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부의 헛점 악용, 외국부모들이 자녀교육위해 일부러 불법체류(?)

이민부의 헛점 악용, 외국부모들이 자녀교육위해 일부러 불법체류(?)

0 개 5,437 리포터
뉴질랜드로 이주해온 외국인 부모들이 자녀들이 뉴질랜드 국내 학생 자격으로 2년동안 무상교육지원을 받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불법 체류를 한 다음, 추방당하기 전에 자녀들을 친구들이나 친척들의 손에 맡기고 미리 떠나버리는 이민법 악용사례들이 빈번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작년에 발효된 신규 이민정책하에서는, 부모가 6개월이상 불법 체류를 할 경우, 그 자녀들이 최장 2년까지 국내 학자금 지원을 받을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고 한다.

뉴질랜드이민부는 불법 체류자들을 추방할 권한을 갖고 있긴 하지만, 실제적으로 부모없는 자녀들을 추방하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 이민자문가는 중등학생들과, 고등학교 마지막 2년을 앞둔 학생들을 가진 부모들의 경우, 2년동안 무상교육을 받은 다음에는 자녀들이 뉴질랜드 학교 졸업장을 취득할수 있기 때문에, 이같은 이민법의 맹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더 빈번하다고 이민부에 민원을 제기했다고 헤럴드는 전했다.

교육부의 자료에 따르면, 중고등학교 학생 한명을 위해 사용되는 납세자의 돈이 연간 평균 6700불 이고, 초등학교 학생 한명당 연간 평균 5500불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에 유학중인 국제 학생들이 평균 내는 연간 학교등록금은 12000불에서 14000불 사이의 금액이라고 한다.

이름을 밝히기 거부한 이 제보자는 ‘이민성측도 이와 같은 맹점을 알고 있긴 하지만 현재로선 막을 도리가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면서, “앞으로 이같은 악용사례가 삽시간에 더 늘어날 것으로, 세금을 축낼 뿐 아니라 나아가 뉴질랜드 교육산업 수출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민성측은 현재 약1천여명의 불법체류자 자녀들(5세~17세사이)이 국내에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잠정집계했다.

이 제보자는 불법체류 부모들이 추방령을 받기 전에 미리 자발적으로 떠나고, 이들의 자녀들은 그대로 남아 부모의 친구나 친척들의 보호속에서 국내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발적으로 떠난 불법체류자들의 경우, 보통 5년동안만 국내에 다시 입국할수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한 국내 학생 자격을 얻기 위한 조건 가운데 하나는 학생이 반드시 부모나 아니면 법적 후견인과 동거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학교들이 제대로 학생들의 가족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이민부 장관 실무대행 스티븐 던스턴 부장은 원칙적으로 자녀는 추방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통상적으로 부모없이 자녀만 추방하진 않지만, 매 이민 케이스 별로 정상 참작을 고려해 각각 달리 결정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만약 미성년 자녀가 부모가 아닌 다른 보호자와 거주하던 중, 비자시한을 넘겨 불법 체류를 하게 될 경우, 그 보호자 및 정부기관들과 공조협력을 취해 그 미성년자를 본국으로 돌려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한해 총 1961명의 불법 체류자중 1141명이 자발적으로 뉴질랜드를 떠났다고 한다.

2009년에 제정되고 작년부터 실효에 들어간 이민법령에 따르면, 5세에서 17세 사이의 의무교육 기간에 해당하는 자녀들은 그대로 뉴질랜드에 남아 학업을 계속할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교육부의 국내 학생 기준(Education(Domestic Students) Notice 2010) 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2년동안의 국내 학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한다.

교육부는 올 7월22일 현재 기준, 총394명의 신청자들로 부터 모두 419건의 국내 학비 지원금 신청을 접수했으며, 이 중 20건은 신청자가 해당 미성년자의 부모인지 아니면 법적 후견인인지 입증을 못했기 때문에 기각시켰다고 밝혔다.

“또한 이미 승인이 난 경우들도, 부모나 자녀들이 (차후에 상황이 바뀌어) 승인 조건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승인이 취소될 수 있다”고 교육부측은 말했다.

교육부측은 또한 “국내 학생 승인이 난 학생들이 더이상 부모와 동거하지 않을 경우 교육부로 사실 통보를 해달라고 각 학교측으로 요청했다”고 전했다.

출처 : 뉴질랜드헤럴드
시민기자 안선영 nznews247@gmail.com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항 가짜 조종사 알고보니 TV3 코메디쇼프로.

