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경기 상승세 언제까지 가나?

주택 경기 상승세 언제까지 가나?

0 개 4,294 정윤성

주택시장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될 융자관련 법안이 호주에서 만들어지고 시행될 예정이다.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이 되지 않지만 융자를 해주는 시중 은행들과 파이넌스 회사들에  지워진 모게지 연체자에 대한 책임을 대폭 경감해 줄 모양이다. 호주의 이 법안 상정과 시행이 뉴질랜드에게 중요한 이유는 향후 대부분 본사가 호주에 있는 뉴질랜드의 대형 시중은행들과 뉴질랜드 정부의 금융 시책에 바로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호주 시중 은행들의 주가가 유래없이 급등했다.  


현재 COVID -19으로 높아지는 실업률과 융자 상환 연체자의 증가로 금융 환경이 나빠지고 있고 바젤 3기준(은행의 자기 자본금 정책 ; 10/12/2019 정윤성 칼럼 참조)도 맞추어야 하는데다 이코노미스트들의 부정적인 경제 전망이 미래의 경제 지표들에 영향을 주고 있는 이 때, 돈세탁 방지법 위반에 따른 큰 벌금도 물어야 하는 호주 시중은행들은 위기 상황이었다.  그런데 그 새로운 법안의 발표로 9월 24일, 25일 하루에 주가가 ANZ 6.3%, BNZ의 모회사인 NAB가 6.9%, WESTPAC이 7.4%, ASB의 모은행인 Commonwealth가 3% 폭등하면서 호주 주식시장의 오름세를 주도했다. 


어떤 내용인가?


법안의 내용은 대출업체에게 모게지 연체 책임을 묻는 ‘Responsible Lending Law’의 규정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인데 호주 정부보조가 끝나는 내년 3월부터 시행을 계획하고 있다.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지금까지는 모게지를 원하는 고객들의 신용조사와 융자승인의 책임 모두 대출기관인 은행에게 묻던 방식에서 신용조사의 책임을 덜어 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신용조사는 독립된 기관에게 진행하고 그 등급에 따라 융자만 책임지고 해주면 되고 연체가 발생하면 은행은 담보 부동산을 처분해서 융자를 상환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법안이 발표되자 호주의 금융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은행들과 애널리스트들은 환호를 지르고 있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융자의 대상이 넓어지고 그 액수도 증가하기 때문인데 결국 더 많은 이자 수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수익은 크게 늘어 나고 책임은 대폭 완화될 것이라고 하니 주가가 폭등할 수 밖에. 


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대출기관의 융자는 융자를 받은 차입자간 연체 문제를 대출기관인 은행에게 주책임을  현행법은 묻고 있다. 이 법(Responsible Lending Law)으로 융자 진행과 승인은 더 엄격히 진행될 수 밖에 없었다. 약자인 금융 소비자를 대출기관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으로서 금융 화폐의 소유 개념을 사회 공유화한 훌륭한 취지의 법이라고 논평되기도 한 법률이다.  


뉴질랜드도 2004년에 만들어졌고 여러차례 수정을 하면서 세계 금융위기 이후 한참뒤인 5~6년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 법이 시행되면서 우리는 흔히 “융자가 어려워 졌어요!” 라는 말들이 세간에 나오기 시작했다. 고객이 내는 이자로 운영되는 은행이나 파이넌스 회사 입장에서 보면 돈을 빌려주고 연체가 발생되면 정부의 금융 조사팀으로 부터 오히려 융자진행 과정과 신용조사의 적절성 여부까지 조사를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된 셈이다.



뉴질랜드도 바뀌나?


금융위기전 뉴질랜드 시중은행들이 모게지 시장에 경쟁적으로 뛰어 들면서 데포짓을 15% 만하는, 부동산 구입가격의 무려 85% 융자를 은행 스테이트먼트 확인 정도로 승인해 주었던 시절을 회상하며 오히려 국민들의 채무를 증폭시키고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결과를 초래 할 것으로 관련 전문가들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VID-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해야만 하는 호주 정부의 입장은 ‘GO AHEAD’이다. 그렇다면 뉴질랜드와 연관성은 얼마나 있을까? 


