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공급 늘어 과일과 채소값 떨어졌다”

지난 10월 “공급 늘어 과일과 채소값 떨어졌다”

0 개 2,436 서현

8월에 사상 최고가까지 도달했던 토마토가 38% 하락하는 등 지난 10월에 과일 및 채소 물가가 상당폭 하락했다.


1117()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여름철이 되면서 재배가 늘어나고 공급도 따라 증가하면서 채소 및 과일 가격이 10월에 5.6% 내렸다.


이는 매년 여름으로 다가가면서 채소와 과일 가격이 연중 최저로 내려가는 경향이 반복된 셈인데 금년에는 록다운으로 인해 크게 올랐던 종류가 많아 하락폭이 더욱 크게 느껴지고 있다.


특히 토마토는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지난 8월에는 kg13.65달러까지 올랐었는데 10월에는 이보다 38% 하락한 kg8.18달러를 기록했다.


오이와 상추도 각각 29%22%가 내려 kg당 오이는 7.71달러 그리고 상추는 3.64달러로 내리며 채소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추도 16% 하락해 11.85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수입에 문제가 생기면서 지난 7월에 사상 최고가인 29.60달러에 도달했던 애호박(courgettes)10월에는 46%나 하락하면서 kg6.70달러에 거래됐다.


반면에 겨울에 주로 나오는 과일이나 채소는 가격이 올랐는데, 사과가 21% 그리고 당근과 키위프루트가 각각 17%19% 가격이 올랐고 브로콜리 역시 11%가 인상됐다.


전반적인 과일과 채소 가격 하락으로 10월에 전체 먹거리 물가(food prices)0.7% 하락했는데 과일과 채소를 제외하면 먹거리 물가는 0.1%가 올랐다.


지난 10월까지의 연간 먹거리 물가는 2.7%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작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인상률이다.


먹거리 물가 인상에 영향을 준 요인은 과일 및 채소가 10 %였으며 레스토랑과 즉석식품이 3.4 %, 그리고 잡화 먹거리가 0.7 %였고 육류와 가금류 및 생선은 1.0 %였으며 비알코올 음료 부문은 상대적으로 오름세가 작았다.


한편 먹거리 물가는 지난 1 년간 국내 소비자 물가지수(CPI)보다 빠르게 상승했는데 가장 최근 자료인 금년 9 월말까지의 연간 소비자 물가지수는 1.4% 상승했다.


통계국 담당자는 최저임금 인상 같은 요인이 통상적으로 최저임금을 받는 경우가 많은 식품 서비스업 종사자나 수확 인부들의 임금을 높혀 일반 물가상승률보다 식품 가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의사 부족 상황 점점 더 심화, 대책 강구 필요

댓글 0 | 조회 1,954 | 2020.11.27
이번 주 건강한 의료 서비스를 유지하… 더보기

COVID-19 발발 이후, 중단되었던 크루즈 선박 운항 시작

댓글 0 | 조회 1,632 | 2020.11.27
코로나 사태 이후 뉴질랜드에서는 모든… 더보기

COVID-19 백신, 안정성과 효능 확인 후 무료 접종 방침

댓글 0 | 조회 1,863 | 2020.11.27
어제 정부는 코비드-19 백신이 안정… 더보기

원예와 과수 산업 일손 부족 해결 방안, 오늘 제시 예정

댓글 0 | 조회 1,418 | 2020.11.27
오늘 정부는 원예와 과수 산업에 절대… 더보기

퀸스타운에서 더니든까지 341km, 새 투어링 루트

댓글 0 | 조회 2,294 | 2020.11.26
새로운 341km의 센트럴 오타고 투… 더보기

백인 우월주의와 관련된 위협, 웰링턴 고등학교 임시 폐쇄

댓글 0 | 조회 2,728 | 2020.11.26
경찰은 웰링턴 고등학교(Welling… 더보기

파키스탄 크리켓팀 선수 6명, 크라이스트처치에서 확진

댓글 0 | 조회 1,943 | 2020.11.26
뉴질랜드의 파키스탄 크리켓 팀 투어링… 더보기

[11월 26일] 새 확진자 1명,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1,811 | 2020.11.26
보건부는 11월 26일 새 확진자가 … 더보기

건설회사 플레처, 연간 500채 주택 건설 목표

댓글 0 | 조회 2,535 | 2020.11.26
플레처 빌딩 이사회는 12일 연례 총… 더보기

COVID-19 대응 가장 잘한 나라 1위,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2,376 | 2020.11.26
뉴질랜드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대… 더보기

7월~9월 주택 매매자, 97%는 이익

댓글 0 | 조회 2,531 | 2020.11.26
지난 7월과 9월의 3/4분기 동안 … 더보기

NZ경찰, 내년부터 순찰 차량 Skoda Superb 으로 변경

댓글 0 | 조회 2,221 | 2020.11.26
뉴질랜드 경찰은 내년부터 홀덴 순찰차… 더보기

중앙은행, 주택 경기 식히기 위한 대응 방안 모색 중

댓글 0 | 조회 1,998 | 2020.11.26
중앙은행인 Reserve Bank는 … 더보기

오클랜드, 정지 신호한 경찰 공격한 25세 남성 체포

댓글 0 | 조회 1,611 | 2020.11.26
25세의 남성은 어제 오클랜드 남부 … 더보기

어제, 국내선 여객기 번개 맞아

댓글 0 | 조회 2,107 | 2020.11.26
어제 국내선 여객기가 갑자기 떨어지는… 더보기

Air NZ 승무원 확진 사례, 지금까지 밀접 접촉자는 '음성'

댓글 0 | 조회 1,555 | 2020.11.26
중국에서 에어 뉴질랜드 승무원이 확진… 더보기

오클랜드 70대 교민, 타우랑가 북쪽 와이히 해변에서 사망

댓글 0 | 조회 6,825 | 2020.11.25
타우랑가 북쪽에 있는 와이히(Waih… 더보기

[11월 25일] 새 확진자 8명, 커뮤니티 감염 없음

댓글 0 | 조회 2,346 | 2020.11.25
보건부는 11월 25일 새 확진자가 … 더보기

중국에서 확진된 Air NZ 승무원, 귀국 후 재검사

댓글 0 | 조회 2,588 | 2020.11.25
중국에서 코비드-19 양성자로 나타난… 더보기

흡연 인구 하락했지만, 여전히 46만 명 넘어

댓글 0 | 조회 1,565 | 2020.11.25
뉴질랜드에서 흡연 인구의 비율이 계속… 더보기

정부, 주택 시장 진정 대책 시도

댓글 0 | 조회 3,888 | 2020.11.25
정부는 주택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 더보기

St John의 구급 의료진 등 급여 합의, 파업 취소

댓글 0 | 조회 1,557 | 2020.11.25
St John의 구급 의료진들과 앰뷸… 더보기

입국 허용 박석사 과정 학생들, 입국 작업 진행 중

댓글 0 | 조회 1,942 | 2020.11.25
지난 달 정부가 발표한 국경 예외자로… 더보기

오클랜드 창고 시설 불법 개조, 빌더 8만 달러 벌금

댓글 0 | 조회 2,829 | 2020.11.25
오클랜드에서 창고시설을 불법적으로 사… 더보기

“치킨 너겟 16개를 단 1분에...” 기네스북 오른 20대 키위 모델

댓글 0 | 조회 2,745 | 2020.11.24
1분 만에 16개나 되는 ‘치킨 너겟…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