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 NZ 주택시장 검색하는 미국인 급증”

트럼프 취임 후 “ NZ 주택시장 검색하는 미국인 급증”

0 개 2,805 서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 후 NZ 주택시장을 검색하는 미국인 숫자가 급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실제로 1월 20일 트럼프가 취임한 후부터 지난 3월 10일까지 미국에서 ‘realestate.co.nz’로 유입된 트래픽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4%나 증가했다.


미국의 여러 주 중에서도 특히 버지니아주가 트래픽이 가장 많았으며 전년보다 77.6% 증가율을 기록했고, 다음으로 많은 트래픽을 보인 캘리포니아주는 87%를 기록했다. 


콜로라도주는 증가율이 무려 500%였는데 한편,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곳은 오클랜드와 캔터베리였다. 


사라 우드(Sarah Wood) realestate.co.nz 대표는 지난 팬데믹 봉쇄 당시에도 미국인 검색이 증가한 바 있다고 말했다.


우드 대표는 당시 미국인 중에서 회사에서 일했던 사람이 있었다면서, 그는 오래전 이곳에 살 때 NZ 영주권을 가졌기 때문에 팬데믹 기간에 이사 와 가족과 함께 집을 빌려 생활했지만, 팬데믹 후에는 돌아갔다고 전했다. 


또한, 그와 같은 사례가 있기는 하겠지만 얼마나 널리 퍼졌는지는 말하기 어렵다면서, 미국인들이 옵션을 검토하겠지만 행동으로 옮길지는 뒷받침하는 이민 자료가 나올 때까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런 추세를 보는 건 흥미롭고 놀랍지도 않다면서, 이곳은 정말 살기 좋은 곳이고 미국에서 온 이들은 항상 우리를 찾는다고 덧붙였다. 



 

BNZ 경제 전문가도 미국에서 NZ로 이주에 대한 이야기가 늘었다면서, 자기 생각에는 이민자가 실제 는다고 해도 트럼프 1차 집권 때보다는 주택 시장에 가해지는 압박은 약할 거라고 예상했다. 


그는 여전히 주택 시장이 전반적으로 과잉 공급 상태이며 매물 목록이 많고 재고 수준도 높아 집값 압박 없이 추가 수요를 수용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오페스 파트너스(Opes Partners)’ 경제학자인 에드 맥나이트(Ed McKnight)는, NZ에서 살면서 계속 거주 의사가 있고 이곳을 본거지로 생각하는, 이른바 ‘통상 거주자(ordinarily resident)’가 돼야만 집을 살 수 있는 만큼 실제 이주는 쉽지 않을 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온라인 검색은 매우 쉽지만 실제로 정치인을 피해 세계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점도 함께 지적해, 이번 소식은 해프닝 정도로 끝날 것으로 보인다.   

뉴질랜드인 6명 중 1명, 지난해 차별 경험…중국계·마오리·여성·양성애자 차별 비…

댓글 0 | 조회 483 | 2시간전
2024년 뉴질랜드 국민 6명 중 1… 더보기

임대수익률·현금흐름 소폭 개선…‘시세차익 실종’에 투자수익성 여전히 암울

댓글 0 | 조회 215 | 2시간전
올해 1분기 뉴질랜드 주거용 투자부동… 더보기

소셜미디어 도전이 부른 죽음… ‘런 잇 스트레이트’ 게임의 비극

댓글 0 | 조회 196 | 3시간전
지난주 뉴질랜드 팔머스턴 노스에서 1… 더보기

기준금리 추가 인하,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

댓글 0 | 조회 301 | 3시간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이 기준금… 더보기

“연금 수급 연령 인상, 밀레니얼 세대에 또 한 번의 시련?”

댓글 0 | 조회 497 | 3시간전
뉴질랜드 정부가 국민연금(슈퍼애뉴에이… 더보기

세대의 다리 - “식사도 세대차이?”

