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주하는 학자금 대출자 “4월부터 이자율 1%p 오른다”

해외 거주하는 학자금 대출자 “4월부터 이자율 1%p 오른다”

0 개 2,410 서현

뉴질랜드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은 이후 현재 해외에 거주하는 이들의 대출 상환 이자율이 오른다. 

정부는 4월 1일부터 학자금 대출 이자율을 1%p 추가 인상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 거주자는 학자금 대출이 무이자로 유지되지만, 해외 거주자는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

이번 인상으로 ‘기본 이자율(base rate)’이 4.9%로 오르고 ‘연체 이자율(late payment rate)’은 8.9%까지 인상됐으며, 연체 이자율 중 ‘일부 감면되는 경우(reduced late payment rate)’도 6.9%로 오른다. 

앞으로도 이자율은 계속 변동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자율 예측을 보면 2026년까지는 기본 이자율이 4.9%로 유지되지만 2030년에는 최대 6.6%까지 오른 뒤 6.0% 수준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한편, 뉴질랜드노조협의회(Council of Trade Unions) 경제 전문가는, 이번 조치가 정부 수익을 늘리는 효과도 없으며 이렇게까지 올리는 것은 경제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학자금을 대출할 때 이미 전체 대출액의 약 50%를 손실 처리하고 있는데, 이는 무이자 정책과 일부 상환 불이행 사례 때문이라면서, 이자율이 오를수록 정부가 감수해야 하는 손실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학자금 대출 이자율 인상이 해외 거주 대출자들의 귀국을 막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많은 금액의 대출을 받은 사람일수록 오히려 가장 숙련된 기술을 가진 인재일 수도 있는데 결국 이들이 귀국을 망설일 수도 있다면서, 어떤 이들은 가족을 다시 못 본다는 가혹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0년에 학자금 대출 채무 문제로 출입국 시 체포되기도 하는 등 실제 체포되는 사례도 있는데, 당시 국세청은 채무 불이행자 약 20명을 잠재적 체포 대상자로 감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나온 학자금 대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대출금 상환을 연체한 채무자는 총 10만 5,434명이며 이 중 74%가 해외 거주자였다. 

연체된 학자금 대출 총액은 23억 7,500만 달러이며 이 중 93%가 해외 거주자가 진 빚인데, 대출을 상환하지 않는 해외 거주자의 85% 이상이 5년 넘게 뉴질랜드를 떠나 있는 상황이다.  

또한, 연체 채무자는 그 전년과 비교해 1.5% 감소했지만 연체 금액은 오히려 9.1% 증가했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상환금을 연체한 사람은 2만 7,346명으로 그 전년의 3만 37명보다 줄었다. 

한편, 국세청은 팬데믹 동안에는 대출자들에게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했지만, 지난해부터는 다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연체 문제 해결과 상환 독려에 나섰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뉴질랜드인 6명 중 1명, 지난해 차별 경험…중국계·마오리·여성·양성애자 차별 비…

댓글 0 | 조회 95 | 26분전
2024년 뉴질랜드 국민 6명 중 1… 더보기

임대수익률·현금흐름 소폭 개선…‘시세차익 실종’에 투자수익성 여전히 암울

댓글 0 | 조회 60 | 34분전
올해 1분기 뉴질랜드 주거용 투자부동… 더보기

소셜미디어 도전이 부른 죽음… ‘런 잇 스트레이트’ 게임의 비극

댓글 0 | 조회 58 | 41분전
지난주 뉴질랜드 팔머스턴 노스에서 1… 더보기

기준금리 추가 인하,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

댓글 0 | 조회 127 | 1시간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이 기준금… 더보기

“연금 수급 연령 인상, 밀레니얼 세대에 또 한 번의 시련?”

댓글 0 | 조회 238 | 1시간전
뉴질랜드 정부가 국민연금(슈퍼애뉴에이… 더보기

세대의 다리 - “식사도 세대차이?”