금융과 관련해서 뉴질랜드와 호주간 직간접적으로 깊은 연관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뉴질랜드 모게지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4대 시중은행들의 모회사들이 호주은행들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호주의 금융 감독원인 ‘APRA’ 는 뉴질랜드까지 와서 뉴질랜드 빅4 은행들의 파견 감사를 하기도 하는 관계다. 뉴질랜드 빅4 은행들이 감사를  받아야 하는 곳은 두 국가에 걸친 두개의 감독원이다. 그래서 금융 종속관계라고 보는 이들도 있다.


뉴질랜드는 ‘Credit Contracts & Consumer Finance Regulations 2004’ (이하 CCCFA)라는 아주 강력한 ’Responsible Lending Law’ 가 지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법도 호주와 같이 시행한지 5년여의 시간이 지나며 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왜냐하면 뉴질랜드 정부도 COVID-19으로 약해진 자국 경제를 회복시켜야하고 건설 및 건축 관련 산업의 육성으로 대량 실업률 사태를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뉴질랜드 중앙은행과 정부의 건설경기 부양 정책중  LVR 정책, 투자용 부동산의 규제 완화, 80% 이상 융자 신청자의 확대 등이 있었지만 이번 법안이 뉴질랜드에 상정된다면 그 어떤 정책보다 임팩트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 기관의 융자승인을 가장 어렵게 했던 법을 무력화 할 수 있는 이 법안이 뉴질랜드에도 상륙하면 사상 최저 이자율, 최대 유동성 공급 그리고 거주 인구증가와 맞물려 주택 시장은 우리가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국면을 맞이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게시물은 KoreaPost님에 의해 2020-10-06 12:10:02 칼럼에서 이동 됨]
번호 제목 날짜
1031 2018년까지 그룹별 인구 증가 “아시안이 가장 많았다”
뉴질랜드| 서현| (2001년부터2018년 사이의 인종별 인구 … 더보기
조회 3,849
2020.10.03 (토) 17:34
1030 주거용 건축허가 “타운하우스와 플랫 등 크게 늘었다”
뉴질랜드| 서현| 지난 8월까지 전국에서 연간 3만7000건 이… 더보기
조회 4,251
2020.10.02 (금) 16:20
열람중 주택 경기 상승세 언제까지 가나?
정윤성의 생활 금융 정보| 정윤성| 주택시장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될 융자관… 더보기
조회 4,295
2020.10.05 (월) 12:26
1028 주거용 건축허가 “타운하우스와 플랫 등 크게 늘었다”
뉴질랜드| 서현| 지난 8월까지 전국에서 연간 3만7000건 이… 더보기
조회 2,740
2020.10.02 (금) 16:20
1027 주택 매물 부족, 오클랜드 호가 최고
뉴질랜드| KoreaPost| 한 지역만을 제외하고 전 뉴질랜드 지역의 주택… 더보기
조회 4,665
2020.10.01 (목) 09:45
1026 집값 “퀸스타운 등 일부 지역 제외하고 안정적인 모습”
뉴질랜드| 서현| 국내 집값이 일부 지역에서는 하락했지만 전반적… 더보기
조회 5,089
2020.09.01 (화) 13:58
1025 지난 7월 주택매매 “5년 만에 가장 많았다”
뉴질랜드| 서현| 지난 7월 한 달 동안에 전국에서 거래된 주택… 더보기
조회 5,460
2020.08.14 (금) 17:05
1024 부동산 시장 활기, 서서히 진정 추세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코로나 사태로 침체될 … 더보기
조회 5,135
2020.08.05 (수) 09:30
1023 주택 매물 부족, 호가 계속 오르고 있어
뉴질랜드| KoreaPost| 주택 공급이 부족하면서 매물로 나온 주택들의A… 더보기
조회 5,293
2020.08.03 (월) 09:13
1022 실업률 상승, 주택가격의 폭락으로 가나?
정윤성의 생활 금융 정보| 정윤성| COVID-19사태에 따른 경기부양을 위해 정… 더보기
조회 5,371
2020.07.31 (금) 12:09
1021 급감했던 주택 소유권 이전, 5월 이후 점차 회복
뉴질랜드| 서현| 지난 3월 말부터 시작된 록다운 기간에 크게 … 더보기
조회 2,840
2020.07.30 (목) 17:00
1020 외국인, 뉴질랜드 이주 관심도 가속화....
