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과 호흡기 감염 급증, AKL입원 50% 이상 증가

COVID-19과 호흡기 감염 급증, AKL입원 50% 이상 증가

0 개 2,127 노영례

6월 1일로 끝나는 한 주 동안 뉴질랜드 전역에서 독감 유사 증상과 COVID-19 감염이 급증하면서, 보건 당국과 지역 의료기관이 큰 압박을 받고 있다.


환경과학연구소(ESR)의 자료에 따르면, 오클랜드 지역에서 중증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입원율이 단 일주일 만에 50% 이상 증가했으며, 폐수 샘플링 결과 COVID-19 감염도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감염 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지만 증가 속도가 빠르다.


전국적 확산 조짐, 노인 요양시설과 유아센터에서 집단 감염

이번 주 보고된 호흡기 감염 집단 발생은 총 5건으로, 이 중 3건은 넬슨-말버러, 캐피털앤코스트, 베이오브플렌티 지역의 노인 요양시설에서 발생했고, 2건은 웰링턴 지역의 유아 교육기관에서 확인되었다.


헬스라인에 접수된 독감 유사 증상 문의도 증가했다. 다만, 작년 같은 시기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839822eab0ee51bc782e8bb72581c415_1749200319_9505.jpg
 

 


일선 의료기관 과부하, 하루 수십 명 거절하기도

로어헛(Lower Hutt)의 한 주민은 지난주 긴급 진료 예약을 위해 여러 차례 GP 진료소에 전화를 걸었지만 예약을 하지 못했고, 결국 로어헛 야간진료센터(Lower Hutt After-Hours Medical Centre)에 가기로 결정했다. 그녀는 구글에서 오후 5시 30분부터 7시까지가 가장 붐빈다고 해서, 오후 7시에 갔더니 ‘오늘은 더 이상 환자 받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녀는 다음 날 아침 8시에 병원이 문을 열자마자 다시 찾아가 마침내 진료를 받았다.


이후 커뮤니티 페이스북 페이지 페이지에 글을 올리자 1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렸고, 다수의 지역 주민들이 같은 경험을 공유했다.


로어헛 야간진료센터(Lower Hutt After-Hours Medical Centre)은 인구 10만 명이 넘는 지역에 단 하나뿐인 워크인 진료소이다. 마크 오코너 센터장은 하루 평균 약 45명의 환자를 진료하지만 겨울철엔 문 열기 전부터 20~30명이 줄 서기도 한다며 의사 3~4명이 동시에 근무하더라도 모두를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GP 부족이 계절적 압박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낮 시간대에 GP 진료를 받지 못한 환자들이 몰려서, 단순한 겨울 질환 외에도 정신건강 문제나 각종 외상 환자도 많아졌다고 말했다.


로어헛 야간진료센터는 다음 달 말 더 넓은 시설로 이전할 예정이며, 연말부터 운영시간 연장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과제는 인력 확보라고 전했다.


 


병원 응급실에도 영향

헬스 뉴질랜드(Health NZ)의 헬렌 스톡스-램퍼드 최고 의료책임자는 GP를 만나지 못하거나 아예 등록조차 안 된 환자들이 응급실로 향하고 있다며, 응급실은 기본적인 호흡기 질환을 다루기 위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헬스 뉴질랜드는 겨울철 유행에 대비해 인력 보강, 병상 운영 최적화, 백신 캠페인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뉴질랜드 국민 100만 명 이상이 독감 백신을 맞았지만, COVID-19 부스터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25만 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스톡스-램퍼드는 접종을 주저하거나 의료 접근성이 낮은 사람들을 위해 지역사회 단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COVID-19 폐수 샘플링 결과, 1주일 사이 75% 급증

5월 18일부터 25일 사이 실시된 ESR의 폐수 검출 결과에 따르면, 보고된 사례 수를 훨씬 초과하는 수준으로 COVID-19 바이러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스 오클랜드의 GP 앨런 모핏은 현재 유행 중인 COVID-19 변이는 독성이 약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위험하다고 밝혔다. 

그는 독감으로 입원한 환자도 여러 명 있었다며 단순한 감기로 넘기기엔 매우 위험한 바이러스라고 경고했다.

[Ad] 뉴질랜드의 겨울, 온천 여행 떠나볼까?