댓글 0 | 조회 107 | 2시간전
샐러드파 2030 vs 국물파 506… 더보기

“중독 치료 서비스, 수요는 늘었는데 이용자는 감소”…뉴질랜드 정신건강위원회 경고

댓글 0 | 조회 66 | 2시간전
뉴질랜드 정신건강·웰빙위원회(Te H… 더보기

교육부 “캔터베리에 1억 8,000만 달러 추가 투자”

댓글 0 | 조회 176 | 10시간전
중앙정부가 캔터베리 학교 시설에 1억… 더보기

온라인 저속어 사용 “NZ는 인식보다는 심하지 않아”

댓글 0 | 조회 117 | 10시간전
뉴질랜드인은 다소 거친 표현을 즐겨 … 더보기

건초 창고 화재로 큰 피해 입은 농기업

댓글 0 | 조회 115 | 10시간전
캔터베리의 한 사업주가 겨울 판매용 … 더보기

새 민간 건축 허가 기관 출범, 저위험 주택 인가 ‘10일 내 발급’ 목표

댓글 0 | 조회 230 | 10시간전
새로운 민간 건축 허가 기관이 공식 … 더보기

자동차 판매 업체, 대출 정보 미공개로 34만 달러 배상 명령

댓글 0 | 조회 236 | 10시간전
웰링턴에 본사를 둔 자동차 판매 및 … 더보기

오클랜드 여성 폭행 용의자, 경찰에 자진 출두

댓글 0 | 조회 402 | 11시간전
이달 초 오클랜드 파파토에토에에서 발… 더보기

폭우와 강풍 경보, 하버브리지 강풍 주의보

댓글 0 | 조회 398 | 11시간전
기상청 MetService는 수요일부… 더보기

골드코스트 자선단체, 어려움에 처한 키위 ‘NZ 귀국 항공권’ 지원

댓글 0 | 조회 462 | 12시간전
호주 골드코스트에 거주하는 뉴질랜드 … 더보기

호레케 살인사건, 경찰 공개수배에 시민 제보 이어져…수사 진전

댓글 0 | 조회 363 | 13시간전
노스랜드 경찰이 호레케(Horeke)… 더보기

“기준금리 인하 속도, 이제부터는 느려질 수도”…향후 전망과 주택시장 영향

댓글 0 | 조회 1,030 | 16시간전
코탈리티NZ(구 코어로직)의 수석 부… 더보기

80대 은퇴 의사 “더니든 병원 신축 늦춘 정당 지도자 비난하는 전광판 광고”

댓글 0 | 조회 567 | 17시간전
현직에서 은퇴한 한 의사가 병원 신축… 더보기

도둑 침입한 푸드뱅크에 밀려든 지역사회 온정

댓글 0 | 조회 491 | 17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푸드 뱅크에서 도… 더보기

오클랜드 수술실 간호사 370여 명, 한 달간 대기 파업 돌입…“인력 부족·초과근…

댓글 0 | 조회 869 | 17시간전
오클랜드 지역의 공립병원 수술실 간호…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3.25%로 인하

댓글 0 | 조회 577 | 17시간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 Rese… 더보기

오클랜드 도서관에서 무료 라이브 콘서트 ‘Ka Mua Ka Muri Te Iho …

댓글 0 | 조회 346 | 18시간전
오클랜드의 언더그라운드·프린지 음악 … 더보기

“30분 만에 매진”…밀포드 트랙, 2025/26 시즌 예약 전석 완판

댓글 0 | 조회 548 | 18시간전
뉴질랜드 대표 트레킹 코스인 밀포드 … 더보기

오클랜드 아파트 시장, 회복 조짐 없어…신규 프로젝트 급감·사회주택 위축

댓글 0 | 조회 691 | 21시간전
CBRE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오클… 더보기

피셔앤드파이켈 헬스케어, 사상 첫 연매출 20억 달러 돌파…순이익 43% 급증

댓글 0 | 조회 494 | 22시간전
뉴질랜드의 대표 의료기기 기업 피셔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