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곳에서 지진 발생, Geonet “지진 다발 국가에 사는 것 잊지 말아야”

여러 곳에서 지진 발생, Geonet “지진 다발 국가에 사는 것 잊지 말아야”

0 개 1,194 서현

북섬 남부 내륙에서 규모 4.7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은 2월 13일(화) 오후 3시 39분쯤 레빈(Levin) 북서쪽 45km 지점 해저에서 발생했으며 깊이는 70km이다.

지오넷(GeoNet) 웹사이트에 따르면 지진 발생 당시 진동의 정도는 보고자 대부분인 4,000여 명과 3,000여 명이 ‘약함(weak)’이나 ‘가벼움(light)’으로 보고했다. 


또 다른 300여 명은 ‘중간(moderate)’ 정도로 표현했으며 24명과 3명이 각각 ‘강함(strong)’과 ‘심함(severe)’으로 적은 반면 9명은 진동이 ‘극심(extreme)’했다고 묘사했다. 


지진 직후 웰링턴 지역 민방위 부서는 자체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리는 흔들리는 섬에 살고 있다!’고 적으면서 뉴질랜드가 지진 다발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이 지역에서는 한 주민은 오후 3시 30분 직후에 두 번에 걸쳐 ‘짧고 날카로운 충격’을 느꼈다고 전했으며 또 다른 주민은 당시 창문이 덜거덕거렸다고 적었다. 


이 지진에 이어 오후 5시 58분에는 웰링턴 북동부 동해안인 캐슬포인트(Castlepoint)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내륙의 지하 23km 지점에서 규모 2.8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한 오후 6시 43분에는 남섬 노스 캔터베리의 체비엇(Cheviot) 남쪽 15km 지점의 지하 7km에서도 규모 3.6의 지진이 이어졌다.   


이들 3차례 지진으로 인한 별다른 피해 보고는 없었다.   



한편 하루 앞선 12일(월)과 13일에 걸쳐 뉴플리머스에서 5차례의 소규모 지진이 잇달아 발생해 주민들이 문의가 이어졌다. 


지진은 주로 뉴플리머스 북서쪽에서 발생했고 규모는 1.5에서 3.7 사이였는데, 12일 오후 5시 5분과 밤 9시 35분에 발생한 두 번의 가장 큰 지진은 규모 3.7이었다.


지진이 나자 지오넷 웹사이트에는 2,000~3,000여 건에 달하는 진동 보고와 함께 주민들의 질문이 쏟아졌는데, 이에 대해 지오넷에서는 이 곳에서는 이번과 같은 약한 지진이 아주 흔하며 때로는 소규모로 연속적으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한 전문가는 지난해 이 지역에서는 규모 1.5~3.7 지진이 약 25건 기록됐으며 이는 타라나키 분지의 활성 단층과 관련이 있고 지표면 아래 15~20km 미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현상은 이 지역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전했다. 


또한 뉴플리머스에서 가장 긴 단층은 ‘케이프 에그몬트 단층(Cape Egmont Fault )’으로 길이가 50km가 넘고 규모 7~7.3의 지진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이번 지진은 전조가 아니라면서, 주민들이 지진이 활발한 국가에 살고 있으며 항상 대비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는 계기로 삼도록 당부했다. 


한 경제학자, 중앙은행의 대규모 금리 인하 예상

댓글 0 | 조회 2,567 | 2024.03.22
한 경제학자는 더블딥 경기 침체가 중… 더보기

뉴질랜드 경기 침체, 무엇을 알아야 할까?

