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뉴질랜드, 복잡한 데이터 입력이 고객 이탈 부른다…AI 신뢰는 증가세

호주·뉴질랜드, 복잡한 데이터 입력이 고객 이탈 부른다…AI 신뢰는 증가세

0 개 1,774 KoreaPost

1a100a47a4c821aa25d5e163958916f0_1750876451_2379.jpg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가 발표한 ‘2025 고객 경험 벤치마크’ 조사에 따르면,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복잡한 데이터 입력 과정과 구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고객 이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번 글로벌 설문조사는 3,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의료, 금융, 보험 분야의 고객 경험을 분석했다.

AI(인공지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개선되고 있으나, 옴니채널(다채널) 커뮤니케이션과 데이터 입력(폼 작성) 과정에 대한 불만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64%)와 뉴질랜드(60%) 소비자의 약 3분의 2는 데이터 입력 과정이 너무 복잡하면 해당 기업과의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답했다. 밀레니얼(73%)과 Z세대(71%)에서 이 경향이 특히 두드러졌다.


또, 호주 응답자의 61%, 뉴질랜드 응답자의 58%가 서비스 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좋다’ 또는 ‘매우 좋다’고 평가했으나, 84%(호주), 85%(뉴질랜드)는 고객 커뮤니케이션이 전반적 경험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기대에 못 미칠 경우 67%(호주), 61%(뉴질랜드)가 다른 회사로 갈아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 CEO 리 세걸은 “고객의 기대치는 리테일, IT, 이커머스 등 최고의 브랜드가 만든다”며, “헬스케어, 금융, 보험사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고객 충성도와 비즈니스를 잃게 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실제 이점을 체감할 경우 AI 활용에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금융 조언(41%), 보험 플랜 변경 제안(호주 46%, 뉴질랜드 54%), 건강 추천(호주 47%, 뉴질랜드 49%) 등에서 AI의 도움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I의 데이터 보안 및 윤리적 처리에 대한 우려는 절반 이하(보안: 호주 39%, 뉴질랜드 45% / 윤리: 호주 39%, 뉴질랜드 44%)로 나타났다. AI 활용 시 매번 고지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1년 전 77%에서 37%로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AI가 고객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능력에 대한 신뢰는 낮았다(호주 15%, 뉴질랜드 9%). 과반수(호주 51%, 뉴질랜드 55%)는 AI가 만든 콘텐츠에 반드시 인간의 검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비스 제공자의 옴니채널 경험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4%였다.

일관된 채널 경험을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호주 53%, 뉴질랜드 44%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79~97세 ‘사일런트 제너레이션’이 이메일(48%)을 가장 선호했고, Z세대는 39%만이 이메일을 1순위로 꼽았다. 전체적으로 인쇄물(우편)은 12%로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폼 작성의 복잡함은 고객 불만의 주요 원인이다. 응답자의 3분의 2는 데이터 입력 과정이 번거로울 경우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답했다. 90%는 ‘간편함’과 ‘신속함’을 최우선 가치로 꼽았다.


63%는 PDF보다 안내형 디지털 폼을 선호했다. 디지털 데이터 수집 옵션에 대한 선호도는 호주 80%, 뉴질랜드 74%로 높게 나타났다.


리 세걸 CEO는 “소비자들은 AI의 역할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며, “기업은 AI와 스마트한 옴니채널 경험을 통해 고객 기대를 뛰어넘는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보험, 금융,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과 세대별, 지역별로 세분화된 고객 경험 데이터를 제공한다.


호주와 뉴질랜드 기업들은 복잡한 데이터 입력과 구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개선하지 않으면 고객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I와 디지털 전환, 옴니채널 전략이 고객 경험 혁신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Source: IT Brief New Zealand

[Ad] 뉴질랜드의 겨울, 온천 여행 떠나볼까?

