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커뮤니티 확진자 2명 발생,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 학생

새 커뮤니티 확진자 2명 발생,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 학생

0 개 9,504 노영례

c02a3fc1192604fe5dde901ebe283212_1613518032_4196.png
 

COVID-19 대응부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2월 17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가 2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새 확진자는 파파토에토에 하이 스쿨의 학생들이다. 


새 확진 학생은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에 다니는 형제 자매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동생은 지난주에 확진된 커뮤니티 감염 사례 가족의 딸과 같은 반 학생이다. 


새 확진자 2명은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 9학년과 12학년 학생

파파토에토에 하이 스쿨 교장은 두 명의 새 확진자가 이 학교의 9학년(Year 9)과 12학년(Year 12)에 다니는 학생이라고 말했다.


이 두 학생이 언제 감염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가까운 접촉으로 간주되는 많은 다른 학생들이 있을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다.


오늘 발표된 새 확진 학생 두 명은 지난주 금요일까지 학교에 등교했다. 


추가 확진자가 나온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는 최소한 이번 금요일까지 문을 닫게 된다.


경보 레벨 전환 여부, 오늘 오후 4시 30분 발표

내각은 오클랜드의 레벨 3 록다운과 그 외 지역 레벨 2 상황을 해제할 지 여부를 오늘 오후 4시 30분에 발표할 예정이다.


오클랜드는 레벨 3록다운으로 인해 필수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체가 운영되지 못하고 있고, 대부분의 학교 아이들은 집에 머물러 있다. 


최근 발생한 커뮤니티 확진 가족은 파파토에토에에 거주하고 있으며, 가족 구성원 중 3명이 확진된 바 있다. 

가족 중 딸이 파파토에토에 하이 스쿨에 다니고 있으며, 이 학교의 학생들과 교직원 등은 모두 COVID-19 검사를 받았다.

어제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은 확진 가족 중 딸이 먼저 증상이 나타났기 때문에 먼저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새로운 커뮤니티 확진자 발생에 대한 정보가 유출되었기 때문에 오후 1시 보건부 브리핑을 기다리지 않고 새로운 커뮤니티 확진자 발생을 알리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학생들이 COVID-19 검사를 기다리거나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자가 격리 요청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파파토에토에 학생 중 확진자와의 밀접 접촉자 31명 중 29명은 '음성' 결과가 나왔고, 1명은 '양성', 1명은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라고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말했다.

커뮤니티 확진자가 여행한 타라나키나 뉴 플리머스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검사를 받은 사람들 중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광범위한 COVID-19검사가 아직 진행 중이라고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말했다.

보건부는 오후 1시 보도자료를 통해 2월 17일 새 확진자는 모두 3명이며, 이 중 1명은 해외에서 입국한 귀국자이고, 2명은 커뮤니티 감염자라고 발표했다.

오클랜드 2월 파파토에토에 가족 확진 사례
오늘 발표된 2명의 새로운 커뮤니티 감염자는 이전 오클랜드 2월 가족 확진 사례와 연결되어 있다. 두 명 모두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 학생이며, 케이스 D는 케이스 A의 급우이며, 이미 밀접한 접촉으로 확인되었다. 케이스 E는 케이스 D의 형제이다.

확진자와의 인터뷰는 계속되고 있으며, 오후 4시 30분에 미디어 브리핑을 통해 확진자 방문 장소를 포함한 추가 정보가 발표된다.

2월 15일 폐수 테스트, COVID-19 증거 찾지 못해
보건부는 2월 15일의 ESR의 폐수 검사 첫번째 결과를 받았고, 지금까지 샘플링된 폐수에서 COVID-19의 커뮤니티 감염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오클랜드 서부 및 동부, 노스쇼어(로즈데일), 로토루아, 크라이스트처치 폐수 샘플링 모두 '음성'.
-South Western Interceptor (Auckland) 폐수 샘플링 '양성'. 이는 오클랜드 검역 시설에서 COVID-19 확진 사례가 발생한 결과이다. 감지된 수준은 지난달에 확인된 수준과 일치한다.
-파파토에토에 집수 지역 샘플과 해밀턴 샘플은 오늘 처리 중이다.
-추가 결과는 1주일 내내 접수되고 검사될 예정이다.

