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부의 디지털 예산 삭감안, "균열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보건부의 디지털 예산 삭감안, "균열이 더욱 커지고 있다"

0 개 1,177 노영례

a382fddff2146e73865cea7e58567f27_1741811101_0297.jpg
 

새로운 설문조사에 따르면, 보건 IT 전문가와 의료 종사자의 98%가 Health NZ의 디지털 서비스 예산 삭감이 환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보건정보학 협회(Health Informatics NZ, HiNZ)의 보고서에 따르면, 97.5%의 응답자는 예산 삭감이 환자 치료의 질을 저하시킬 것이며 개선을 지연시킬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 설문 응답자는 환자들이 점점 더 오랜 시간을 기다리고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스는 줄어들고 있고, 특히 취약계층 환자들에게 그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고 답했다.


설문 응답자의 94.3%는 느리고 비효율적인 IT 시스템으로 인해 의료진이 행정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며, 이로 인해 환자와의 직접적인 시간이 줄어든다고 답했다.


한 설문 응답자는 구식 시스템과 씨름하는 시간은 결국 환자를 돌보는 시간을 빼앗아간다며, 이는 매우 낙담스러운 일이고, 심지어 위험하기도 하다고 답했다.



설문 응답자의 95.5%는 시스템 간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의료진이 환자의 전체 진료 기록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일부 응답자들은 IT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결국 의료진의 번아웃을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설문 응답자는 이미 지쳐 있는 상황에서 기본적인 IT 기능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환자를 제대로 돌볼 수도 없고, 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도 할 수 없으며 결국 탈진하고 말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노후화된 IT 시스템이 환자 치료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설문 응답자 중 한 명은 자신의 환자들이 최상의 치료를 받고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답했다.


보건정보학 협회(Health Informatics NZ, HiNZ)는 지난해 12월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358명의 디지털 헬스 전문가들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이 중 4분의 1은 환자 치료에 직접 관여하는 임상의였다.


예산 삭감과 그 영향

시메온 브라운 보건부 장관은 현재 진행 중인 Health NZ 개혁(Reset)의 일환으로 데이터 및 디지털 관련 인력을 2,400명에서 1,285명으로 줄이는 초안 계획을 재검토하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공석을 포함한 해당 직군의 감축을 통해 연간 1억 뉴질랜드달러를 절감할 계획이며, 2024년 예산에서 IT 프로젝트 비용 3억 8천만 달러가 삭감된 것과 별개다.


보건정보학 협회(Health Informatics NZ, HiNZ)은 새로운 디지털 예산이 연간 6억 5,800만 달러로, 이는 전체 보건 예산의 2.2%에 불과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보건 위기를 해결하겠다는 Health NZ의 공식 입장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예산 삭감이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환자 치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의료 오류를 증가시키며, 의료 접근성을 제한하고, 기술 혁신을 저해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고 경고했다.


 


설문 응답자들이 제시한 디지털 헬스 혁신 기회

보건정보학 협회(Health Informatics NZ, HiNZ)의 최고경영자 스콧 애롤은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에게 디지털 헬스가 제공할 수 있는 "기회" 를 묻는 항목도 포함되었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이 꼽은 최우선 해결책은 국가 통합 의료 기록 시스템, AI 기반 진단 시스템 , 원격진료 및 원격 모니터링, 실시간 병원 운영 추적 시스템,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sis) 등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가 통합 의료 기록 시스템으로 병원 관련 환자 치료 비용을 10% 절감할 수 있고, AI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전체 보건 예산의 5~10% 절감이 가능하며, 원격진료 및 원격 모니터링으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조기 진단을 지원할 수 있으며, 실시간 병원 운영 추적 시스템으로 응급실 대기시간 감소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sis)은 예방적 치료를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보건정보학 협회(Health Informatics NZ, HiNZ)의 최고경영자 스콧 애롤은 "이러한 솔루션들이 환자의 피해를 줄이고, 동시에 의료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술들" 이라고 강조했다.

