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을 알면 뉴질랜드가 보인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정윤성
웬트워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채수연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Danielle Park
들 풀

지명을 알면 뉴질랜드가 보인다

0 개 3,161 한일수

사람이나 사물은 이름을 가짐으로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뉴질랜드에는 마오리어로 된 지명이 많은데 

그 내용을 살펴보고 ……


207303d79dd1dda0bec3fb1e27d808b5_1531259068_9454.jpg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 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 시인(1922.11.25.-2004.11.29.)의「꽃」이라는 시의 내용이다.

 

이 시에서는 존재의 본질에 가 닿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대상과 주제는 주종(主從)관계가 아니라 상호 주체적인 만남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즉 ‘나’와 ‘그’가 고립된 객체로서가 아니라 참된 우리로서 공존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이름을 불러줘야 한다. 그래서 서로에게 ‘잊혀 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름이 가지는 상징성을 탐구하는 시로 모든 것은 이름을 가짐으로써 의미 없는 것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인식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며칠 전 서울에서 온 지인에게『뉴질랜드 한인사』 드렸더니 표지에 나온 부제, ‘아오테아로아에서 한인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보고 ‘아오테아로아’가 무슨 말이냐고 질문하였다. ‘뉴질랜드 한인사’라면 ‘뉴질랜드에서 한인들이 살아 온 이야기라고 해야 될 텐데 왜 ‘아오테아로아’ 란 말이 들어가 있는지 의문을 가진 것이다. 그분은 전 세계적으로 조직망을 갖고 있는 한국 기관의 총괄 수장으로서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며 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뉴질랜드에도 잠깐 다녀갔지만 ‘뉴질랜드’라는 이름의 의미를 알고 더욱이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아오테아로아’ 의 스토리를 인식하면 훨씬 더 뉴질랜드에 대해서 친근감을 간직하고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민족은 지구상 180여개 국가에 뿌리내려 살고 있기에 각 나라의 한인 사회를 잊혀 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으로 기억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네덜란드의 아벨 태즈먼(Abel Tasman)이 1642년 11월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발견했을 때 네덜란드 남동부 해안지방 ‘Zealand’주의 이름을 따서 ‘New Zea land’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그 후 국가 이름으로 채택되었다.

 

 ‘아오테아로아(Aotearoa)’는 마오리어로 ‘구름’ 을 뜻하는 ‘Ao’와 ‘흰색’을 뜻하는 ‘Tea’ 그리고 길다는 뜻의 ‘Roa’가 합친 ‘길고 흰 구름’이라는 말이다. 지금부터 1000여 년 전에 폴리네시아에 살고 있던 마오리족 항해가 쿠페가 부인과 함께 카누를 타고 남쪽으로 항해하다가 뉴질랜드 섬을 발견하고 ‘길고 흰 구름(Aotearoa)’이라고 불렀던 데서 연유한다.   

 

뉴질랜드 지명에는 마오리어가 많이 등장한다. 하나의 이름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면 여러 다른 지명과 관련 성을 파악하게 되고 같은 단어의 마오리 표현과 연관지어 폭 넓게 다가갈 수 있다. 오클랜드 노스쇼어의 노스코트에 Aorangi Place 가 있는데 ‘Ao’는 구름이니까 구름과 관련 있는 ‘Rangi’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오클랜더들이 매일 같이 바라보는 섬이 ‘Rangitoto’섬이므로 ‘Rangi’ 라는 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Rangi’는 하늘이라는 뜻이고 ‘Toto’는 피(흘리다)라는 뜻이므로 ‘Rangitoto’는 ‘피로 물든 하늘’이라는 뜻이 되겠다. 마오리 선조들이 뉴질랜드에 이주해 살다가 화산이 폭발하는 것을 봤는데 용암이 분출하여 하늘이 붉게 물들어 ‘피로 물든 하늘’로 부르게 된 것이 ‘Rangitoto’가 된 것이다.