확진자와의 접촉자 추적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추적하여 케이스 A, B, C 와 관련된 128명의 밀접한 접촉자를 식별했다. 그 중 76명이 '음성' 결과가 나왔다. 1명은 양성(케이스D)로 나왔고, 49명은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케이스 D와 E에 대한 조사 및 연락처 추적이 현재 진행 중이다.

2월 17일 오전 11시 30분 기준으로 파파토에토에 고등학교에서 총 31명의 밀접한 접촉자와 1,523명의 캐주얼 플러스 접촉이 확인되었다. 이 중 29명의 밀접 접촉자는 '음성'으로 나왔고 1명은 '양성(케이스 D)' 반응이 나왔다.

캐주얼 플러스 접촉자 중 1,159명이 '음성' 결과가 나왔고, 1명이 '양성(케이스 E)', 363명은 결과를 기다리는 둥이다. 케이스 E는 케이스 D와 밀접한 접촉자이지만, 테스트 보고를 위해 캐주얼 플러스로 분류되었다.

오클랜드 커뮤니티 검사 센터 10곳
오클랜드의 커뮤니티 검사 센터는 현재 10군데에서 운영되고 있다.  오전 11시 기준으로 오타라 검사 센터는 20분, 위리 검사 센터는 10분 미만의 대기 시간이 있었지만, 그 외 대부분의 오클랜드 지역에서의 대기열에 대한 보고는 없다.

일요일부터 오클랜드 커뮤니티 검사 센터에서는 20,000건 이상의 검사가 수행되었다.

보건부는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에 없었고 증상이 없는 경우, 지금 당장 검사받을 필요가 없다고 알렸다. 확진자가 방문한 장소에 있었다면 헬스라인에 전화를 한 후 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한 증상이 있는 사람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오클랜드 지역의 검사 센터는 www.arphs.health.nz/covid19test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국의 다른 지역의 검사 센터는 www.healthpoint.co.nz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월 17일 뉴질랜드에 남아 있는 활성 확진자는 49명이다. 지금까지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누적 확진자는 총 1984명이며 이는 WHO에 보고하는 수치이다.

화요일 하루 17,439건의 검사가 처리되었고, 지난 7일간 하루 평균 6,466건의 검사가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뉴질랜드에서 처리한 총 누적 검사수는 1,613,211건이다.
  

 


새로운 커뮤니티 확진자가 나왔다는 소식에 오타고 대학 역학자 닉 윌슨 교수는 록다운 연장을 제안했다. 그는 지속적인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현재의 경보 수준 설정을 며칠 더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록다운이 해제될 때까지 오클랜드에서 마스크 사용이 의무화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새로운 커뮤니티 확진자 발생 이후 오클랜드는 COVID-19 Alert Level 3, 그 외 지역은 COVID-19 Alert Level 2로 전환되어 2월 17일 수요일 밤 11시 59분까지 적용되며, 경보 레벨 전환은 내각에서 24시간마다 검토한다.  

국민당에서는 지난 며칠 동안 오클랜드 레벨 3, 그 외 지역 레벨 2로 전환한 것은 정부가 옳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당에서는 타액 검사 문제를 지적하며, 국경 직원들과 관리 격리 시설 직원들은 매일 비말 검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크리스 힙킨스 장관은 이 방법이 이미 함께 사용되고 있지만, 타액 검사가 현재의 면봉 채취 검사 방법만큼 정확하지 않으며 검사 수단으로 단독으로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새로운 커뮤니티 확진자 발생 여부는 향후 경보 레벨 전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월 16일 새 확진자가 한 명도 없었던 것은 고무할 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오늘 새 커뮤니티 확진자가 2명 발표됨으로써, 오후 4시 30분에 있을 내각의 발표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c02a3fc1192604fe5dde901ebe283212_1613524387_2286.png
 
2월 17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발생 소식은 오후 1시 보건부 보도자료가 나오기 전, RNZ, thespinoff, nzherald 등 언론에 먼저 보도되었다.

