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케어, 와이카토강에서 하루 1억 리터 추가 사용 승인받아

워터케어, 와이카토강에서 하루 1억 리터 추가 사용 승인받아

0 개 2,614 노영례

f66f4eb40c146534fa99386d663f358e_1599690735_1017.png
 

전례없는 가뭄으로 인해 오클랜드 수자원 관리국인 워터케어는 와이카토 강에서 하루에 1억 리터를 추가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을 승인받았다는 소식을 Suff에서는 전했다.


워터케어는 수요일 저녁에 나온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 결정으로 이제 수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투자를 계속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워터케어는 이미 투아카우에 있는 Waikato Water Treatment Plant가 현재 처리하고 전달할 수 있는 최대치인 하루에 1억 7,500만 리터(MLD)를 가져오는데 승인받았다.


추가적인 천만 리터(100MLD)의 사용을 위해 지난 5월에 제출된 워터케어 신청서가 이제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에서 승인된 것이다.


이 승인을 바탕으로 워터케어는 5월과 9월을 포함해 연중 다른 시기에도 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은 또한 워터케어가 해밀턴 시티 카운실이 공유한 2천 5백만 리터(25MLD)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워터케어 최고 경영자인 Raveen Jaduram은 올해 5월 하루에 1억 리터(100MLD: Million Litres a Day) 사용 신청서가 접수되었지만, 신청서 준비 작업은 2019년 11월에 시작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와이카토 강에서 더 많은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는 자신감을 주기 위해 하루에 1억 리터(100MLD) 사용의 계절별 인수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히며, 이제 승인을 얻어 투아카우의 기존 부지에 추가 처리 공장 건설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 최고 경영자인 Vaughan Payne은 이번 계약이 "현지 사람들이 만든 현지 솔루션의 진정한 예"라고 말했다. 


그는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 직원은 지난해 말부터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워터케어와 긴밀히 협력했다며, 워터케어가 tangata whenua와 잘 맞물려서 관계 계약에서 확인도니 두 가지 조치에 따라 이 중요한 진전을 이룰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하루 2천 5백만 리터(25MLD) 할당에 대해 해밀턴 시티 카운실의 승인은 강의 흐름에 관계없이 현재 공장에서 1년 내내 최대 하루에 1억 7천 5백만 리터(175MLD)를 계속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 최고 경영자인 Vaughan Payne은 이 승인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절차를 따랐다. 그는 워터케어와 해밀턴 시티 카운실의 계약이 실제 사용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대중과 다른 물 사용자에게 확신을 주는 프로세스에 동의해야 했다고 밝혔다.



워터케어 최고 경영자인 Raveen Jaduram은 해밀턴 시티 카운실과의 합의는 올해의 가뭄에서 도시가 회복됨에 따라 단기적으로 오클랜드 시민들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오클랜드 댐 물 저수량은 67%이고, 일반적으로 볼 때 예년에는 90%에 근접했다며, 크리스마스때까지 오클랜드에 새로운 수원을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하천의 흐름에 관계없이 해밀턴 시티 카운실에서 추가로 하루 2천 5백만 리터(25MLD) 사용을 승인한 것은 전통적으로 물 소비가 증가하는 여름에 오클랜드의 물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오클랜드 카운실은 국회를 통해 하루에 2억 리터(200 Million Litres)를 추가하는 2013 승인을 얻었다가, 와이카토 지역 카운실, 와이카토 강 당국, 지역 iwi 등을 화나게 했었다.


그러나, 시의 강물 추가 신청 이후 7월 초에 원칙적으로 합의에 도달했다. 


오클랜드 정치인들은 6월 중순에 가뭄에 시달리는 도시의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물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카토 강의 역할에 대한 물밑 작업을 시작했다.

[9월 22일] 새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2,265 | 2020.09.22
보건부는 9월 22일 새 감염자가 없…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내려가도 긴장 늦추지 말아야...

