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알레르기 비염. 완치되고 싶지 않으세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정윤성
웬트워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채수연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심혜원
들 풀

지긋지긋한 알레르기 비염. 완치되고 싶지 않으세요?

0 개 1,893 박기태

흔히들 알레르기 비염은 완치되지 않는다라고 알고 계신 분들이 많다. 그 이유는 서양의학으로는 증상만 조절하는 약만 있을 뿐 치료가 되는 약이나 방법은 존재하지 않고, 건강식품종류도 증상만 완화되는 효과뿐이고, 면역력 강화에 좋다는 홍삼을 먹어도 효과는 글쎄이고, 유명하고 잘 한다 는 한의원에 가서 한약을 몇 달을 먹어도 먹을 때뿐이라는 것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비염을 완치하는 방법은 없다라고 생각들 하는 것이다.  

 

참으로 답답한 지경이다. 사실은 그렇지 않는데…… 각설 하고, 모든 병의 치료가 약이나 수술만으로 해결되는데 아니다. 그와 더불어 환자가 지켜야 할 섭생이라는게 있다. 예를 들면 고지혈증 환자가 약 복용만이 아니라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듯이, 또는 우울증 환자가 항우울제 복용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주변의 스트레스 환경이 개선되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알레르기 비염도 마찬가지로 환자가 지켜야 할 섭생, 즉 면역 생활이라는 게 있다는 것이다. 면역 생활을 통하여 꾸준히 자기 면역력을 키워나간다면 분명히 알레르기 비염은 완치가 된다는 것이다. 

 

필자의 진료경험을 통해서 보면 많은 수의 환자들이 증상이 개선되고 난 후 치료를 그만두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이때부터이다. 비염이 재발이 되고 안되고의 차이가 이때부터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으로 힘들 때는 섭생을 잘 지키지만, 괴로움이 사라지고 나면 섭생을 잘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고 난 후 다시 비염이 재발되면 역시 비염은 완치되지 않는 병이라고 낙인을 찍어버리는 것이다. 

 

또한 많은 수의 환자들이 다양한 치료방법에 대하여 불신을 토로하는 경우들이 있다. 어떤 이는 항히스타민 약을 몇 달을 복용했는데도 안되더라, 어떤 이는 한의원에서 침을 수십 번을 맞았는데도 안 되더라, 어떤 이는 좋다는 연고를 콧속에 발라봤는데도 안되더라, 어떤 이는 추나 치료를 하면 된다 해서 해봤는데도 안되더라, 어떤 이는 콧속점막을 잘라내는 수술을 했는데도 안되더라 등등 정말 많은 경우들을 겪고 얘기한다. 하지만 필자가 볼 때는 위의 모든 방법들이 그냥 단순히 증상만 완화시키는 방법일 뿐 이라는 것이다. 

 

근본치료, 완치하고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은 대부분 환자가 위의 방법들로 치료받고 난 후 ‘비염은 완치가 안돼’하고 포기한다는 것이다. 서양의학적 치료방법에 있어 항히스타민제의 효과는 코 막힘, 가려움, 재채기, 맑은 콧물 등의 증상을 12시간정도 완화시켜 준다. 

 

하지만 꾸준히 복용하면 약효지속시간이 계속 줄어든다. 부작용도 졸음, 진정작용이 있으며 피로감, 집중력장애가 발생되기도 한다. 비염 수술은 부어있는 콧속점막을 절개하는 방법을 쓰는데 이는 감기만 발생하여도 쉽게 재발을 한다. 

 

한의학적 치료방법에 있어 침 치료는 코 막힘에 탁월하고 가려움 등을 완화시켜 주지만 그때뿐이다. 뜸 치료는 효과가 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몸을 보하는 효과가 있어 꾸준히 하면 도움이 된다. 그렇다고 뜸 치료만 해서는 완치가 되지는 않는다. 

 

한약은 증상만 개선시키는 약도 있고 면역력을 보강하는 한약도 있다. 허나 마찬가지로 한약만 복용한다고 해서 완치가 되지는 않는다. 그 외의 민간요법, 추나 요법, 건강식품 등도 증상이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만 있을 뿐 완치에 이르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그 해답은 앞서 말했듯이 면역생활에 답이 있다. 다음 호에 알레르기 비염을 완치하는 면역생활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겠다.

 

a08b9a314f12eaa6373f165c98b4bd77_1518608003_1087.jpg
 

한의학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하기

댓글 0 | 조회 564 | 2024.09.25
다시 또 알레르기가 시작하는 시기가 찾아왔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콧물과 재채기, 그리고 코 막힘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을 야기한다. 하… 더보기

화병이라고 느끼시나요?

댓글 0 | 조회 601 | 2024.08.28
자연계의 음과 양이 서로 긴밀하게 연관을 맺고 있는 것처럼, 사람의 몸과 마음 역시 서로 다른 듯하지만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이치에 근거하여 한의학에서… 더보기

목안이 너무 아파요

댓글 0 | 조회 921 | 2024.08.14
편도는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 안쪽에 양쪽으로 대문처럼 보이는 것인데, 성인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아이들은 쉽게 찾을 수 있다.편도선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고열… 더보기

목이 붓고 통증과 열이 있나요?

