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월 록다운 중 “근로자 10명 중 4명 재택근무했다”

4~6월 록다운 중 “근로자 10명 중 4명 재택근무했다”

0 개 2,083 서현

지난 록다운 기간 중 근로자의 10명 중 4명이 어떠한 형태로든지 재택근무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국은 최근 ‘가구노동력조사(household labour force survey, HLFS)’를 기초로 지난 4월부터 6월말까지 분기 동안의 재택 근무 상황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4월 동안 이어진 레벨 4 시기에는 42% 근로자들이 집에서 일했으며 30%는 집 밖에서 일한 반면 나머지 35%가량은 고용주들이건 근로자들이건 모두 조사 대상 주간에는 아예 일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레벨 3에서는 이 비율이 재택은 42%, 그리고 집 밖에서는 53%였으며 일을 안 한 경우는 15%로 각각 나타났다.


한편 록다운이 레벨 1로 내려가면서 83%가 집 외부에서 다시 일하기 시작했지만 29%는 집에서도 계속 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업무 형태별 비율에는 오차율이 포함됐음)


통계 담당자는 레벨 1로 내려간 뒤 사람들이 일터에서 대부분 일을 처리하면서도 여전히 일부는 집에서도 일한 것으로 보면서, 레벨 43 당시에 집에서 일하던 주당 ‘중간근로시간(median number of hours)’30시간이었다가 레벨 1에는 10시간으로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또한 담당자는 레벨 1~4를 모두 포함한 4~6월 전체 분기로 볼 때 조사했던 주간에 집에서 일했던 이들은 전체 취업 인구의 1/3 이상(36%)100만명에 달했다고 전했다.


담당자는 이는 HLFS 조사에서 새롭게 던져진 질문 항목이었기 때문에 이전의 상황들과는 비교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동안 재택근무를 했던 사람들 중 절반 가까이가 이런 일을 한 적이 없었다고 전해, 이번 재택근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이었던 같다고 관계자는 부연했다.


한편 통계국은 일부는 특정한 작업 현장에서 일해야 하고 특수 도구나 기계가 필요하기도 하며 또한 동료와 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해야 하는 일도 있는 데다가 또 다른 일부는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등 산업 및 작업 분야에 따라 재택 근무 여부는 상당히 차이가 있다는 점도 함께 지적했다.


또한 지난 분기에 근로자들이 재택 근무를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산업 분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 안은 재택근무 비율

 

- 금융 및 보험서비스(71 %)

- 정보, 미디어 및 통신(66 %)

- 전문, 과학, 기술, 관리 및 지원 서비스(59 %)

- 임대 및 부동산 서비스(58 %).



반면에 근로자들의 재택근무 가능성이 적었던 산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소매업, 숙박 및 음식 서비스(15 %)

- 운송, 우편 및 창고(20 %)

- 제조 및 전기, 가스, 수도 및 폐기물 서비스(24 %)

- 의료 및 사회 지원(24 %)

- 건설(26 %).



또한 전반적으로 고임금 직종(특히 전문가 및 관리자)에 속한 이들이 수작업이나 소매유통업, 접객업처럼 저임금 직종의 근로자들보다 더 많이 재택 근무를 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중에서도 전문직 종사자의 재택 근무 가능성이 57%가장 높았으며 53%관리자가 그 뒤를 이었고 3번째는 사무 및 행정직 종사자로 45 %였다.


반대로 재택 근무 가능성이 가장 적었던 직종은 기계 작업 및 운전자(4 %), 일용직 근로자(7 %), 그리고 현장 기술자(13 %) 등이었다.

 

