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 소상공인들의 임대료를 위한 국가 지원 제안

국민당, 소상공인들의 임대료를 위한 국가 지원 제안

kimssyong외 1명
0 개 3,384 KoreaPost

8910940bbd1025f0d8c5acc5adf9dd3f_1631512229_3446.gif
 

뉴질랜드에 살고있는 한인 이민자들의 기업 정신은 그 명성을 알렸고, 많은 사람들이 여러 대도시 중심에서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종사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사업 중, 많은 한국인들은 외식업을 택했습니다. 


뉴질랜드의, 특히 오클랜드의 많은 소상공인들은 이제 락다운 4주째에 접어들었고, 한인 소규모 사업들도 락다운으로 인해 가게 운영을 못하는 반면 렌트비는 그대로 다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을 마주했습니다. 


이것은 가족 체계로 운영되는 가게인 경우 더욱더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가게가 문을 닫으면, 가족 모두의 생계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다민족 분들이 운영하는 많은 사업체들이 그러하듯이, 한인 소상공인의 가게가 쇼핑몰 안에 위치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 가게들의 대다수는 대규모 다국적 회사가 소유하고 운영합니다. 그리고 이 회사들로부터 임대료 경감을 받는 방법은 어려웠습니다. 


내셔널 당 그림자 재무에 (National’s Shadow Tresurer) 앤드류 베일리는 (Andrew Bayly) 중소기업 임대 지원 패키지를 정부에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은 9월 1일에 발표되었고, 이번 락다운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결국 문을 닫지 않도록, 이 시기를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코로나 델타 변이는 분명 이전과는 다른 상황이 만들어지는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으로 인해 계속되는 락다운을 볼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더 심각한 락다운을 보게 될 것입니다.” 라고 베일리 의원은 말 합니다. 


225,000개의 사업체들이 2021년 코로나19 Wage Subsidy를 신청했고, 80만명정도의 고용인들이 포함된것으로 보여집니다. 베일리 의원은 이러한 사업체들이 현금 흐름 부족으로 인해 문을 닫게 될 경우 그것이 국가에 미칠 경제적 비용이 막대할것이고, 더 나아가 이 사업체가 이민 가족 체계로 이루어진 경우 더 큰 사회 및 의료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중소기업들을 지켜내기 위해서 훨씬 더 체계적으로 움직여야합니다. 이미 늦은 뒤에 그들의 사업체들의 폐허를 다루기 보다는, 그들이 생존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정부가 최근에 내어준 해결책은 Resurgence Support Payment (RSP)를 소상공인들에 지급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일회적인 지원이고 보험료나 세금따위의 소액 밖에는 채워주지 못합니다. 사업자들에게 직원 고용 비 다음으로 가장 많이 금액이 드는 것은 렌트비입니다. 어떤 가게주인들은 렌트비를 조정해주었지만, 이것은 소수입니다. 


뉴질랜드 내셔널 당에서 제안하는 임대료 패키지 (National’s Rental Support Package)는 풀타임 직원이 19명 혹은 미만이고, 40프로 이상의 비지니스 손해를 본 레벨 3 또는 4에 있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합니다. 정부는 이들이 내야하는 렌트비 및 건물 관련 유지비의 50프로를 지원하고, 25프로는 가게주인이 절감을, 나머지 25프로는 사업자가 내는 방식이다.  


베일리 의원은 사업자와 가게주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은 중재자 역할이었지만, 이것은 그 어떤 시원한 해결책을 보장하지 못하며 양측 어느 한쪽이라도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상당 수의 가게주인들이 그들의 세입자들을 위한 배려를 보여준 경우가 있었습니다만, 많은 이들은 그러하지 못했습니다. 만일 가게 주인과 비지니스 세입자가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저희가 원하는 것은 향상된 중재 지원을 해서 모든 임대 분쟁이 신속하게 해결될 수 있을 해결책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내셔널 당에서 제안하는 임대료 패키지 (National’s Rental Support Package)는 모든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실직자들이 늘어나는 연쇄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이민 가정들은 우리가 락다운을 벗어나 다시 일터로 돌아갈 때까지 그들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공: 멜리사 리 의원실


경찰 “봉쇄 반대 시위 주최한 브라이언 타마키 등 처벌한다”

