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뉴질랜드의 홈케어 및 커뮤니티 지원 근로자들은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돌보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낮은 임금과 부족한 차량 보상 등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들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낮은 임금을 받는 직업군 중 하나로, 시급이 최대 약 29달러(약 4만 원)에 불과하다.
특히, 이들은 업무를 위해 자가 차량을 사용하지만, 보상금은 내국세청(Inland Revenue Department)이 권고하는 기준(연간 14,000km 이하 시 km당 1.04달러)보다 훨씬 낮다. 예를 들어, 남섬의 지원 근로자 산드라는 15km 미만 이동 시 2.35달러, 그 이상은 km당 0.635달러를 받는다고 밝혔다. “10~11km를 이동해도 2.35달러만 받는다. 차량 유지비가 너무 많이 들어, 동료 중에는 차량 정비에만 1년에 3,000달러 이상을 쓴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산드라는 20년 넘게 이 분야에서 일해왔지만, 휘발유와 차량 유지비는 계속 오르는데, 보상금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했다. 또, 첫 고객 집에 가는 길과 마지막 고객 집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는 보상금을 받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차량 검사(WOF)와 등록비용이 부담돼 한 번은 차량 검사 없이 운행하다가 400달러 벌금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정부가 페이엑비티(임금평등) 관련 법을 개정하면서, 여성 비율이 90%에 달하는 이 분야 근로자들의 임금 및 차량 보상금 인상 요구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됐다. 이에 따라, 이들은 페이엑비티 소송을 통해 임금과 보상금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이제는 그 길이 막혔다.
E Tū 노조 커뮤니티 지원 담당 매트 다나허(Matt Danaher)는 “이 문제는 임금평등 이슈이며,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산관리관 등 남성 중심 직업에서는 회사 차량과 연료카드를 제공받지만, 여성 중심의 홈케어 근로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헬스 뉴질랜드(Health NZ)는 근로자들의 차량 보상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헬스 뉴질랜드의 마크 파월(Mark Powell) 대행 국장은 “노화 관련 모델의 일환으로, 차량 보상금 시스템을 개선해 근로자들에게 더 나은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보건부 장관과 ACC 장관이 연례적으로 보상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건부 장관 시메온 브라운(Simeon Brown)과 노인부 장관 케이시 코스텔로(Casey Costello)는 헬스 뉴질랜드에 개선 방안을 보고하도록 요청했다. 코스텔로 장관은 “좋은 홈케어 시스템을 위해 차량 보상금과 자금 문제를 더 잘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버카길(IDEA Services) 소속 장애인 지원 근로자이자 E Tū 노조 대표 고든 케임브리지(Gordon Cambridge)는 “근로자들이 자가 차량 사용을 강요당하며, 업무를 위해 엄청난 거리를 주행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적절한 보상이 없다면, 이 분야는 계속해서 높은 이직률을 보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동당 노인담당 대변인 잉그리드 리어리(Ingrid Leary)는 “근로자들이 페이엑비티 합의를 기대했으나, 이제는 보상금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직업을 하기 위해 돈을 더 내야 하는 처지가 됐다”고 덧붙였다.
Source: RN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