댓글 0 | 조회 3,139 | 2020.09.22
COVID-19 모델링 전문가는 정부… 더보기

국민당, 기술 비자 등 일자리 창출 계획 밝혀

댓글 0 | 조회 2,515 | 2020.09.22
국민당(National Party)은… 더보기

우편 투표 등록, 다음주 월요일까지 5일 더 연장

댓글 0 | 조회 1,752 | 2020.09.22
내일로 마감되는 우편 투표 등록이 다… 더보기

보건부, 다음주 방학되면 COVID-19 검사 강화

댓글 0 | 조회 2,292 | 2020.09.22
보건부는 다음 주부터 시작되는 학생들… 더보기

아던 총리, '거리 두기' 안 지킨 지지자와의 사진 찍기 사과

댓글 0 | 조회 2,658 | 2020.09.22
매시 대학교(MasseyUnivert… 더보기

ACT 데이비드 시모어 당수, 아던 총리 다음으로 인기

댓글 0 | 조회 1,823 | 2020.09.22
액트당(ACT Party)의 데이비드… 더보기

오클랜드 수요일 자정부터 레벨 2, 교회와 자영업자 기대

댓글 0 | 조회 2,832 | 2020.09.22
수요일 자정부터 레벨 2로 경계 수위… 더보기

오늘 저녁 7시, 노동당과 국민당 당수 TV토론

댓글 0 | 조회 1,869 | 2020.09.22
오늘 저녁, 총선을 앞두고 상승세를 … 더보기

손상된 하버 브리지, 밤 9시부터 새벽 5시까지 수리 작업

댓글 0 | 조회 2,497 | 2020.09.22
Harbour Bridge에 대한 임… 더보기

내일부터 일부 지역 폭우와 강풍

댓글 0 | 조회 5,801 | 2020.09.21
폭풍우를 동반한 전선이 뉴질랜드를 지… 더보기

[9월 21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댓글 0 | 조회 2,815 | 2020.09.21
♧9월 21일 1:00 PM 정부 브… 더보기

새 감염자 없음,오클랜드 수요일밤 레벨2 전환

댓글 0 | 조회 7,376 | 2020.09.21
9월 21일 보건부는 새 감염자가 없… 더보기

5만 명 넘는 키위들 귀국, 뉴질랜드에서도 쉽지 않아

댓글 0 | 조회 6,833 | 2020.09.21
5만 명이 넘는 키위들이 코로나 사태… 더보기

유방암 무료 검사 74세까지 계획, 재정 문제로 중단

댓글 0 | 조회 2,314 | 2020.09.21
유방암 무료 스크린 연령을 69세에서… 더보기

오클랜드 시내 중심 식당, COVID-19 여파로 폐쇄 위기

댓글 0 | 조회 4,581 | 2020.09.21
오클랜드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식당들… 더보기

하버 브리지, 중앙 차선 통제로 교통 정체 심각

댓글 0 | 조회 3,299 | 2020.09.21
도로공사인 NZTA는 오클랜드의 Ha… 더보기

ACT당, 일자리 채우기 위해 이민자 받아 들여야...

댓글 0 | 조회 2,753 | 2020.09.21
ACT의 David Seymour 당… 더보기

국민당 캠페인, 재정 계획상 실수

댓글 0 | 조회 1,831 | 2020.09.21
어제 National Party의 J… 더보기

오늘 COVID-19 경보 레벨 검토 후 발표

댓글 0 | 조회 2,341 | 2020.09.21
오늘 오전 각료들은 뉴질랜드 전국의 … 더보기

“11월 9일부터 변경되는 ‘노령연금’ 파트너 조항”

댓글 0 | 조회 10,971 | 2020.09.20
오는 11월부터 ‘뉴질랜드 노령연금(… 더보기

NZ한인회 총연합회, CHCH에서 임시총회 개최

댓글 0 | 조회 2,081 | 2020.09.20
‘뉴질랜드 한인회 총연합회’가 202… 더보기

전문가, "귀국자-관리 격리 끝난 후에도 자가 격리해야"

댓글 0 | 조회 3,313 | 2020.09.20
역학자 마이클 베이커 교수는 관리 격… 더보기

마운트 로스킬 Three Kings School, 초등학생 확진

댓글 0 | 조회 4,023 | 2020.09.20
오클랜드의 마운트 로스킬(Mt Ros… 더보기

[9월 20일] 새 확진자 4명, 격리 끝낸 사람 확진

댓글 0 | 조회 3,603 | 2020.09.20
9월 20일 보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