댓글 0 | 조회 3,442 | 2021.10.04
경찰이 지난 주말에 경보령을 반대하는… 더보기

등에 4발의 총상 입은 10대 남성 위중

댓글 0 | 조회 3,177 | 2021.10.04
최근 들어 전국 각지에서 총기 사건이… 더보기

필 고프 오클랜드 시장, "백신 접종" 더 많이 필요

댓글 0 | 조회 2,745 | 2021.10.04
필 고프 오클랜드 시장은 수요일 0시… 더보기

레스토랑 협회, "오클랜드가 괴로워하고 있다"

댓글 0 | 조회 3,764 | 2021.10.04
레스토랑 협회는 성명을 통해 오클랜드…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3 유지, 수요일부터 단계별로 완화

댓글 0 | 조회 17,042 | 2021.10.04
정부에서는 10월 4일 오후 4시 브… 더보기

10/4 새 지역 확진자 29명, 와이카토 확진자 AK 사례와 연결

댓글 0 | 조회 5,662 | 2021.10.04
보건부는 10월 4일 새 확진자가 2…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90%" 백신 접종 캠페인

댓글 0 | 조회 1,959 | 2021.10.04
향후 4주 동안 크라이스트처치 아레나… 더보기

오클랜드 택시 운전사, 일터에서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3,954 | 2021.10.04
오클랜드의 택시 운전사가 COVID-… 더보기

노스쇼어 병원의 신생아,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2,916 | 2021.10.04
노스 쇼어 병원의 산부인과 병동에서 … 더보기

와이카토 2명의 확진자 발생 후, 검사와 백신 접종에 속도

댓글 0 | 조회 2,025 | 2021.10.04
와이카토 지역 보건위는 두 명의 확진…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전환 여부, 오늘 오후 4시 발표

댓글 0 | 조회 3,495 | 2021.10.04
오클랜드는 오늘 오후, 이번 COVI…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국내선에도 백신 미접종자 탑승 금지 방침

댓글 0 | 조회 2,052 | 2021.10.04
Air NZ의 Greg Foran 대… 더보기

오클랜드 총격 살인사건 수사하는 경찰, 차량 목격자 찾아

댓글 0 | 조회 3,032 | 2021.10.03
주말 새벽에 오클랜드 서부에서 발생한… 더보기

8월에 다시 신기록 수립한 신규주택 건축허가

댓글 0 | 조회 2,628 | 2021.10.03
지난 8월 중 델타 바이러스 확산으로… 더보기

산불로 황폐해졌던 마을로 돌아오는 주민들

댓글 0 | 조회 2,001 | 2021.10.03
산불이 한밤중에 덮치면서 초토화됐던 … 더보기

오클랜드 시티 병원, 집중치료실 신생아의 부모 확진

댓글 0 | 조회 3,371 | 2021.10.03
오클랜드 지역보건위(Auckland … 더보기

원예농장에서 일할 계절 노동자들 입국

댓글 0 | 조회 2,529 | 2021.10.03
남태평양 제도 출신의 계절 노동자들(… 더보기

와인 “생산 줄고 비용 상승으로 값 오른다”

댓글 0 | 조회 1,753 | 2021.10.03
와인 애호가들에게 물량도 줄어들고 값… 더보기

살인으로까지 번진 도로 위 다툼

댓글 0 | 조회 3,396 | 2021.10.03
도로에서 벌어졌던 다툼이 결국에는 살… 더보기

확진자 방문 관심 위치, 알바니, 라글란 등도 포함

댓글 0 | 조회 4,185 | 2021.10.03
보건부 웹사이트에는 확진자가 방문했던… 더보기

해밀턴 확진자 가족, COVID-19 검사 결과 '음성'

댓글 0 | 조회 2,284 | 2021.10.03
해밀턴 이스트와 파머스턴 노스(오클랜… 더보기

11월 1일부터 비시민권자 뉴질랜드 입국, 백신 접종 필요

댓글 0 | 조회 8,768 | 2021.10.03
크리스 힙킨스 COVID-19 대응부… 더보기

새 확진자 33명, 오늘 밤 해밀턴 등 "레벨 3로 전환"

댓글 0 | 조회 8,714 | 2021.10.03
10월 3일 보건부 오후 1시 브리핑… 더보기

해밀턴과 라글란, 2명의 새 확진자 발생

댓글 0 | 조회 3,705 | 2021.10.03
보건부에 와이카토에서 2명의 새로운 … 더보기

백신 미접종자, 에어 뉴질랜드 국제선 탑승 금지

댓글 0 | 조회 3,341 | 2021.10.03
에어뉴질랜드의 그렉 포란 최고경영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