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를 극복하는 한인들, 약사

코로나를 극복하는 한인들, 약사

baiknz2002
0 개 2,922 김수동기자

155fd03fec63672c07a1e08e645c6f23_1591475921_3379.gif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한인 약사들이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안전과 건강을 위해 사람들과의 만남을 자제하고 하고 있지만 이들은 경보 4단계부터 지금까지 위험한 바이러스 현장에서 뉴질랜드 시민들을 위해 근무하고 있다. 근무 중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위험도 있지만 한국사람으로서 뉴질랜드에 보탬이 된다는 마음으로 항상 긴장하며 근무하고 있다. 경보 2단계의 해지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으로 뉴질랜드 모든 사람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지금도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다. 하루 빨리 코로나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완전한 승리를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한다. 오클랜드 지역 약국(링크약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두명의 한인 약사(Jay Seol, Helen Kim) 들을 만나 보았다.

 

 

오클랜드지역에 있는 약국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로 한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약국으로 특히 한인 어른들이 언어적으로 힘들었던 약학 지식과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질문에 잘 설명해주고 있다. 병원약국과 개인 약국에서 현재 근무하는 한인들도 모두들 한마음으로 이 상황을 대처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한인 약사들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에 있는 모든 의료진들이 현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어 지금까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바램과는 달리, 전염병은 항상 장기전으로 갈수 있는 상황이다. 확진 자가 계속해서 없는 상황 이지만 완전한 퇴치 까지는 안심해서는 안될 것 같다.

 

 

코로나 19 사태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약국은 필수 업종으로 분류되어서 경보 4단계 부터 현재까지 정부 지침에 따라 약국을 오픈 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과의 접촉이 있는 현장이다 보니 근무하면서 가족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는 두려움도 있었다. 그러나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의료 종사자, 전문가의 사명이자 국민의 한사람으로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손님들의 감사의 말이나 힘든 과정속에서도 너그럽게 기다려주는 것과 같은 행동 하나하나가 약사들에게는 큰 힘이 되었다. 또한 갑작스럽게 일어난 신종 바이러스로 상황에 따라 지침이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다. 최대한 환자분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매끄럽지 못한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다. 국가와 각 약국의 지침을 따라서 약국을 이용해주면 그 어려움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 같다.

 

 

경보 3단계(Level 3) 까지만 하더라도 약국에 들어올 수 있는 최대 인원이 정해져 있었고 약국에 진열되어 있던 약품들을 개인이 만지지 못하도록 금지되었지만 경보단계 경보 2단계(Level 2)가 되면서 그러한 제한들은 풀렸지만 여전히 약국에 들어오는 개인들 간의 2m 거리 유지는 유효하다. 다음주 중 경보 1단계(level1)으로 단계가 조정된다면 물리적 거리의 제한도 풀리게 될 것으로 기대 된다. 또한 3월말 경보단계 발령(lockdown)을 기점으로 처방전과 관련하여 정부는 약을 한 달 분량을 약국에서 받아가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3개월 분량의 처방전이라 해도 약국에서는 한달 분량의 약을 세번에 걸쳐 받아가야 한다. 현재 항공이 막혀 있는 상황이라 뉴질랜드내에서 필수 처방의약품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정부가 정한 제한책이다. 이 제한은 앞으로 몇 달 동안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뉴질랜드에는 지역 감염 사례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무증상 감염자가 아직은 있을 수 있고 또 뉴질랜드가 국경을 조금씩 풀게 된다면 해외 유입이 있을 수 있다. 2차 유행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선 여전히 손을 자주 씻는 개인 위생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수적이다. 또한 인후통, 발열, 기침, 권태감, 호흡곤란 등의 증상들이 있다면 다른 사람 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코로나 헬스라인(Covid19 Healthline)이나 메디컬센터에 연락을 해서 병원의 지침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의심 증상이 있다면 헬스라인 0800 358 5459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증상은 열, 기침, 목 따가움, 호흡곤란과 숨가쁨 등이다. 일단 경미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면 본인의 GP 또는 헬스라인(Healthline 0800 358 5459)에 전화로 연락하거나 또는 집에서 가까운 응급실(Urgent Care) 아니면 오클랜드 지역 내에 세워진 테스트 센터에 연락하면 검사 조건에 해당되면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사전에 전화를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정말 심각한 증상이라면 헬스라인과 상의해서 구급차를 부르거나 큰 병원 응급실에 바로 가도 되지만, 구급대원들이 도착 전과 병원에 갈 때는 미리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병원 응급실로 개인차량 이동시, 동행자가 있다면 환자는 뒷좌석, 동행자는 앞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동행해야 되고, 차 안에 탄 모든 사람들은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김수동 기자