뉴질랜드| KoreaPost| 뉴질랜드헤럴드 30일자 뉴스에 의하면 코로나 … 더보기
조회 6,665
2020.07.30 (목) 12:05
1019 퀸즈타운 렌트비, 3개월 동안 10%하락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인기 관광지인 퀸즈타운… 더보기
조회 2,745
2020.07.28 (화) 09:37
1018 지난해보다 더 많은 부동산 구입 검색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지난 해 같은 기간에 … 더보기
조회 3,163
2020.07.24 (금) 09:09
1017 높아지는 실업률, 뜨거워 지는 부동산
정윤성의 생활 금융 정보| 정윤성| 항공사를 비롯한 여행 관련 직업군을 필두로 통… 더보기
조회 5,382
2020.07.14 (화) 13:37
1016 6개월 모기지 상환 유예, 기간 연장 고려 중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중앙 은행 Reserv… 더보기
조회 3,850
2020.07.09 (목) 12:52
1015 5월에 올랐던 주택가격 6월에는 -0.2% 하락
뉴질랜드| KoreaPost| 지난 5월 2.4%나 올랐던 주택가격이 6월에… 더보기
조회 3,370
2020.07.08 (수) 15:40
1014 주택 가격, 지난 몇 개월 동안 꾸준히 올라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주택 가격이 지난 몇 … 더보기
조회 3,578
2020.07.08 (수) 09:02
1013 전국 임대 주택 시장, 록다운 침체 이겨내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Trade Me의 A… 더보기
조회 3,782
2020.07.06 (월) 10:38
1012 해외에서 NZ 이주 희망, 계속 증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해외로부터 뉴질랜드로… 더보기
조회 4,715
2020.07.06 (월) 09:21
1011 5월 주택신축 허가 “전월 대비 64% 급증”
뉴질랜드| 서현| 지난 5월 한 달 동안의 주택 신축 허가가 전… 더보기
조회 2,837
2020.07.03 (금) 19:33
1010 주택 시장 활기, 지난해 6월보다 16.7% 리스팅 증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주택 시장이 벌써 코비… 더보기
조회 2,850
2020.07.01 (수) 12:00
1009 록다운, 재정적 영향과 부동산 가치 변동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뉴질랜드 주택시장의 … 더보기
조회 4,125
2020.06.30 (화) 12:09
1008 에어비앤비용 주택, 아직 시장에 안 나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해외 관광이 중단되면… 더보기
조회 3,250
2020.06.30 (화) 10:21
1007 국제 신용평가사, NZ 주택가 10% 하락 예상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스탠다드 앤 푸어스(S… 더보기
조회 3,879
2020.06.26 (금) 09:23
1006 중앙 은행, 지금의 금리 당분간 더 유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인 R… 더보기
조회 2,702
2020.06.25 (목) 10:20
1005 뉴질랜드 국내 총생산(GDP) 1.6% 하락 발표, 경제 위기 대처를
한인뉴스| 김수동기자| 뉴질랜드 2020년 1분기(1~3월) 국내 총… 더보기
조회 4,805
2020.06.18 (목) 18:36
1004 해외 투자 사무소, 임시 기준 완화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해외 투자 승인 사무… 더보기
조회 2,587
2020.06.18 (목) 09:47
1003 OIO 승인없이 주택 구입한 해외투자자, 54만 달러 벌금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한 해외 투자자는 해… 더보기
조회 4,933
2020.06.11 (목) 12:31
1002 주택 가격, 9% 하락 예상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중앙은행의 부총재는 주… 더보기
조회 6,365
2020.06.09 (화) 08:41
1001 해외 거주 키위, NZ 주택 구매 의사 증가
뉴질랜드| 노영례|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키위는 빠른 시일 내에 … 더보기
조회 3,916
2020.06.07 (일) 12:31
