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서 치매 환자의 실종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부재하여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매년 11,000건 이상의 실종 신고가 접수되며, 이 중 상당수가 치매나 인지 장애를 가진 고령자와 관련되어 있다.
치매 환자는 방향 감각 상실, 혼란, 불안 등의 증상으로 인해 실종 위험이 높다. 경찰은 치매 환자가 실종될 경우 즉시 111에 신고할 것을 권고하며, 실종자의 상태, 과거 실종 이력, 자주 가는 장소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치매 환자의 실종 건수, 사망 사례, 무사 귀환 사례 등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는 정부와 지역사회가 치매 환자의 실종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2024년 연구에 따르면 뉴질랜드 60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3.7%에서 7.1%로 증가했으며,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4.9%에서 9.2%로 상승했다. 특히 마오리, 태평양계, 아시아계 인구에서 치매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치매 환자의 실종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확한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과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지원 체계 강화와 함께, 실종 예방을 위한 기술적 도구의 도입도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적 장치나 알림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치매 환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치매 환자의 실종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정확한 통계 수집과 함께, 예방과 대응 체계의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