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당 대표 데이비드 시모어가 발의한 ‘규제 기준 법안(Regulatory Standards Bill)’에 대해 공청회 시간이 단 30시간만 배정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테 아오 마오리 뉴스(Te Ao Māori News)에 따르면, 국회 재정·지출위원회(Finance and Expenditure Committee)는 이 법안에 대한 공개 의견 제출 시간을 최대 30시간으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 법안은 2006년, 2011년, 2021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 국회 상정이다.
시모어 대표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법안은 아마 21세기 들어 가장 많이 논의된 법안일 것이라며, 그간의 다수 검토 절차를 근거로 30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임위원회는 여론조사 기관이 아니라, 더 나은 법안을 만들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곳이라며 공청회 시간의 제한을 옹호했다.
그는 만약 사람들이 30시간이 모든 타당한 의견을 듣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자신은 그들이 이 법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노동당의 규제 담당 대변인 던컨 웹은 이 법안은 가장 많이 거절된 법안이라며, 시모어 대표가 이를 국민 몰래 통과시키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수많은 의견을 내고 싶어 하지만 시모어는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모어 대표는 특히 그린피스(Greenpeace)가 시민들에게 의견 제출 방법을 안내한 온라인 캠페인을 비판하며, 대부분은 그린피스가 퍼뜨린 거짓 주장 몇 개를 클릭하고 끝낸 사람들이라며, 법안을 제대로 읽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 대변인 젠 투프는 시모어 대표가 반대 의견을 폄하하려는 비열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신뢰받는 시민사회 단체의 도움을 받아 의견을 전달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배제하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30시간으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조롱이라며, 이 법안은 극우 이념을 입법 과정에 끼워 넣으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투프 대변인은 이 법안에 대한 의견이 제출 과정에서 도움을 받았든 받지 않았든,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밝힐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시모어 대표는 반대 의견에 대해 이토록 적은 실질적 내용을 가지고,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선동된 적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서면 제출이 청취되는 것은 아니고, 청취를 원치 않는 사람도 많다고 말했다.
웹 의원은 이에 대해 법안이 지금까지 계속 거절된 이유가 있다며 국회는 가능한 많은 사람이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패스트트랙 법안은 100시간, 조약 원칙 법안은 80시간의 청취 시간이 배정된 점을 들며, 30시간은 지나치게 부족하고 모욕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