1000 오클랜드 부동산 중개 업체, 주택 시장 낙관적인 전망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한 오클랜드 부동산 중… 더보기
조회 4,965
2020.06.04 (목) 21:50
999 상업용 건물주와 세입자 구제 방안 제시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노동당과 제일당 사이의… 더보기
조회 4,622
2020.06.04 (목) 09:27
998 웨스트팩 은행, 주택 난방에 최대 만 달러 무이자 대출
뉴질랜드| 노영례| TVNZ의 보도에 따르면, 웨스트팩 은행은 주… 더보기
조회 4,176
2020.06.03 (수) 18:23
997 4월 주택건축허가 예상대로 크게 감소, 지역별로는 각각 다른 모습
뉴질랜드| 서현| 지난 4월의 주택건축허가가 ‘코로나 19’로 … 더보기
조회 3,430
2020.06.02 (화) 14:10
996 ANZ 은행, 1년 고정 대출 이자율 2.79%로 내려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ANZ 은행은 1년 고… 더보기
조회 5,488
2020.05.21 (목) 12:19
995 COVID-19 여파에도 불구, 주택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전망
뉴질랜드| 노영례| 부동산 평론가 애슐리 처치는 뉴질랜드의 부동산… 더보기
조회 6,720
2020.05.09 (토) 12:21
994 여전히 주택 가격 오름세, 팬데믹 충격 아직 반영 없어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4월말까지 지난 12개… 더보기
조회 6,202
2020.05.06 (수) 09:42
993 3월분기 외국인 주택거래 “매도가 매수보다 2배 이상 많아”
뉴질랜드| 서현| 뉴질랜드 시민이나 영주권자가 아닌 외국인들의 … 더보기
조회 6,503
2020.05.04 (월) 23:55
992 부동산 구입 대출 제한 해제, 은행 대출 완화 기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오늘부터 중앙은행인 리… 더보기
조회 8,427
2020.05.01 (금) 10:47
991 록다운이 끝난 후 주택시장은?
JJW|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모든 부문에 … 더보기
조회 12,044
2020.04.20 (월) 10:52
990 2020 년 1 분기-뉴질랜드 부동산 시장 및 경제 업데이트
뉴질랜드| KoreaPost| 2020 년의 첫 두 달 동안 부동산 시장은 … 더보기
조회 5,857
2020.04.23 (목) 17:51
989 지난 3월, 주택 가격 전년 대비 14.2%상승
뉴질랜드| 노영례| 지난 3월에는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이 전년 대… 더보기
조회 4,896
2020.04.15 (수) 12:19
988 지난해 뉴질랜드 집값 상승률 56개국 중에서 4위
뉴질랜드| KoreaPost| 지난해 뉴질랜드의 집값 상승률이 12.1% 상… 더보기
조회 6,478
2020.04.12 (일) 13:28
987 여전히 활기 띠는 국내 건축 경기
뉴질랜드| 서현| 작년 마지막 분기에 '비주거용 건축 물량(no… 더보기
조회 5,374
2020.03.12 (목) 20:07
986 임대 주택 주인과 부동산업자, 임대주택 개정안 반대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2만 여 임대 주택 주… 더보기
조회 6,774
2020.02.17 (월) 10:48
985 주택 모기지 전쟁, 키위뱅크- 첫주택 구매자 무료 피지 휴가 제공
뉴질랜드| 노영례| 키위 뱅크는 새로운 주택 소유자가 주택 담보 … 더보기
조회 8,722
2020.01.22 (수) 14:33
984 8개 주요 도시, 주택 구매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뉴질랜드| KoreaPost| (KCR방송=뉴질랜드) 데모그라피아 인터내셔날… 더보기
조회 6,378
2020.01.21 (화) 09:38
983 1970년대 이후, 새로운 주택 가장 많은 허가
뉴질랜드| 노영례| 지난해 뉴질랜드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가장… 더보기
조회 3,875
2020.01.15 (수) 00:25
982 공공 주택 대기자, 14,500 가구에 이르러
뉴질랜드| 노영례| 공공 주택 대기자 명단이 거의 14,500 가… 더보기
조회 4,090
2020.01.13 (월) 2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