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출입국자 “ 2019년에 비해 75%나 감소”

작년 출입국자 “ 2019년에 비해 75%나 감소”

0 개 1,913 서현

작년 거의 한 해 가깝게 국경이 전면 막히면서 연간 입국자와 출국자가 크게 감소했다.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까지 연간 350만명이 뉴질랜드로 들어오거나 나갔는데 이는 그 전 해의 1070만명에 비해서는 75%나 크게 감소한 상황이다.


이들 출입국자들 통계에는 단기나 장기 여행객, 또는 장기거주를 목적으로 출입국한 모든 이들이 포함된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작년 4월부터 12월까지의 9개월 동안에는 단 9400명이 입국하고 또한 15400명만이 출국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2019년의 같은 기간 동안에는 520만명이 입국하고 510만명이 출국, 국경을 통과한 인원이 모두 1030만명에 달해 코로나19로 오가는 인원이 얼마나 크게 줄었는지를 숫자가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9개월 동안의 입국자들 9400명 중 65%59000명이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이었고 나머지 35%31400명이 비시민권자들이었다.


이들 비시민권자들은 뉴질랜드 영주권자들과 함께 호주 시민권자, 그리고 거주나 취업 목적을 가진 입국자들로서 필수 인력으로 입국 심사에서 특별한 자격을 인정받은 이들이다.



한편 같은 기간의 출국자들 15400명 중 76%114900명이 관광객들을 포함한 단기 방문객이나 유학생 등 비시민권자들과 영주권자들이었으며 나머지 24%35500명이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작년 12월까지 연간 순이민자는 44100명인 것으로 집계됐는데, 연간 장기거주 목적의 입국자가 85800명이었던 반면 해외에서의 장기거주를 목적으로 한 출국자는 41600명이었다.


이들 순이민자들 중에서 87%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경이 봉쇄되기 전인 1~3월에 입국한 이민자들이었으며 이후 9개월 동안에는 겨우 5700명에 불과했다.


또한 금년 3월 이후에 발생한 순이민자 대부분은 이전까지와는 달리 그동안 해외에서 거주하다가 코로나19 사태를 피해 입국한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연간 순이민자는 작년 3월에 한때 94900명까지 도달하면서 정점을 이뤘는데, 이는 당시 입국했던 뉴질랜드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들이 이후 다시 해외로 나갈 수 없었던 것이 그 배경에 자리잡고 있다.


한편 순이민자가 크게 줄어들면서 국내 인구 증가율 역시 지난 7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6시 41분 또다른 7.4 지진, 북섬 동해안 쓰나미 경고

댓글 0 | 조회 8,882 | 2021.03.05
3월 5일 새벽 2시 27분 북섬 동… 더보기

습한 날씨에도 오클랜드 댐 수위는 거의 변하지 않아

댓글 0 | 조회 2,862 | 2021.03.04
워터케어(Watercare)는 오클랜… 더보기

3월 5일 금요일, 5월 이후 격리 시설 객실 예약 시작

댓글 0 | 조회 3,858 | 2021.03.04
5월 이후 입국자를 위한 격리 시설 … 더보기

키위 과일 재배자들, 시즌 시작되면 2만 3천 명 근로자 필요

댓글 0 | 조회 2,883 | 2021.03.04
키위 과일 업계는 1억 7500만 트…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전환, 접촉자 검사 때문에 아직은 일러

댓글 0 | 조회 7,388 | 2021.03.04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은 COV… 더보기

울타리 뚫고 충돌한 차, 뒷좌석 아기 둔 채 운전자 달아나

댓글 0 | 조회 3,691 | 2021.03.04
3월 4일 목요일,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더보기

3월 4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4,067 | 2021.03.04
☘︎ 3월 4일 오후 1시 브리핑 번… 더보기

레벨 3 오클랜드, 음식점은 비접촉 테이크어웨이

댓글 0 | 조회 5,964 | 2021.03.04
COVID-19 Alert Level… 더보기

마스턴 타운 경찰서, 어제 폭발물 상자 전달돼 지역 록다운

댓글 0 | 조회 3,156 | 2021.03.04
어제 오후 1시 30분 경, 한 남성… 더보기

레벨 3 직전, 많은 차량들 오클랜드 빠져나가

댓글 0 | 조회 3,832 | 2021.03.04
지난 토요일 밤, 오클랜드에 레벨 3… 더보기

다음 주부터는 국경 근무자 가족들 백신 접종 시작

댓글 0 | 조회 2,015 | 2021.03.04
정부는 국경 관리 근무자들에 대한 코… 더보기

지난 일요일 이후, 오클랜드 새 커뮤니티 확진자 없어

댓글 0 | 조회 2,802 | 2021.03.04
마오리 관련 Peeni Henare … 더보기

구글과 페이스북, 뉴질랜드 '뉴스 사용료' 지불할까?

댓글 0 | 조회 3,018 | 2021.03.03
▲크리스 파포이 장관뉴질랜드정부는 인…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3 기간 중, 장례식 참석 거짓말한 요트 운전자

댓글 0 | 조회 4,402 | 2021.03.03
경찰은 지난달 3일간의 오클랜드 CO… 더보기

오클랜드, 200미터 바다 헤엄쳐 도망친 남자 체포

댓글 0 | 조회 3,949 | 2021.03.03
경찰은 오클랜드에서 경찰의 추격을 피… 더보기

오클랜드 2월 커뮤니티 확진자 접촉 추적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4,233 | 2021.03.03
오클랜드의 2월 커뮤니티 확진자의 접… 더보기

오클랜드, COVID-19 커뮤니티 검사 센터는 11개 장소

댓글 0 | 조회 2,441 | 2021.03.03
3월 3일 보건부 발표에 의하면, 오… 더보기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의 분류와 지켜야할 규칙

댓글 0 | 조회 3,212 | 2021.03.03
2월 28일 일요일 오전 6시부터 7… 더보기

3월 3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3,548 | 2021.03.03
☘︎ 3월 3일 오후 1시 브리핑 번… 더보기

작년 말 원유 수입 급증, 교역조건은 개선

댓글 0 | 조회 1,810 | 2021.03.03
지난 12월말까지 4/4분기에 원유 … 더보기

COVID-19 감염 증상, 전화기 앱 통한 인지 방안 검토

댓글 0 | 조회 2,059 | 2021.03.03
정부는 전화기 앱을 통하여 코로나 감… 더보기

타우랑가 주택 가격, 1.5% 하락

댓글 0 | 조회 3,453 | 2021.03.03
최근의 CoreLogic 부동산 통계… 더보기

보건부, 다양한 언어로 정보 전달 방안 재점검

댓글 0 | 조회 1,300 | 2021.03.03
보건부는 젊은이들에게 코비드-19 정… 더보기

오늘부터 2~3일간, 새 커뮤니티 감염자 발생 여부가 중요

댓글 0 | 조회 3,901 | 2021.03.03
Dr Ashley Bloomfield… 더보기

임시 입국 비자 소지자, 3월 25일부터 격리 비용 인상

댓글 0 | 조회 4,997 | 2021.03.03
정부는 관리 격리 시설에 머무르는 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