지방정부협회 “임기 연장 등 선거제도 개혁 검토한다”

댓글 0 | 조회 219 | 14시간전
‘뉴질랜드 지방자치단체 협의회(Loc… 더보기

마네킹 이용해 군견 응급처치 훈련하는 NZ 군인들

댓글 0 | 조회 387 | 16시간전
뉴질랜드 육군(NZDF)이 ‘개 마네… 더보기

경찰관 공격한 수백 명의 폭주족들

댓글 0 | 조회 1,344 | 16시간전
지난 주말에 북섬 남부의 레빈(Lev… 더보기

세계 최대 크루즈로 통합되는 P&O 크루즈

댓글 0 | 조회 812 | 16시간전
지난 90년 동안 뉴질랜드와 호주를 … 더보기

절벽 해안에 좌초한 보트에서 2명 극적 구조

댓글 0 | 조회 389 | 16시간전
오타고 해안에서 좌초한 소형 어선에서… 더보기

오클랜드 공항 상점가 “카트 가득 물건 싣고 흉기까지…”

댓글 0 | 조회 1,159 | 16시간전
상점 직원을 폭행하고 1,400달러 … 더보기

4월 주택건축허가 “작년보다 23% 감소”

댓글 0 | 조회 225 | 16시간전
(도표) 지난 11년간 매년 4월의 … 더보기

영사관이 제공하는 - 금융인증서 발급신청 안내

댓글 0 | 조회 1,305 | 22시간전
국내 계좌가 없는 재외국민도 재외공관… 더보기

KBS 뉴질랜드 5월 뉴스

댓글 0 | 조회 1,574 | 2일전
KBS 한민족 네트워크, 5월 뉴질랜… 더보기

임헌국 회장, 뉴질랜드 훈작사(New Zealand Order of Merit) …

댓글 0 | 조회 2,043 | 2일전
임헌국 회장(하이웰)이 뉴질랜드 훈작… 더보기

뉴질랜드에 '최소 제품 수명 법률' 필요

댓글 0 | 조회 1,025 | 2일전
일상용룸,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 더보기

젯스타 비행기, 심각한 난기류에 부딪혀 회항

댓글 0 | 조회 1,507 | 2일전
오클랜드에서 더니든으로 가던 비행기가… 더보기

롤스톤 교도소, 지붕에 오른 수감자 또 발생

댓글 0 | 조회 789 | 2일전
한 수감자가 남섬 롤스톤 교도소의 낮… 더보기

싱가포르 항공 비행기에서 허리와 목 부러진 키위

댓글 0 | 조회 1,811 | 2일전
오클랜드 주민 필립 화이트헤드는 지금… 더보기

오클랜드 고층 아파트, 이틀 동안 정전

댓글 0 | 조회 1,059 | 2일전
오클랜드의 15층짜리 고층 아파트 블… 더보기

헬렌 클락 전 총리 자동차, $1 경매에 나와

댓글 0 | 조회 895 | 2일전
헬렌 클락 전 총리가 이전에 사용했었… 더보기

King's Birthday, 오클랜드와 웰링턴에서 21발의 예포 발사

댓글 0 | 조회 844 | 2일전
6월 3일 월요일 정오에 찰스 3세 … 더보기

니콜라 윌리스, 약속된 항암제 자금 지원 '약속'

댓글 0 | 조회 1,016 | 3일전
니콜라 윌리스 재무부 장관은 약속된 … 더보기

뉴질랜드 첫 시험관 아기 탄생 40주년

댓글 0 | 조회 838 | 3일전
뉴질랜드에서 첫 시험관 아기(IVF)… 더보기

남섬 태즈먼 지역, 인구 10.3% 증가

댓글 0 | 조회 648 | 3일전
남섬 북단의 태즈먼 지역은 인구가 인… 더보기

금리 인상으로 인한 고통, 꼭 그럴 필요가 있었나?

댓글 0 | 조회 1,945 | 3일전
중앙은행은 향후 2년 동안 뉴질랜드의… 더보기

정부의 차터스쿨 도입 계획, 해외에서 주목

댓글 0 | 조회 1,215 | 3일전
올해 말 차터스쿨을 도입하겠다는 정부… 더보기

타카푸나, 보도로 돌진한 차, 한 여성 크게 다칠 뻔

댓글 0 | 조회 2,962 | 4일전
오클랜드 타카푸나의 한 레스토랑 밖 … 더보기

남섬, 5건의 대형 화재

댓글 0 | 조회 803 | 4일전
남섬 전역에서 강풍을 타고 걷잡을 수… 더보기

오클랜드 파보나 자동차 폐차장 화재 진압

댓글 0 | 조회 781 | 4일전
6월 1일 토요일 아침 오클랜드 파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