 

뉴질랜드에 처음 닻을 내린 곳은 남섬의 크라이스트처치였다. 그때 1일 투어로 Akaroa를 다녀온 경험이 있다. 아카로아는 크라이스트처치 동쪽 해안에서 길게 뻗은 Banks Peninsula 만에 위치한 타운이다. 원래 프랑스 개척자들이 1838년에 고래 사냥을 위해 마오리로부터 3만 에이커의 땅을 구입하고 1840년까지 식민 기지를 삼았던 곳이다. 여기서 ‘Roa’는 길다는 뜻이므로 ‘Akaroa’는 ‘Long Har bour’라는 의미로 마오리들이 부르던 이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뉴질랜드에 살면서 처음부터 가장 많이 접하는 지명은 ‘Wai’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이름일 것이다.‘Waitangi’, ‘Waitemata’,‘Waikato’,‘Waiera’,‘Waitomoto’, ‘Muriwai’,‘Waiheke’…….‘Wai’는 ‘물’이라는 뜻이고 뉴질랜드는 섬나라이므로 물이 들어가는 지명이 많다. Waitangi 조약에 의해 뉴질랜드가 탄생되었지만 마오리 들의 슬픈(Tangi) 감정이 녹아 있는 이름이 되겠다. ‘Muri’ 는 ‘뒤’라는 뜻이 있으므로 ‘Muriwai’는 ‘뒤쪽에 있는 물’이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노스쇼어의 이스트코우스트(East Coast)에서 하우라키 바다를 향해 매일 같이 바라보는 섬들이건만 그 섬들의 이름이나 제대로 알고 있는지도 자문해 볼 일이다. Rangitoto에서 시작해 북쪽으로 Motutapu, Rakino, The Noises, Tiritri Matangi 섬들이 도열해 있고 Whangaparaoa 반도와 연결되고 있다.  

 

사랑은 관심이다. 따라서 사랑의 반대는 미움이 아니라 무관심이다. 뉴질랜드에 살려거든 뉴질랜드를 사랑하라. 뉴질랜드를 사랑하려거든 뉴질랜드의 모든 것들에 대해서 관심과 흥미를 가질 일이다.  

걸어야 산다, 살려거든 걸어라

댓글 0 | 조회 332 | 16시간전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방식의 생태학적 행동이다. 모든 생물체는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한평생을 자연과 함께 지내다가 다시… 더보기

알카트라즈 교도소

댓글 0 | 조회 364 | 2025.06.10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더보기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댓글 0 | 조회 537 | 2025.05.14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여행하는 사람은 대개 요세미티 공원을 방문하게 된다. 인류가 요세미티를 처음 방문한 기록은 8000년-1만 년 전 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407 | 2025.04.08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래 20세기 중 몇 차례 방문한 일이 있지만 21세기 들어 25년 만에 개별 방문 차원에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돌아보고 몇 …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523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뉴질랜드 설맞이

댓글 0 | 조회 464 | 2025.02.11
낯선 나라에 이주해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은 새로운 문화와 부딪히게 되고 문화적인 충격을 겪게도 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 더보기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875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459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674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21세기 문명의 몰락

댓글 0 | 조회 682 | 2024.10.08
벌써 17년 전의 일이지만 2008년 베이징에서 치러진 하계 올림픽 때의 기억이다. 올림픽 개막식은 가장 장엄하고 규모가 크고 호화찬란했으며 만 오천 명에 이르는… 더보기

뉴질랜드 아리랑

댓글 0 | 조회 1,018 | 2024.09.11
한민족에게는 ‘아리랑’이 있고 뉴질랜드인에게는 ‘포카레카레 아나’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정서 속에 녹아내려 민중… 더보기

다문화적 하모니

댓글 0 | 조회 644 | 2024.08.14
뉴질랜드는 19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와이탕이 조약으로 1840년에 영국의 식민지로 나라가 형성된 200년이 채 못 된 신생국가이다. 또한 같은… 더보기

클레오파트라 – 마녀인가? 미녀인가?

댓글 0 | 조회 702 | 2024.07.09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성과 모순성, 그 위대함과 비참함을 독특한 문체로 표출한 파스칼(Blaise Pas…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1,444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856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539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853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1,178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962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166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980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1,077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1,305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

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댓글 0 | 조회 1,495 | 2023.08.09
장마철이 계속되다 보니 대외활동이 제한되고 찾아 갈 곳도 또한 찾아 올 사람도 마땅치 않아 할 일 없이 집에만 있게 되는 날이 많아지게 되는 요즈음이다. 그러다 … 더보기

흔들다리 효과

댓글 0 | 조회 1,236 | 2023.07.11
이민 와서 초창기에 ‘오클랜드 내춰럴 히스토리 클럽(Auckland Natural History Club)’ 이라는 자연 탐사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한 적이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