댓글 0 | 조회 201 | 4시간전
샐러드파 2030 vs 국물파 506… 더보기

“중독 치료 서비스, 수요는 늘었는데 이용자는 감소”…뉴질랜드 정신건강위원회 경고

댓글 0 | 조회 97 | 4시간전
뉴질랜드 정신건강·웰빙위원회(Te H… 더보기

교육부 “캔터베리에 1억 8,000만 달러 추가 투자”

댓글 0 | 조회 198 | 12시간전
중앙정부가 캔터베리 학교 시설에 1억… 더보기

온라인 저속어 사용 “NZ는 인식보다는 심하지 않아”

댓글 0 | 조회 138 | 12시간전
뉴질랜드인은 다소 거친 표현을 즐겨 … 더보기

건초 창고 화재로 큰 피해 입은 농기업

댓글 0 | 조회 127 | 12시간전
캔터베리의 한 사업주가 겨울 판매용 … 더보기

새 민간 건축 허가 기관 출범, 저위험 주택 인가 ‘10일 내 발급’ 목표

댓글 0 | 조회 263 | 12시간전
새로운 민간 건축 허가 기관이 공식 … 더보기

자동차 판매 업체, 대출 정보 미공개로 34만 달러 배상 명령

댓글 0 | 조회 260 | 12시간전
웰링턴에 본사를 둔 자동차 판매 및 … 더보기

오클랜드 여성 폭행 용의자, 경찰에 자진 출두

댓글 0 | 조회 424 | 13시간전
이달 초 오클랜드 파파토에토에에서 발… 더보기

폭우와 강풍 경보, 하버브리지 강풍 주의보

댓글 0 | 조회 420 | 13시간전
기상청 MetService는 수요일부… 더보기

골드코스트 자선단체, 어려움에 처한 키위 ‘NZ 귀국 항공권’ 지원

댓글 0 | 조회 487 | 14시간전
호주 골드코스트에 거주하는 뉴질랜드 … 더보기

호레케 살인사건, 경찰 공개수배에 시민 제보 이어져…수사 진전

댓글 0 | 조회 381 | 14시간전
노스랜드 경찰이 호레케(Horeke)… 더보기

“기준금리 인하 속도, 이제부터는 느려질 수도”…향후 전망과 주택시장 영향

댓글 0 | 조회 1,047 | 18시간전
코탈리티NZ(구 코어로직)의 수석 부… 더보기

80대 은퇴 의사 “더니든 병원 신축 늦춘 정당 지도자 비난하는 전광판 광고”

댓글 0 | 조회 575 | 19시간전
현직에서 은퇴한 한 의사가 병원 신축… 더보기

도둑 침입한 푸드뱅크에 밀려든 지역사회 온정

댓글 0 | 조회 509 | 19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푸드 뱅크에서 도… 더보기

오클랜드 수술실 간호사 370여 명, 한 달간 대기 파업 돌입…“인력 부족·초과근…

댓글 0 | 조회 886 | 19시간전
오클랜드 지역의 공립병원 수술실 간호…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3.25%로 인하

댓글 0 | 조회 592 | 19시간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 Rese… 더보기

오클랜드 도서관에서 무료 라이브 콘서트 ‘Ka Mua Ka Muri Te Iho …

댓글 0 | 조회 358 | 19시간전
오클랜드의 언더그라운드·프린지 음악 … 더보기

“30분 만에 매진”…밀포드 트랙, 2025/26 시즌 예약 전석 완판

댓글 0 | 조회 571 | 20시간전
뉴질랜드 대표 트레킹 코스인 밀포드 … 더보기

오클랜드 아파트 시장, 회복 조짐 없어…신규 프로젝트 급감·사회주택 위축

댓글 0 | 조회 709 | 22시간전
CBRE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오클… 더보기

피셔앤드파이켈 헬스케어, 사상 첫 연매출 20억 달러 돌파…순이익 43% 급증

댓글 0 | 조회 507 | 23시간전
뉴질랜드의 대표 의료기기 기업 피셔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