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소비자물가, 1.4% 올랐다”

“작년 한 해 소비자물가, 1.4% 올랐다”

0 개 1,488 서현


작년 12월까지 4/4분기 동안에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s price index, CPI)’0.5% 오르면서 연간 기준으로 소비자 물가가 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4/4분기 국내 숙박 서비스 분야 20%나 상승>


122() 발표된 통계국의 물가지수 변동에 따르면, 분기 동안 차량 구입에서 3.0%, 그리고 교통서비스 분야가 7.9% 크게 오르면서 교통 부문 물가지수는 전 분기 대비 2.3%가 올랐다.


특히 중고차 가격은 1997 12 월 이후 분기 중 가장 큰 상승폭인 4.6%를 기록했는데, 보통 정기적으로 해외를 나가던 이들이 이번에는 차와 같은 고가 품목을 구입한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숙박 서비스 분야가 11%나 오르면서 문화 및 레저 부문이 2.6%를 상승했고, 주택 구입 비용이 1.3% 오른 가운데 이를 포함한 주택 및 가정용 설비 분야 역시 2.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 구입비 분야에서 각 대도시 지역별로는 각각 오클랜드가 0.5%, 웰링턴에서는 0.6% 그리고 캔터베리에서는 1.3%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금년에는 해외여행길이 막히면서 지난 12월 분기에 특히 국내 숙박 분야의 물가가 전 분기보다 20%나 크게 상승했는데, 국내 숙박업은 통상 12월 분기에 요금이 오르지만 이는 201912월 분기의 11% 상승률보다는 상당히 높았던 상황이었다.


국내 숙박 서비스 분야에는 호텔과 모텔, 캐러밴 및 캠핑장은 물론 Airbnb와 같은 개인 임대 숙박시설도 모두 포함되는데 지난 분기에 이들 숙박 종목의 전 분야에서 가격이 인상됐다.


이 분야는 지난 6월과 9월 분기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크게 낮아졌었는데, 이후 국내 관광을 늘리려는 정부 정책 기조와 맞물려 12월 분기에 가격이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상승폭이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연간 이 분야 인상률 역시 6.2%에 달했다.


먹거리 물가는 제철을 맞이한 과일과 채소류가 12% 하락하면서 전체적으로 1.7%가 내려가며 전체 분기 물가의 인상률을 다소 낮춰주었는데, 지난 10월과 12월에 내려갔던 채소류 가격은 12월에는 약간 오름세를 보였다.




<먹거리 물가 연간 2.5% 올라>


한편 4/4분기를 포함한 한 해 기준으로는 주택과 주택 설비가 2.6% 올랐고 주택 임대료가 2.9%, 그리고 과일과 채소류가 연간 8.6%나 오르면서 먹거리 물가도 연간 2.5%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담배는 세금 인상으로 연간 11%나 오르면서 주류와 담배가 6.0%나 올랐는데, 201912월 분기에 25개비짜리 담배 한 갑은 37.51달러에서 작년 12월 분기에는 42.03달러로 크게 뛰었다.


이에 반해 민간 교통 서비스 요금이 8.1% 내리면서 교통 분야는 이전 해보다 3.7%가 하락했는데, 이 중 휘발유 가격은 12월 분기에 리터당 1.87달러로 9월까지의 전 분기의 1.86달러보다는 소폭 올랐지만 201912월 분기의 2.14달러보다는 상당폭 하락했다.


통계국은 호주로 무검역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승객이 늘어난 가운데 국제선 항공료 역시 물가 조사에 다시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했는데 연간 인상률이 14%나 됐다.


국제선 항공료가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0.85%에 불과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비해 요금 자체가 크게 오르면서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보다 커졌다.


이와 같은 물가 상황을 종합해 보면 작년 12월말까지 소비자 물가가 연간 1.4% 상승한 가운데 먹거리를 제외하면 1.1 %, 그리고 주택과 가정용 설비를 제외하면 역시 1.1% 올랐으며 주류와 담배를 제외한 경우에도 역시 연간 1.1% 물가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ASB 은행, 투자자의 주택 대출 디파짓 40%로 상향

댓글 0 | 조회 4,638 | 2021.02.05
ASB Bank는 주택 대출 규모의 … 더보기

SPCA 돌보는 동물 급증, 애완 동물 중성화 수술 당부

댓글 0 | 조회 2,100 | 2021.02.05
SPCA는 여름 동안 돌보는 동물이 …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환불 정책, 연장 촉구