댓글 0 | 조회 1,305 | 2011.09.20
지난 11일 공항에서 있었던 가짜 조… 더보기

12일 크라이스트처치 4이상이 지진

댓글 0 | 조회 1,022 | 2011.09.20
리지터 지진기로 진도 4 이상의 지진… 더보기

스코티시, 럭비월드컵 응원을 위한 백파이프 연주 요구

댓글 0 | 조회 1,168 | 2011.09.20
스코티시 정부는 럭비월드컵 주체측이 … 더보기

정부, 사유지에 대한 경찰의 몰래카메라 촬영 허용법안 준비

댓글 0 | 조회 1,062 | 2011.09.20
정부는 다음 주 중 개인 사유지에 대… 더보기

마오리와 그린피스, 석유탐사 중단위해 고등법원에 제소

댓글 0 | 조회 1,265 | 2011.09.20
베이 오브 플렌티의 동부 해안 지역의… 더보기

스톰워터 하수시설, 2백년 걸려야 정비 가능.

댓글 0 | 조회 1,229 | 2011.09.20
오클랜드 지역의 스톰워터 하수 시설에… 더보기

꽃샘 추위와 비 바람으로 럭비 월드컵 경기, 영향 미쳐

댓글 0 | 조회 1,622 | 2011.09.20
지난 주 꽃샘 추위와 비로 인한 럭비… 더보기

'사고팔고'란에 장물거래 주의요망

댓글 0 | 조회 5,679 | 2011.09.19
코리아포스트웹사이트(www.korea… 더보기

2011럭비월드컵- 아일랜드, 호주꺽고 1승 획득

댓글 0 | 조회 1,613 | 2011.09.19
지난 17일 오클랜드 이든파크 경기장… 더보기

길가에서 과속단속 카메라 차량을 보면, 다른 운전자에게 깜빡등을 켜줄까 말까?

댓글 0 | 조회 4,336 | 2011.09.19
길가에서 과속 단속 감시카메라 잠복차… 더보기

스코트랜드 월드컵선수 치치에 8만5천달러 성금.

댓글 0 | 조회 1,022 | 2011.09.19
올 블랙의 일부 선수들이 크라이스트처… 더보기

간큰 가짜 조종사, 출국게이트 진입시도

댓글 0 | 조회 1,188 | 2011.09.19
비행기 조종사 유니폼을 입은 한 남자… 더보기

관객유입에 대한 처리 고민

댓글 0 | 조회 884 | 2011.09.19
교통수단이 지난 17일 토요일 이든파… 더보기

도주차량 가로등 받고 뒤집혀 운전자 사망.

댓글 0 | 조회 1,227 | 2011.09.19
지난 17일 토요일 새벽 경찰의 추적… 더보기

스피드카메라, 안전운전에 도움

댓글 0 | 조회 874 | 2011.09.19
자동차 협회인 AA는 운전자들에게 스… 더보기

2011럭비월드컵- 뉴질랜드 일본을 83대 7로 대파

댓글 0 | 조회 1,676 | 2011.09.17
지난 16일 해밀톤의 와이카토 스타디… 더보기

교통 단속 카메라, 단속운전자 두 배 증가

댓글 0 | 조회 2,345 | 2011.09.16
교통단속 카메라에 단속된 운전자가 전… 더보기

아기용 물티슈에 방부제 함유

댓글 0 | 조회 2,441 | 2011.09.16
대형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기… 더보기

세계노인의 날 맞아 다양한 이벤트 열려

댓글 0 | 조회 815 | 2011.09.16
10월1일 세계 노인의 날을 기념해 … 더보기

Observe the CBD liquor ban

댓글 0 | 조회 833 | 2011.09.16
Auckland Council and… 더보기

월드컵 팬 존 긴급 확대를 위한 구제방안 오늘 통과될 듯

댓글 0 | 조회 1,340 | 2011.09.16
지난주 금요일 시내 파티센트럴 퀸즈워… 더보기

‘천연건강제품 법안’ 의회 1차 심의 통과

댓글 0 | 조회 1,172 | 2011.09.16
지난 7일 의회에 상정됐던 뉴질랜드 … 더보기

피지 강도 7.2 지진 발생

댓글 0 | 조회 1,912 | 2011.09.16
오늘 아침 피지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 더보기

하이빔으로 신호보내던 운전자 벌금에 처해

댓글 0 | 조회 1,315 | 2011.09.16
국도를 달리다가 스피드 카메라가 있는… 더보기

뉴질랜더, 성인의 65%가 과체충

댓글 0 | 조회 1,012 | 2011.09.16
뉴질랜드 사람들은 계속해서 체중이 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