댓글 0 | 조회 4,276 | 2025.06.17
겨울이 성큼 다가온 계절, 뉴질랜드에서 온천 여행을 하려면 어디로 가면 될까?오클랜드에 사는 사람들이 1박 2일 또는 당일로 힐링 여행을 포함해 온천을 할 수 있… 더보기

잇따른 주택 화재 참사에 “화재 안전 각별히 유의해야”

댓글 0 | 조회 411 | 5시간전
Fire and Emergency New Zealand는 최근 치명적인 주택 화재가 급증함에 따라 국민 모두에게 화재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더보기

주택 가격 회복, 매수심리 위축에 제동…ANZ “주택시장 일시 정체, 기준금리 인…

댓글 0 | 조회 1,080 | 8시간전
뉴질랜드 주택시장은 올해 초의 소폭 상승세 이후 6월 들어 동력을 잃었다. ANZ에 따르면 6월 전국 주택가격지수(REINZ, 계절조정 기준)는 0.3% 하락했고… 더보기

보건 단체, 총리에게 NZ 퍼스트당 담배 산업 영향력 차단 촉구

댓글 0 | 조회 321 | 8시간전
보건 연합체인 헬스 코얼리션 아오테아로아는 총리 크리스토퍼 럭슨에게 뉴질랜드 퍼스트당(NZ First)으로부터 담배 및 전자담배 정책 책임을 즉각적으로 박탈할 것… 더보기

랑아타히(청년) 주도, 국제기후회의 시뮬레이션에서 기후 협상 이끈다

댓글 0 | 조회 111 | 8시간전
내일(7월 26일), 뉴질랜드 청년들이 ‘아오테아로아 유스 COP(Aotearoa Youth COP)’ 행사에 모여 기후 정책을 협상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며 기후 … 더보기

뉴질랜드 ‘Yourlocaldoctor’ 웹사이트, 7월 28일 헬스 뉴질랜드 사…

댓글 0 | 조회 507 | 8시간전
뉴질랜드 내 ‘Yourlocaldoctor’ 웹사이트가 7월 28일 월요일을 기해 헬스 뉴질랜드(Health New Zealand)의 국가 통합 웹사이트로 내용을… 더보기

"임금 비밀 유지 금지법 통과 전, 고용주는 미리 대비해야" 노동법 전문가, 준비…

댓글 0 | 조회 723 | 8시간전
뉴질랜드에서 임금 비밀 유지 조항(Pay Secrecy Clause) 금지 법안이 조만간 통과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고용주들에게 사전에 적극적인 준비를 하라는 권… 더보기

관세와 불확실성 완화로 뉴질랜드 인플레이션 전망 개선, 지출도 지연…RBNZ

댓글 0 | 조회 328 | 9시간전
글로벌 관세 인상과 경제 불확실성이 중기적으로 뉴질랜드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기업 투자와 가계 지출을 모두 둔화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뉴질랜드준비… 더보기

노선 잇달아 축소하는 지방 항공사 “치솟는 비용 견딜 수 없어”

댓글 0 | 조회 250 | 9시간전
<Air Sounds, 블레넘-CHCH, CHCH-와나카 노선 9월부터 중단>승객이 상당히 많은 2개의 지방공항 간 노선이 운항을 중단하면서 지역의 관… 더보기

족제비 없는 스튜어트섬 “죽은 족제비가 어떻게?

댓글 0 | 조회 173 | 9시간전
스튜어트섬에서 발견된 죽은 ‘족제비(stoat)’가 논란이 된 가운데 이것이 독극물인 1080 살포로 인한 갈등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지난 7… 더보기

평생 지역사회 위해 산 짐 릴리 CHCH-RSA 회장 별세

댓글 0 | 조회 163 | 9시간전
평생을 갖가지 자원봉사 활동으로 일관한 삶을 살아 존경을 받았던 주인공이 갑자기 별세해 지역주민들이 슬픔과 함께 안타까운 심정들을 소셜미디어를 통해 올리고 있다.… 더보기

“달려라 달려!” 배달차 훔쳐 500km 내달린 소년들

댓글 0 | 조회 191 | 9시간전
10대 초반의 청소년들이 ‘우버이츠(Uber Eats)’ 기사의 차를 훔친 뒤 500km나 몰고 달아난 사건이 벌어졌다.경찰에 따르면 지난주 13살짜리 소년 2명… 더보기

‘찰리’는 CHCH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반려견 이름

댓글 0 | 조회 133 | 9시간전
반려견 등록이 진행 중인 가운데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반려견 이름은 여전히 ‘찰리(Charlie)’인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470마리가 이 이름으… 더보기

CHCH에서 피지로 가던 여객기 “운항 중 오클랜드로 방향 바꿔 착륙”