보험금 청구 거절, 이런 이유가 많다…NZ 금융감독원 “이해 부족이 가장 큰 문제…

댓글 0 | 조회 714 | 6시간전
매년 수십억 달러의 보험금이 지급되지…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임박…앞으로의 전망은 ‘안갯속’

댓글 0 | 조회 942 | 7시간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이 이번 … 더보기

기스본, 뉴질랜드에서 가장 외진 도시가 ‘최고가 렌트 시장’이 된 이유

댓글 0 | 조회 706 | 7시간전
한때 저렴하고 한적한 동네로 알려졌던… 더보기

온라인 도박 플랫폼, 대학생 통해 불법 홍보…뉴질랜드 학생 사회 ‘논란’

댓글 0 | 조회 309 | 7시간전
뉴질랜드 대학생들 사이에서 해외 온라… 더보기

살아가는데 필요한 실생활 꿀팁 - 브라우저 탭 정리 & 북마크 꿀팁

댓글 0 | 조회 229 | 7시간전
“어? 내가 아까 열어놨던 페이지 어… 더보기

오클랜드 노던 게이트웨이 유료도로, 제한속도 110km/h로 상향

댓글 0 | 조회 604 | 7시간전
정부는 오클랜드 북부 노던 게이트웨이… 더보기

가축 운송 트럭 전복, 티마루 남쪽 고속도로에 소들 배회

댓글 0 | 조회 359 | 12시간전
25일 일요일 오후, 남섬 캔터베리 … 더보기

라글란 인근 해상 보트 전복, 3명 구조

댓글 0 | 조회 196 | 13시간전
25일 오전, 와이카토 지역 락글란(…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재외선거, 오클랜드 83.5% 투표율

댓글 0 | 조회 400 | 13시간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재외선거 투… 더보기

오클랜드 엡섬, 화재로 버스전소

댓글 0 | 조회 343 | 14시간전
일요일 저녁 오클랜드 엡섬에서 버스가… 더보기

뉴질랜드 전역에 폭우·강풍 경보…서해안 중심으로 악천후 예보

댓글 0 | 조회 1,220 | 17시간전
뉴질랜드 전역에 폭우와 강풍이 예고되… 더보기

블랙펀스, 미국에 79-14 대승…포샤 우드먼-위클리프 ‘7트라이’로 신화 쓰다

댓글 0 | 조회 256 | 17시간전
뉴질랜드 여자 럭비 대표팀 블랙펀스(…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재외선거 귀국투표 안내

댓글 0 | 조회 339 | 18시간전
예정보다 일찍 귀국하게 되었어요재외선… 더보기

뉴질랜드 소방·비상청, 호주 NSW 홍수 대응 지원 위해 전문가 파견

댓글 0 | 조회 392 | 18시간전
뉴질랜드 소방·비상청(Fire and… 더보기

일요일 저녁, 재난 경보 테스트

댓글 0 | 조회 679 | 19시간전
일요일 저녁 6시가 넘어 재난 경보 … 더보기

5070 통기타의 선율, 솔방울 트리오 8번째 공연

댓글 0 | 조회 569 | 22시간전
5월 25일 토요일 오후 5시, 오클… 더보기

KBS 뉴질랜드 5월 뉴스

댓글 0 | 조회 653 | 1일전
KBS 뉴질랜드 5월 뉴스- 뉴질랜드… 더보기

[포토뉴스] 타카푸나 일요마켓

댓글 0 | 조회 1,037 | 1일전
타카푸나 공용 주차장이 일요일이 되면…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교통사고, 시민들 힘 합쳐 차량 아래 깔린 아이 구조

댓글 0 | 조회 742 | 1일전
크라이스트처치 도심에서 보행자들이 차… 더보기

왜 뉴질랜드에서는 백색가전이 호주보다 훨씬 비쌀까?

댓글 0 | 조회 1,193 | 1일전
뉴질랜드 소비자들이 호주에 비해 백색… 더보기

2025년 5월 한달동안 뉴질랜드 경제의 흐름 변화.

댓글 0 | 조회 691 | 1일전
2025년 5월, 뉴질랜드 경제는 회… 더보기

피오르드랜드의 미스터리, “사라진 무스는 아직 살아있을까?”

댓글 0 | 조회 511 | 1일전
100년 넘게 이어진 한 미스터리가 … 더보기

MECON·아티산, 뉴질랜드 건설업계 위한 ‘설계·시공 전문직 배상책임보험’ 출시

댓글 0 | 조회 385 | 1일전
건설 보험 전문사 MECON Insu… 더보기

“환경 챔피언? 소비의 아이콘?”…Z세대의 ‘보여주기식 친환경’ 딜레마

댓글 0 | 조회 239 | 1일전
Z세대는 역사상 가장 환경을 생각하는… 더보기

“친구 없어도 괜찮아?”…외로움에 대한 새로운 시선

댓글 0 | 조회 475 | 1일전
‘친구가 없다’는 말은 곧 외로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