6시 41분 또다른 7.4 지진, 북섬 동해안 쓰나미 경고

댓글 0 | 조회 8,882 | 2021.03.05
3월 5일 새벽 2시 27분 북섬 동… 더보기

습한 날씨에도 오클랜드 댐 수위는 거의 변하지 않아

댓글 0 | 조회 2,862 | 2021.03.04
워터케어(Watercare)는 오클랜… 더보기

3월 5일 금요일, 5월 이후 격리 시설 객실 예약 시작

댓글 0 | 조회 3,858 | 2021.03.04
5월 이후 입국자를 위한 격리 시설 … 더보기

키위 과일 재배자들, 시즌 시작되면 2만 3천 명 근로자 필요

댓글 0 | 조회 2,883 | 2021.03.04
키위 과일 업계는 1억 7500만 트…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전환, 접촉자 검사 때문에 아직은 일러

댓글 0 | 조회 7,388 | 2021.03.04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은 COV… 더보기

울타리 뚫고 충돌한 차, 뒷좌석 아기 둔 채 운전자 달아나

댓글 0 | 조회 3,691 | 2021.03.04
3월 4일 목요일,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더보기

3월 4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4,067 | 2021.03.04
☘︎ 3월 4일 오후 1시 브리핑 번… 더보기

레벨 3 오클랜드, 음식점은 비접촉 테이크어웨이

댓글 0 | 조회 5,964 | 2021.03.04
COVID-19 Alert Level… 더보기

마스턴 타운 경찰서, 어제 폭발물 상자 전달돼 지역 록다운

댓글 0 | 조회 3,156 | 2021.03.04
어제 오후 1시 30분 경, 한 남성… 더보기

레벨 3 직전, 많은 차량들 오클랜드 빠져나가

댓글 0 | 조회 3,832 | 2021.03.04
지난 토요일 밤, 오클랜드에 레벨 3… 더보기

다음 주부터는 국경 근무자 가족들 백신 접종 시작

댓글 0 | 조회 2,015 | 2021.03.04
정부는 국경 관리 근무자들에 대한 코… 더보기

지난 일요일 이후, 오클랜드 새 커뮤니티 확진자 없어

댓글 0 | 조회 2,802 | 2021.03.04
마오리 관련 Peeni Henare … 더보기

구글과 페이스북, 뉴질랜드 '뉴스 사용료' 지불할까?

댓글 0 | 조회 3,018 | 2021.03.03
▲크리스 파포이 장관뉴질랜드정부는 인…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3 기간 중, 장례식 참석 거짓말한 요트 운전자

댓글 0 | 조회 4,402 | 2021.03.03
경찰은 지난달 3일간의 오클랜드 CO… 더보기

오클랜드, 200미터 바다 헤엄쳐 도망친 남자 체포

댓글 0 | 조회 3,949 | 2021.03.03
경찰은 오클랜드에서 경찰의 추격을 피… 더보기

오클랜드 2월 커뮤니티 확진자 접촉 추적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4,233 | 2021.03.03
오클랜드의 2월 커뮤니티 확진자의 접… 더보기

오클랜드, COVID-19 커뮤니티 검사 센터는 11개 장소

댓글 0 | 조회 2,441 | 2021.03.03
3월 3일 보건부 발표에 의하면, 오… 더보기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의 분류와 지켜야할 규칙

댓글 0 | 조회 3,212 | 2021.03.03
2월 28일 일요일 오전 6시부터 7… 더보기

3월 3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3,548 | 2021.03.03
☘︎ 3월 3일 오후 1시 브리핑 번… 더보기

작년 말 원유 수입 급증, 교역조건은 개선

댓글 0 | 조회 1,810 | 2021.03.03
지난 12월말까지 4/4분기에 원유 … 더보기

COVID-19 감염 증상, 전화기 앱 통한 인지 방안 검토

댓글 0 | 조회 2,059 | 2021.03.03
정부는 전화기 앱을 통하여 코로나 감… 더보기

타우랑가 주택 가격, 1.5% 하락

댓글 0 | 조회 3,453 | 2021.03.03
최근의 CoreLogic 부동산 통계… 더보기

보건부, 다양한 언어로 정보 전달 방안 재점검

댓글 0 | 조회 1,300 | 2021.03.03
보건부는 젊은이들에게 코비드-19 정… 더보기

오늘부터 2~3일간, 새 커뮤니티 감염자 발생 여부가 중요

댓글 0 | 조회 3,901 | 2021.03.03
Dr Ashley Bloomfield… 더보기

임시 입국 비자 소지자, 3월 25일부터 격리 비용 인상

댓글 0 | 조회 4,997 | 2021.03.03
정부는 관리 격리 시설에 머무르는 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