댓글 0 | 조회 235 | 9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피지로 향하던 ‘피지 항공(Fiji Airways)’의 여객기가 기술적인 문제로 오클랜드로 항로를 돌렸다.7월 22일 오후 1시 15분에 출발할… 더보기

뉴질랜드 시민이 호주로 이주할 때 꼭 알아야 할 정보

댓글 0 | 조회 1,341 | 13시간전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이 호주로 이주하는 경우, 양국이 체결한 ‘트랜스-타스만 여행 협정(Trans-Tasman Travel Arrangement)’ 덕분에 특별한 … 더보기

AF Thomas 공원, 홍수와 레크리에이션의 완벽한 공존을 꿈꾸다

댓글 0 | 조회 349 | 15시간전
오클랜드 시의회는 최근 AF Thomas 공원의 일부를 홍수 저장 습지로 복원하는 두 가지 제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완료했다. 이 계획은 홍수 방어 기능을 강화… 더보기

신임 유아교사, 향후 2년간 최대 2,200만 달러 임금 손실 전망

댓글 0 | 조회 574 | 15시간전
뉴질랜드 정부가 유아교육 분야의 임금 평등제(pay parity) 폐지를 결정함에 따라, 최근 자격을 취득한 신임 유아교사들이 향후 2년간 최대 2,200만 달러… 더보기

Health NZ, NZNO와의 추가 교섭에 집중…간호사 파업 방지 위해 노력

댓글 0 | 조회 349 | 15시간전
Health New Zealand(Health NZ) 최고경영자 데일 브램리 박사는 뉴질랜드 간호사조합(NZNO)의 다음 주 파업을 대비한 비상 계획이 계속 진행… 더보기

골프 뉴질랜드 2025 인재 육성 캠프: 키위 골프의 미래를 다지다

댓글 0 | 조회 311 | 15시간전
골프 뉴질랜드가 주최한 2025년 인재 육성 입문 캠프가 지난 3일간 케임브리지 세인트 피터스 학교에서 개최되어, 전국 각지에서 선발된 유망한 청소년 선수들이 모…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뺑소니 사건, 파란 터번 남성 행방불명…시민들의 제보 요청

댓글 0 | 조회 344 | 15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 경찰은 최근 도시 내에서 발생한 뺑소니 사고와 관련해 시민들의 제보를 요청하고 있다.사고는 7월 23일 수요일 오전 9시 5분경, 번사이드 지역의 … 더보기

공사물량 감소에 붕괴 위기…생존 위해 대대적 할인에 나선 건설사들

댓글 0 | 조회 554 | 15시간전
뉴질랜드 건설업계가 극심한 수주 가뭄과 경기 침체로 생존 위기를 맞고 있다. 건설사들은 신규 일감 확보를 위해 견적가를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등 수익성 악화마… 더보기

[금요열전] Untouched World – “세상을 바꾸는 옷, 뉴질랜드에서 …

댓글 0 | 조회 207 | 15시간전
한 벌의 스웨터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요?크라이스트처치의 작은 작업실에서 시작된 Untouched World는 그 질문에 진심으로 답해온 브랜드입니다. 설립자 … 더보기

현행 인프라 문제 해소 못하는 ‘요율 인상 상한제’…그린당과 독립 후보가 제안한 …

댓글 0 | 조회 189 | 16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 시의회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지방 자치단체들의 급격한 요율(레이트) 인상은 인플레이션 상승에도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현지 정부는… 더보기

'기온역전 현상’ 더니든, 올해 최저기온 기록

댓글 0 | 조회 398 | 20시간전
7월 24일목요일 아침, 기온 역전 현상(temperature inversion)으로 인해 더니든 공항이 영하 6.7도까지 떨어지며 올해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했… 더보기

사망 사고 이후 마라에(Marae), 제한속도 재조정 요구

댓글 0 | 조회 256 | 21시간전
뉴질랜드의 고속도로는 마을을 관통하여 지나는 구간이 많다. 레빈(Levin) 남쪽의 국도 1번(State Highway 1) 구간에서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지는 사… 더보기

보존부(DOC), 구조조정으로 71개 일자리 감축

댓글 0 | 조회 255 | 22시간전
뉴질랜드 보존부(Department of Conservation, DOC)가 정부 기관의 현대화를 이유로 71개 일자리를 감축한다고 밝혔다.이번 발표는 지난 5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