댓글 0 | 조회 2,976 | 2025.06.17
겨울이 성큼 다가온 계절, 뉴질랜드에서 온천 여행을 하려면 어디로 가면 될까?오클랜드에 사는 사람들이 1박 2일 또는 당일로 힐링 여행을 포함해 온천을 할 수 있… 더보기

“온라인 마약 구매로 법정에 선 와이카토 남녀”…경찰·관세청 합동 수사로 대량 압…

댓글 0 | 조회 375 | 6시간전
와이카토 조직범죄수사대와 뉴질랜드 관세청이 합동으로 진행한 수사에서, 해외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판타지(Fantasy, GBL), 1,4-B, 알약 등 불법 마약… 더보기

“상습 절도범 4명, 법정에 선다”…카운티스 마누카우 경찰, 1만7천 달러 상당 …

댓글 0 | 조회 285 | 6시간전
카운티스 마누카우(Counties Manukau) 경찰이 총 1만7천 달러 상당의 식료품 등을 훔친 상습 절도범 4명을 체포했다.이번 주 초, 경찰은 마누레와(M… 더보기

캔터버리, 롤레스턴 방화 사건, 10대 6명 경찰에 체포

댓글 0 | 조회 297 | 8시간전
최근 롤레스턴(Rolleston) 지역에서 발생한 3건의 방화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10대 6명을 체포했다.경찰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간 롤레스턴 리저브(Roll… 더보기

“채용 안 하면 떠난다”…뉴질랜드 간호학과생 62% “국내 취업 못 하면 해외 진…

댓글 0 | 조회 1,438 | 8시간전
뉴질랜드 간호사협회(NZNO)가 발표한 2025년 학생 설문조사 예비 결과에 따르면, 간호학과 학생 대다수가 국내에서 신규 간호사 일자리를 얻지 못할 경우 해외 … 더보기

2025년 6월, 뉴질랜드 겨울 ‘포근하고 평년보다 습했다’…기록적 고온·강우량

댓글 0 | 조회 627 | 9시간전
2025년 6월, 뉴질랜드 전역은 평년보다 포근하고 비가 많은 겨울의 시작을 맞았다.Earth Sciences New Zealand(구 NIWA)의 최신 월간 기… 더보기

“더 자주 월급 받고 싶다” 뉴질랜드 근로자 2명 중 1명 이상 희망…고물가 속 …

댓글 0 | 조회 981 | 9시간전
최근 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 근로자 과반수가 고물가 상황에서 더 자주 급여를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글로벌 인사관리 플랫폼 딜(Deel)이 뉴질랜드 민간 … 더보기

"서니베일 파크 앤 라이드…10대 차량 절도범, 도주 실패"

댓글 0 | 조회 225 | 9시간전
서니베일 파크 앤 라이드(Sunnyvale park-n-ride)에서 차량을 훔치려던 10대가 경찰의 신속한 출동으로 현장에서 붙잡혔다.와이테마타 웨스트 지역 범… 더보기

“뉴질랜드 주택담보대출 금리, 바닥 근접…이제는 관망 국면” 전문가 진단

댓글 0 | 조회 621 | 9시간전
최근 몇 달간 뉴질랜드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며 주택 소유자들의 한숨을 덜어줬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추가 인하 여력이 제한적이라며 조만간 금리… 더보기

오클랜드 노숙인 급증…“뉴질랜드가 이렇게까지 될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 0 | 조회 1,969 | 15시간전
오클랜드 도심 홉슨 스트리트 일대에는 골판지와 담요, 도로 콘으로 임시 대피소를 만든 노숙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오클랜드 시티 미션(Auckland City Mi… 더보기

엄지척은 진짜 ‘좋아요’?…이모지, 세대·상황 따라 오해 부르는 온라인 언어로

댓글 0 | 조회 727 | 16시간전
이모지(emoji)는 밈(meme)과 더불어 온라인 소통의 핵심 언어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모지의 의미가 맥락에 따라 달라지면서, 오히려 오해와 혼란을 낳는 경… 더보기

[금요열전] 뉴질랜드 대표 밀키트 성공 스토리 – My Food Bag

댓글 0 | 조회 963 | 16시간전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한 식사를 챙기기란 쉬운 일이 아니죠.하지만 뉴질랜드에는 이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해준 한 기업이 있습니다.바로, 2013년 오클랜드에서 시작… 더보기

뉴질랜드 트랙터 등록 대수, 정점 이후 감소세…신규 등록도 20년 만에 최저

댓글 0 | 조회 215 | 16시간전
뉴질랜드의 트랙터 등록 대수가 2022년 3월 34,549대로 ‘피크 트랙터’에 도달한 이후 감소세로 전환됐다.2025년 3월 기준 등록된 트랙터는 33,044대… 더보기

