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7일 토요일 제2회 함께 걸어요.

4월 27일 토요일 제2회 함께 걸어요.

함께 걸어요
4월 3일은 세계 자폐스팩트럼  장애인의 날입니다.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입니다. 1년 중 장애인과 인지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분들(디멘시아)에 대한 여러분의 사랑과 지지를 보여 줄 때입니다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 편견과 차별 없이 함께 사는 사회가 아름답습니다.
밀알 선교단에서는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있는
뉴질랜드 한인 교민들의 장애인을 사랑하고 지지하는 마음을 보여 줄 함께 걷기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사랑과 지지를 보여 주십시오
그것은 쉽습니다.
4월 27일 11시에  함께 걸으면 됩니다.
"함께 걸어요"는 지난 해 4월에 이어 두 번째 걷기 행사입니다.
특별히 4월 6일은 오티즘 자폐스팩트럼 장애인의 날입니다.
또한 올해는 점점 증가하는 인지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분들(디멘시아)과 가족들에게도 사랑과 지지를 보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사랑과 지지를 보여주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4월 27일 11시에 오네포토 패스를 함께 걸어주세요.

혹시 
당일에 오지 못하신다면 아무때나  오네포토 도메인에 오셔서 패스를 걸어 주시고 동영상 혹은 사진등으로 인증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혹시 오네포토도메인이 너무 멀면
집 가까운 산책로 중에 밀알 장애인들이 걷기 좋은 산책로를 걸으시고 인증해 주셔도 됩니다.

우리는 압니다.
사람마다 보여줄 수 있는 사랑은 아주 작습니다
뉴질랜드 교민들이 마음속으로는 장애인과 디멘시아를 가진 분들을 사랑하고 지지한다는 것을
그래도 표현해 주시면 장애인들과 디멘시아를 가진 가족들에게 힘이 됩니다.
인증 사진 올리기
https://forms.gle/vsPDLESL3cf6bpbR7

밀알 선교단장 박충성
027522 1158







유엔 장애인 인권 선언 1975년 제정
1. ‘장애인’이라는 개념은 선천적으로나 후천적으로나 신체적 능력이나 정신적 능력에 결함이 발생함으로써, 자신 스스로 개인생활이나 사회생활을 정상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필요조건을 전혀 갖출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 갖출 수밖에 없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2. 모든 장애인은 이 선언에 명시된 모든 권리를 누려야 한다. 이러한 권리는 인종, 피부색, 성별, 언어, 종교, 정치적 입장이나 여타의 견해, 국적이나 사회적 신분, 빈부, 출생, 장애인이나 그 가족이 처한 상황 등에 따라 어떤 차별도 받지 않고 예외 없이 모든 장애인에게 인정되어야 한다.

3. 모든 장애인에게는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할 천부적 권리가 있다. 모든 장애인에게는 장애의 원인과 특징과 정도에 관계 없이 동일한 연령의 일반 시민과 마찬가지로 기본적 권리, 즉 무엇보다도 먼저 품위 있는 생활을 정상적으로 최대한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4. 모든 장애인에게는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시민적 권리와 정치적 권리가 있다. 하지만 〈정신지체인 권리 선언〉 7조에는 정신 장애인에게 그러한 권리를 제한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는 조항이 존재한다.

5. 모든 장애인에게는 최대한 자립을 돕기 위해 마련된 모든 수단을 이용할 권리가 있다.


6. 모든 장애인에게는 보장구1)를 포함하여 의료와 심리 치료와 기능 치료를 받을 뿐만 아니라, 의료 재활과 사회 재활, 교육, 직업 훈련과 재활, 개호, 상담, 취업 알선, 장애인의 능력과 기술을 최대한 향상시켜서 그들의 사회 통합이나 재통합 과정을 촉진하는 다양한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

7. 모든 장애인에게는 경제·사회적 생활 보장과 품위 있는 생활수준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모든 장애인에게는 각자 능력에 따라 고용을 보장받거나 유익하고 생산적이고 보수가 보장되는 직종에 종사하면서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8. 모든 장애인에게는 경제·사회적 계획 수립의 모든 단계에서 자신의 특수한 필요조건이 반영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9. 모든 장애인에게는 가족이나 수양부모와 함께 살면서 사회 활동과 생산 활동이나 오락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주거에 관한 한 모든 장애인은 건강 상태나 건강 개선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차별 대우도 받아서는 안 된다. 장애인이 불가피하게 특수 시설에 수용되는 경우, 그 곳의 환경과 생활 조건은 가능한 한 그와 연령이 똑같은 일반인이 정상적으로 누리는 생활 조건과 유사해야 한다.


10. 모든 장애인은 모든 형태의 착취, 모든 형태의 규제, 차별적이고 모욕적이고 천박한 성격을 띠는 모든 처우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11. 모든 장애인이 자신의 인격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법률 지원이 필요한 경우, 그러한 지원을 적절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장애인에 대한 사법 소송이 제기된 경우, 그들의 심신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여 법적 절차가 적용되어야 한다.


12. 모든 장애인 단체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모든 사안에 대해 유익한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13. 모든 장애인과 그 가족과 사회는 모든 적절한 방법을 통해 이 선언에 포함된 권리에 대해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Total 12,002 Posts, Now 2 Page

CAB 브라운스베이
stormyjet | 조회 191 | 2024.05.27
6.25 전쟁 74주년 행사
nzblue | 조회 352 | 2024.05.20
Parenting Program
별님 | 조회 347 | 2024.05.20
CAB 브라운스베이
stormyjet | 조회 268 | 2024.05.17
CAB 브라운스베이
stormyjet | 조회 252 | 2024.05.16
인기 ANZ 홈론 직원입니다.
24윤 | 조회 1,961 |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