댓글 0 | 조회 1,061 | 2024.07.09
과로나 스트레스 등으로 심신이 지쳐 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이 많이 나면서 목 부위가 따갑고 기침이 나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병원에 가면 대개…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636 | 2024.06.26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사회 안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우리는 때로 무언 가에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이처럼 사회가 복…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588 | 2024.05.28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콩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기 계통과 비뇨기 계통을 지칭한다. 간장과 신장이 약한 어린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1)

댓글 0 | 조회 574 | 2024.05.14
일반적으로 허약아란 몸이 야위고 자주 잔병치레를 하며, 힘이 없고 밥을 잘 먹지 않으며, 매우 신경질적인 아이를 말한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튼튼하지만 물렁물렁한 … 더보기

척추가 튼튼해야 건강이 유지됩니다

댓글 0 | 조회 989 | 2024.04.24
일상생활에서 어떤 특정한 동작을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을 어떻게 움직이는 것이 좋은 지 생각하지 않고 무심코 행동하는 편이다. 사소한 것 같지만 이렇게 몸을… 더보기

현대인의 심리 불안, 대추차가 좋아요

댓글 0 | 조회 660 | 2024.04.09
최근 한방의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부각되면서 주위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한약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남용이나 오용의 위험이 상대적… 더보기

체질이 궁금하세요?

댓글 0 | 조회 714 | 2024.03.26
서양의학의 발전에 가려서 제자리를 찾지 못하던 한의학이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이것은 서양의학이 환자 자신이 느끼는 증세보… 더보기

입만 벌려도 턱이 너무 아파요 ㅠ ㅠ

댓글 0 | 조회 879 | 2024.03.13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는 행위를 제외하고도 하루 중 우리의 턱관절은 침을 삼키기 위해 잠을 잘 때에는 1분에 1번, 잠을 자지 않을 때에는 1분에 2번 움직인다.… 더보기

생리가 잘 나오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282 | 2024.02.28
여성의 건강 지표 중에서 월경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초경 이후 매달 치르는 이 생리현상은 개인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띠는데, 어떤 원인에 의해서 월경이 갑… 더보기

월경불순

댓글 0 | 조회 931 | 2024.01.31
여성에게 순조로운 월경은 건강의 척도일 뿐만 아니라 임신과 출산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중요한 표시다. 가임기의 여성은 정상적인 경우 24~35일 간격… 더보기

갑자기 호흡이 곤란하고 가슴에 통증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935 | 2023.12.12
누구든 중요한 시험을 치거나 면접 또는 검사를 받을 때면 긴장되고 불안해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긴장감이나 불안감이 심해지면 갑자기 어지럽거나 뒷목이 뻐근하고 심장… 더보기

비가 오면 손발이 저리나요?

댓글 0 | 조회 833 | 2023.11.28
누구나 한 번쯤 오랫동안 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가 움직일 때 저릿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저리다’는 느낌은 개인에 따라 저리다, 쑤시다, 감각이 … 더보기

잘못 알려진 한약의 효능

댓글 0 | 조회 795 | 2023.11.14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 가운데 “여름에 한약을 먹으면 땀으로 빠져나가는 게 아닙니까?” 하고 묻는 이들이 많다. 여름철에는 날씨가 덥고 땀을 많이 흘리니까 먹은 한… 더보기

재채기ᆞ콧물ᆞ코막힘이 심한가요?

댓글 0 | 조회 1,239 | 2023.10.24
알레르기성 비염은 재채기.콧물.코막힘의 세 가지 주된 증세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질환이다. 끊임없이 나오는 재채기와 코 밑이 헐 정도로 계속 닦아내야 하는 콧물,… 더보기

배가 차가운 거 같아요!

댓글 0 | 조회 1,552 | 2023.10.11
예전에는 나이 든 어른이나 ‘무릎이 시리다’, ‘등에서 찬바람이 난다’, ‘배가 차다’고 했는데, 요즘은 젊은 사람과 심지어 아이들까지도 배가 차다고 호소하는 경… 더보기

귀에서 물이나 고름이 나오나요?

댓글 0 | 조회 2,037 | 2023.09.27
중이염은 크게 화농성과 삼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은 병의 진행기간으로 보아 다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여기에서 설명할 화농성 중이염은 쉽게 말해… 더보기

야뇨증

댓글 0 | 조회 987 | 2023.09.12
야뇨증이란 잠잘 때 꿈을 꾸는 것 같은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증세를 말한다. 낮에도 소변이 저절로 배설되는 증세를 ‘주간 유뇨증’ 이라고 하는데, 이것과 비교해서… 더보기

코 풀기와 코 세척하기

댓글 0 | 조회 1,342 | 2023.08.22
축농증이나 비염으로 코가 안에 많이 고일때는 쉴새없이 코를 풀게 된다. 계속 흘러내리는 코를 풀지 않으면 금세 꽉 막혀서 코로 숨을 쉴 수가 없기 때문이다.이것보… 더보기

누런 콧물이나 코피가 자주 흐르나요?

댓글 0 | 조회 1,338 | 2023.08.08
“우리 아이는 기침을 너무 많이 하는데, 기관지가 약한 것 같으니까 보약을 지어주세요” 라며 보호자가 직접 진단하고 치료방법을 정해 오는 경우가 있다.이 때 정말… 더보기

우리 애가 너무 불안해해요

댓글 0 | 조회 1,333 | 2023.07.25
평소에 특별한 이유 없이도 쉽게 긴장되거나 짜증이 나고, 혹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불안신경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소… 더보기

소아 설사

댓글 0 | 조회 990 | 2023.07.11
보편적으로 어린이들은 특별한 문제가 없어도 설사를 자주 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체질적으로도 소음인으로 형성되어가는 어린이들은 굵고 긴 대변을 보는 경우가 드물고… 더보기

목구멍에 담이 모여 답답한 가요?

댓글 0 | 조회 1,404 | 2023.06.27
환절기가 되면 기침이나 가래를 호소하면서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대부분 기침감기나 목 감기인 경우가 많지만, 간혹 목구멍에 가래처럼 걸린 것 때문에 늘 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