댓글 0 | 조회 1,928 | 2021.02.05
소비자 뉴질랜드는 에어 뉴질랜드가 C… 더보기

2월 5일 새 확진자 1명,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1,900 | 2021.02.05
보건부는 2월 5일 금요일 새 확진자… 더보기

COVID-19 검사 허위 '음성' 결과서 나돌고 있어

댓글 0 | 조회 3,547 | 2021.02.05
뉴질랜드의 입국 심사 근무자들은 다른… 더보기

뉴질랜드 입국 절차 완화, 모델 케이스 제시

댓글 0 | 조회 5,165 | 2021.02.05
공항들과 에어 뉴질랜드의 후원으로 진… 더보기

내년부터 마타리키 데이 6월 24일, 새 공휴일로 지정

댓글 0 | 조회 3,886 | 2021.02.05
내년부터 6월 24일이 새로운 공휴일… 더보기

뉴질랜드 주택가 상승 원인, '절대적인 공급 부족'

댓글 0 | 조회 3,105 | 2021.02.05
뉴질랜드의 계속해서 오르는 주택 가격… 더보기

향후 3개월, 뉴질랜드 전국 더 건조하고 뜨거운 날씨

댓글 0 | 조회 3,013 | 2021.02.05
앞으로 3개월 간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더보기

호주, 뉴질랜드인 포함 외국인 백신 무료 접종

댓글 0 | 조회 2,901 | 2021.02.05
호주 정부는 뉴질랜드 사람들을 포함하… 더보기

뉴질랜드 민주주의 성숙도 전 세계 167개국 중 4위

댓글 0 | 조회 3,680 | 2021.02.04
뉴질랜드의 민주주의 성숙도가 전 세계… 더보기

1월 커뮤니티 감염자 가족 1명 확진

댓글 0 | 조회 6,891 | 2021.02.04
보건부는 2월 4일 목요일 새 확진자… 더보기

기내 헤드셋 공급 회사, 세척 세정제로 전환해 위기 극복

댓글 0 | 조회 1,859 | 2021.02.04
코로나 팬더믹으로 에어 뉴질랜드의 항… 더보기

오클랜드 K-로드에 무지개 색 횡단보도

댓글 0 | 조회 3,318 | 2021.02.04
퀸스타운과 웰링턴에서 다양한 무늬와 … 더보기

레몬 가격, 공급 차질로 겨울보다 3배 비싸

댓글 0 | 조회 1,641 | 2021.02.04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서레몬의 가격이겨… 더보기

백신 접종 않은 보건 종사자와 국경 관리자, 일자리 잃을 수도...

댓글 0 | 조회 2,688 | 2021.02.04
코비드-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보… 더보기

화이자 백신 '임시 승인', 다음달부터 뉴질랜드 출시

댓글 0 | 조회 2,598 | 2021.02.04
자신다 아던 총리는 2월 3일 오후에… 더보기

웰링턴 중심가, 3미터 싱크홀 발생 후 조사

댓글 0 | 조회 1,843 | 2021.02.03
2월 3일 오후, 웰링턴 중심가에서 … 더보기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1번 고속도로, 교통 사고로 2명 사망

댓글 0 | 조회 1,797 | 2021.02.03
2월 3일, 오클랜드와 와이카토의 1… 더보기

2월 3일 새 확진자 3명,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2,677 | 2021.02.03
보건부는 2월 3일 수요일, 새 확진… 더보기

작년 말 실업률 “예상과 다르게 개선됐다”

댓글 0 | 조회 1,769 | 2021.02.03
작년 말까지의 4/4분기에 국내 실업… 더보기

뉴질랜드 평균 주택가, 80만 달러 넘어

댓글 0 | 조회 3,164 | 2021.02.03
뉴질랜드의 평균 주택 가격이 80만 … 더보기

신장병 소녀 기금 모금, 2일간 324홀 스피드 골프

댓글 0 | 조회 1,517 | 2021.02.03
친구들 네 명이 이틀 반 동안 무려 … 더보기

오클랜드 물 부족, 빠른 일처리로 신속한 회복 예상

댓글 0 | 조회 2,282 | 2021.02.03
오클랜드에 상수도 공급을 위한 상수 … 더보기

격리 시설 바우처 6월까지 예약 채워져

댓글 0 | 조회 2,186 | 2021.02.03
해외에서 집으로 돌아오고 있는 뉴질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