중앙은행, OCR 변동없이 0.25% 최저로 유지

댓글 0 | 조회 2,064 | 2020.09.24
중앙은행인 Reserve Bank는 … 더보기

엘튼 존 마지막 오클랜드 공연, 2023년으로 연기

댓글 0 | 조회 1,848 | 2020.09.24
Elton John의 열혈 팬들은 그… 더보기

호주 시드니 다리의 뉴질랜드 국기, 잘못된 상태로 게양돼

댓글 0 | 조회 2,652 | 2020.09.24
시드니 Anzac Bridge에 게양… 더보기

오클랜드 대학, 졸업식 행사 취소

댓글 0 | 조회 2,160 | 2020.09.24
오클랜드 대학교는 오클랜드의 레벨 2… 더보기

딸기 수확철, 해외 노동 인력 필요

댓글 0 | 조회 2,333 | 2020.09.24
딸기 수확철이 다가오면서 정부가 해외… 더보기

CHCH 재활용품의 거의 절반 오염, 매립지로 보내져

댓글 0 | 조회 2,361 | 2020.09.23
크라이스트처치 재활용품의 거의 절반은… 더보기

전 고위 정부 관리자 몰래 카메라 설치 사건, 경찰 항소

댓글 0 | 조회 2,069 | 2020.09.23
전 고위직 정부 관리자가 오클랜드 체… 더보기

충격적인 납치 시도, CCTV영상 공개

댓글 0 | 조회 4,268 | 2020.09.23
경찰은 지난달 웰링턴에서 발생한 납치… 더보기

2명의 수입업자, 장난감 안전 위반으로 $118,000벌금

댓글 0 | 조회 3,204 | 2020.09.23
두 명의 수입업자가 어린이 장난감에 … 더보기

[9월 23일] 새 감염자 4명, Historical 확진자 1명 포함

댓글 0 | 조회 5,210 | 2020.09.23
보건부는 보도 자료를 통해 새 감염자… 더보기

하버 브릿지, 오늘 아침 추가로 2개 차선 오픈

댓글 0 | 조회 3,098 | 2020.09.23
어제 밤 하버 브릿지의 손상된 철제 …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국내선 예약 평상시의 90%

댓글 0 | 조회 2,601 | 2020.09.23
Air New Zealand는 다음 … 더보기

아던 총리와 콜린스 당수 TV토론, 각자 정치적 견해 밝혀

댓글 0 | 조회 2,252 | 2020.09.23
어제 저녁 노동당(Labour Par… 더보기

오클랜드, 이번 일요일 정오에 쓰나미 경보 사이렌 테스트

댓글 0 | 조회 3,134 | 2020.09.23
오클랜드 카운실은 이번 일요일 정오에… 더보기

뉴질랜드 사람들, 실직보다 주택에 더 관심 높아

댓글 0 | 조회 3,286 | 2020.09.23
뉴질랜드 사람들은 실직에 대한 우려보… 더보기

수의사, 심해 조업 어부, 원예 노동자 대상 이민 정책 변화

댓글 0 | 조회 2,226 | 2020.09.23
정부는 어제, 국경 특별 통과 부류로… 더보기

오클랜드, 오늘밤 자정부터 레벨2

댓글 0 | 조회 2,290 | 2020.09.23
오클랜드는 오늘 밤 자정을 기하여 코… 더보기

하버 브리지 긴급 작업 성공적, 남쪽 방향 3개 차선 열려

댓글 0 | 조회 2,623 | 2020.09.23
손상된 하버 브리지 수리를 위해, 북… 더보기

정당지지도 “노동당이 여전히 앞서, ACT당 지지율 계속 상승”

댓글 0 | 조회 2,407 | 2020.09.23
선거를 4주 앞두고 발표된 정당지지도… 더보기

“이번 주말(9월 27일)부터 ‘서머타임’ 시작된다”

댓글 0 | 조회 3,529 | 2020.09.22
매년 하절기에 길어지는 낮시간을 효율… 더보기

5명 사망한 교통사고 관광 버스 운전사, 가택 연금형

댓글 0 | 조회 3,450 | 2020.09.22
지난해 로토루아 외곽에서 발생한 중국… 더보기

하버 브리지 남쪽 방향 모든 차선, 오늘밤 9시부터 폐쇄

댓글 0 | 조회 2,963 | 2020.09.22
북쪽 노스쇼어에서 시티로 향하는하버 … 더보기

학대받다 구조됐던 서커스단 출신 원숭이, 평안하게 잠들어

댓글 0 | 조회 1,931 | 2020.09.22
오래 전에 서커스단에서 구조가 됐던 … 더보기

[9월 22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댓글 0 | 조회 1,828 | 2020.09.22
♧9월 22일 1:00 PM 정부 브… 더보기

4~7월 NZ시민권자 4100명 “장기거주 목적으로 귀국”

댓글 0 | 조회 3,219 | 2020.09.22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동안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