“시민 체포권 법 개정, 공공안전 실질적 개선 효과 미미” — 법무부 분석

댓글 0 | 조회 433 | 16시간전
정부가 추진 중인 시민 체포권(citizen’s arrest) 관련 법 개정이 공공안전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법무부 공식 분석이 나왔다.법무부는… 더보기

오클랜드 하버브리지 북행선 사고로 출근길 정체…경찰 “충분한 이동시간 확보하세요”

댓글 0 | 조회 888 | 16시간전
오늘 아침 오클랜드 하버브리지(Harbour Bridge)에서 북쪽 방향(노스바운드)으로 차량 사고가 발생해 출근길 교통 체증이 심화되고 있다.경찰에 따르면, 사… 더보기

TAU, 노스하버 스타디움 운영권 유지

댓글 0 | 조회 269 | 24시간전
노스하버 스타디움(North Harbour Stadium)과 도메인 구역의 새로운 운영자를 찾기 위해 EOI 절차를 진행한 결과, 기존 운영사인 타타키 오클랜드 … 더보기

울워스, $15 바우처 발송 오류, 로열티 회원 50만 명에게 사과

댓글 0 | 조회 798 | 1일전
울워스(Woolworths)의 로열티 프로그램 측은 회원 계정에 15달러 바우처가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이 약 50만 명에게 실수로 발송되었다며 사과했다.이 메시지… 더보기

타라나키 지역 침수, 심한 뇌우 경보는 해제

댓글 0 | 조회 404 | 1일전
뉴질랜드 곳곳에 강풍과 폭우 예보가 내려진 가운데, 타라나키에서는 지면 침수 피해가 발생했고 일부 고속도로는 폐쇄되었다.비상 사태가 내려진 넬슨-타스먼 지역은 폭… 더보기

162년 된 유명한 카드로나 호텔, 매물로 나와

댓글 0 | 조회 585 | 1일전
162년 역사를 자랑하는 유명한 카드로나 펍(Cardrona pub) 펍이 매물로 나왔다. 퀸스타운과 와나카 사이의 크라운 레이진 로드에 위치한 카드로나 호텔은 … 더보기

퀸스타운 불법 다가구 임대주, 이민자 22명 좁은 5베드룸에 거주…1억 1천만 원…

댓글 0 | 조회 1,529 | 1일전
퀸스타운의 임대주가 5개의 침실, 개조된 차고, 창고를 불법으로 다가구 주택으로 운영하며 주로 이민자 22명을 거주하게 한 사실이 드러나 113,723.56달러(… 더보기

“당근의 도시” 오하쿠네, 마디그라스 축제로 겨울밤 달궈…뉴질랜드 대표 농업·음악…

댓글 0 | 조회 611 | 1일전
뉴질랜드 북섬 중앙에 위치한 오하쿠네(Ohakune)가 2025년 6월, 겨울 대표 음악 축제 ‘마디그라스(Mardi Gras)’로 전국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약… 더보기

생활비 부담에 키위세이버 중도 인출 ‘역대 최고’…은퇴자금, 생계비로 쓰는 뉴질랜…

댓글 0 | 조회 1,517 | 1일전
뉴질랜드 국민연금제도인 키위세이버(KiwiSaver)에서 재정적 어려움(hardship)을 이유로 중도 인출하는 사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공식 물가상승률(… 더보기

오클랜드 교통공사, 1년간 SNS 인플루언서에 14만7천 달러 지급…시민단체 “요…

댓글 0 | 조회 1,055 | 1일전
오클랜드 교통공사(Auckland Transport, AT)가 지난 1년간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들에게 14만7,765달러를 지급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더보기

로토루아에 첫 ‘비트 팀’ 출범…전국 주요 도시 범죄 감소 효과 입증

댓글 0 | 조회 663 | 1일전
로토루아 도심에 6명의 경찰로 구성된 ‘비트 팀(Beat Team)’이 공식 출범했다. 이번 조치는 오클랜드,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뉴플리머스에 이어 로토루아… 더보기

정부 지원사업 ‘제너레이터’, 최대 641% 사회적 수익…한국 교민도 참여 가능

댓글 0 | 조회 619 | 1일전
뉴질랜드 정부가 지원하는 사회혁신 프로그램 ‘제너레이터(The Generator)’가 투자 대비 최대 7배에 달하는 사회적·경제적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더보기

프리먼스 베이 영아 사망 사건…여성 기소, 경찰 수사 계속

댓글 0 | 조회 450 | 1일전
오클랜드 프리먼스 베이에서 신생아 시신이 발견된 사건과 관련해 한 여성이 법정에 설 예정이다.경찰은 화요일, 레날 스트리트(Renall Street) 한 주택 앞…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