댓글 0 | 조회 2,721 | 2024.03.22
3월 21일 목요일, 뉴질랜드가 경기… 더보기

뉴질랜드, GDP 하락 이후 불경기에 빠져

댓글 0 | 조회 1,713 | 2024.03.22
3월 21일 뉴질랜드통계청(Stats… 더보기

Fonterra, 세후 이익 23% 증가 6억 7,400만 달러 기록

댓글 0 | 조회 1,192 | 2024.03.21
유제품 대기업인 폰테라(Fonterr… 더보기

전국적인 학생 학력 수준 비교 못해

댓글 0 | 조회 1,487 | 2024.03.21
교육 검토 사무소(Education … 더보기

지난해 NZ “경상수지 278억불 적자, 전년보다는 개선”

댓글 0 | 조회 1,332 | 2024.03.20
지난해 뉴질랜드의 ‘연간 경상수지(a… 더보기

오클랜드 앞바다에서 발견된 시신 “중국계 아시안 여성으로 추정”

댓글 0 | 조회 3,949 | 2024.03.20
오클랜드 경찰이 지난주 오클랜드 걸프… 더보기

첫 2층 전기버스 도입한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1,468 | 2024.03.20
오클랜드에 이층 전기 시내버스가 처음… 더보기

반기 2,370만 달러 적자 기록한 웨어하우스 그룹

댓글 0 | 조회 2,019 | 2024.03.20
아웃도어 업체인 ‘Torpedo7’ … 더보기

청산하는 로토루아 호수의 외륜 증기선 업체

댓글 0 | 조회 1,106 | 2024.03.20
북섬 로토루아 호수의 명물이었던 외륜… 더보기

상점 절도 상습범 초점 단속한 혹스베이 경찰

댓글 0 | 조회 1,039 | 2024.03.20
경찰이 혹스베이 지역에서 상점 절도 … 더보기

국민들 가장 큰 걱정은 여전히 ‘인플레와 생활비’

댓글 0 | 조회 2,498 | 2024.03.19
지난달 말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 국민… 더보기

국내 거주자의 해외여행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다”

댓글 0 | 조회 1,365 | 2024.03.19
(도표) 매년 1월 해외여행을 마치고… 더보기

‘붉은귀 거북’ 신고 당부하는 태즈먼 시청

댓글 0 | 조회 1,131 | 2024.03.19
북섬 와이카토에서 침입종인 ‘붉은귀 … 더보기

전설적인 NZ 오페라 가수 생일 축하한 국회의원들

댓글 0 | 조회 1,259 | 2024.03.19
국회에서 뉴질랜드 출신의 유명 오페라… 더보기

절도 사건 수색 중 발견된 총기와 탄약

댓글 0 | 조회 1,202 | 2024.03.19
한 절도 사건을 조사하던 마누카우 경… 더보기

허용치 9배의 음주운전자 적발

댓글 0 | 조회 1,570 | 2024.03.19
법률 허용 기준의 9배 가까운 음주 … 더보기

‘그레이트 워크’ 시설 이용료 7월 1일부터 인상

댓글 0 | 조회 1,209 | 2024.03.19
오는 7월 1일부터 대표적인 트레킹 … 더보기

주택시장 가치, 전년 대비 3.1% 증가..

댓글 0 | 조회 1,440 | 2024.03.19
주택시장 가치가 전년 대비 3.1%,… 더보기

약 200kg 필로폰, 뉴질랜드와 호주 시장 진입 막아

댓글 0 | 조회 1,844 | 2024.03.18
합동 태스크포스는 약 200kg에 달… 더보기

뉴질랜드인 변호사, 시드니에서 뺑소니 사고로 사망

댓글 0 | 조회 3,249 | 2024.03.18
지난 주말 시드니에서 뺑소니 사고로 … 더보기

실수로 입금된 5만 달러, '해밀턴 무버스' 반환 거부

댓글 0 | 조회 4,408 | 2024.03.18
이사 업체인 해밀턴 무버스(Hamil… 더보기

2 Walk and Cycle 컨퍼런스, 정부의 교통 접근 방식에 "역풍"

댓글 0 | 조회 929 | 2024.03.18
전국 사이클링 컨퍼런스의 높은 참여율… 더보기

쿡 제도 뉴질랜드인, 우선 영주권 규정 '무효'로 판결

댓글 0 | 조회 2,675 | 2024.03.18
쿡 제도 고등법원(The Cook I… 더보기

북섬 경찰, 주택 2채와 현금 8만 달러, 차량 등 압수

댓글 0 | 조회 1,907 | 2024.03.18
옐로스톤 작전(Operation Y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