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진행된 공공 의견수렴에는 약 13,000명의 오클랜드 시민이 참여했으며, 이번 계획은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립되었다.
이 계획은 작년에 채택된 2024-2034년 장기 계획(the Long-term Plan )의 우선순위 및 투자, 그리고 2차년도에 포함된 투자의 이행에 중점을 두고 있다.
웨인 브라운 오클랜드 시장은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장기 계획에 따른 절약 목표를 지키면서도 중요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며 뉴질랜드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의 세율 인상을 유지하게 되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2025/2026 연간 계획은 오클랜드 의회의 올해 서비스 및 투자 계획과 이에 대한 비용 지불 및 제공 방식을 명시한다. 여기에는 평균 주택 가격에 대한 5.8%의 요금 인상(연간 약 $223달러, 주당 $4.29)이 포함된다.
채택된 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평균 주택 가격 기준으로 5.8%의 세금 인상 확정, 총 자본 투자는 43억 달러, 운영 비용은 51억 달러, 추가 부채는 17억 달러로 인프라 투자 비용을 세대 간 분담한다는 내용이다.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집중
오클랜드 카운슬 최고경영자 필 윌슨은 의회의 장기 계획 우선순위를 통해 납세자들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데 계속해서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윌슨은 오클랜드의 재정적, 물리적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예상되는 지역 성장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투자를 지속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교통, 지역 사회, 자연환경, 그리고 건설 환경과 같은 우선순위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12개월 동안 오클랜드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욱 회복력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 도로, 파이프, 교통 인프라에 43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전했다. 자본 투자는 공원, 도서관, 문화 행사 등의 서비스 제공을 지속하기 위한 51억 달러 규모의 운영비로 뒷받침된다.
장기 인프라에 대한 43억 달러의 자본 투자는 17억 달러의 추가 부채로 뒷받침된다. 카운슬은 신중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부채를 활용하여 자본 투자 비용을 이번 투자를 통해 창출되는 자산을 활용할 세대에 걸쳐 분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별 투자 및 분야별 계획
지역별 투자 및 분야별 계획을 살펴보면, 교통(Transport)에 총 투자 $17억의 자본과 $17억의 운영비가 계획되었다.
파쿠랑아에서 보타니 동부 버스웨이를 추진하고, 2026년 시티 레일 링크(CRL) 개통 지원, 도로, 인도, 다리, 페리 탈탄소화, 안전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자원(Water)에는 $12.5억의 자본과 $8.5억의 운영비가 투입된다.
후이아 및 니호토푸 급수 시스템 교체, 스넬스비치 폐수처리장 업그레이드, 중부 도시지역의 폐수 네트워크 개선, 침수 회복 및 지역 수요 대응 역량 강화 등이 계획되어 있다.
건축환경(Built Environment) 분야에는 $1.18억(자본)과 $9천만(운영)이 계획되었다.
망게레, 타마키, 마운트로스킬 지역 인프라 투자, 중앙 부두 재개발 마스터플랜 추진, 주요 지역 재생 사업(타카푸나, 노스코트, 헨더슨, 아본데일, 마누카우, 푸케코헤 등), 오클랜드 도시개발국 신설 등이 이에 속한다.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분야에는 $6,700만(자본)과 $7.21억(운영)이 계획되었다.
해양 및 육상 해충 및 병원균 대응 강화, 카우리 나무 보호 프로그램 지속,
프랭클린과 로드니 지역에 쓰레기 수거 시스템 표준화 적용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커뮤니티(Community) 분야에는 $3.85억(자본)과 $8.65억(운영)이 투입된다.
지역위원회 예산 확대 및 대응력 강화, 스포츠 시설 투자기금 확대, 도심 안전 허브 및 순찰 인력 확대, 유기동물 보호소 수용 능력 강화 등이다.
경제 및 문화 개발(Economic & Cultural Development)분야에는 $7,400만(자본)과 $2.14억(운영)이 투입된다.
파시피카, 디왈리, 랜턴 페스티벌 등 문화행사 개최, 뮤지컬, 콘서트, 전시회 등 국내외 행사 유치, 지역 경기장 운영 계획 수립, 방문객 세(Visitor Levy) 도입 재추진 등이다.
지방정부 운영(Well-managed Local Government)*분야에는 $6.92억의 자본과 운영비가 투입된다.
오클랜드 미래기금(Auckland Future Fund) 수익률 목표는 연 7.24%이며, 마라에 인프라, 마오리 참여 증진 지원, 운영 효율화 목표로 총 절감액 $8,600만 중 $4,700만 추가 달성 예정이다.
오클랜드의 21개 지역위원회(Local Boards)는 각 지역에 맞는 연간 계획을 수립하고, 공원, 도서관, 수영장, 문화활동 등 주민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연간 계획은 21개 지역위원회 간의 재정 불균형을 해소하여 의 각 위원회가 지역 사회의 요구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오클랜드 카운슬에서는 밝혔다.
지역 위원회는 지역 공원, 도서관, 수영장, 지역사회 시설, 지역 예술 및 환경 활동, 그리고 지역 행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클랜드 시민들은 7월 1일부터 연간 계획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카운슬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