에 예상보… 더보기

뉴질랜드 여성들의 은퇴 저축 격차, 키위세이버 성장에도 여전해

댓글 0 | 조회 525 | 1일전
최근 은퇴위원회(Retirement … 더보기

젠지(Gen Z)와 밀레니얼 세대, 전통 검색 대신 AI로 쇼핑 조언 선호 급증

댓글 0 | 조회 241 | 1일전
최근 전 세계 조사 결과, 젠지와 밀… 더보기

와이테마타 경찰, 홉슨빌 주차장 총격 사건 관련 추가 체포…총 3명 검거

댓글 0 | 조회 425 | 1일전
와이테마타 경찰은 이번 주 화요일 오… 더보기

뉴질랜드 임대료 하락세…"신규 임차인 절반 이상이 이전 세입자보다 낮은 임대료 지…

댓글 0 | 조회 1,667 | 1일전
뉴질랜드에서 올해 새로 임대계약을 체… 더보기

주택 가격 하락이 첫 주택 구매자 호재로 작용

댓글 0 | 조회 709 | 1일전
뉴질랜드 주택 시장은 지난 28개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