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하는 키위빌드 정책

표류하는 키위빌드 정책

0 개 7,440 JJW

노동당 정부가 7개월의 숙고 끝에 지난달 재조정한 ‘키위빌드(KiwiBuild)’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0년 동안 10만채의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장밋빛 공약은 결국 백지화됐다. 

그 대신에 여러 다른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재 주택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고 일부 대책은 실효성이 떨어져 재조정한 

키위빌드 정책이 또 한 번의 실패로 끝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f4d94de9c768a2c7990be41ae49a1e0_1570594710_981.jpg

10만채 주택 건설 목표는 “실수”

 

오는 2028년까지 10만채의 주택건설을 목표로 두었던 키위빌드는 2017년 총선에서 대학 무상 교육 실시와 함께 노동당의 대표적인 정책으로 집권의 발판을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키위빌드 사업에 20억달러를 배정하면서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간 노동당 정부는 당초 올 6월까지 1,000채의 주택건설을 목표로 세웠다.

 

하지만 키위빌드 사업이 진행될수록 저소득층에겐 너무 높은 소득 상한 자격, 주택 규모에 비해 높은 분양가, 건설업계의 인력 부족과 건축비용 상승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면서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올 초에 1,000채의 올해 주택 건설 목표치를 폐기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는 “10년 안에 10만채의 주택 공급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키위빌드를 통한 주택건설은 지난달까지 300채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부진했고 주무 장관이었던 필 트와이포드(Phil Twyford) 주택장관이 지난 6월 경질됐다.

 

구원투수로 등장한 메간 우즈(Megan Woods) 신임 주택장관은 지난달 4일 있었던 키위빌드 리셋 회견에서 “10만채의 주택건설 목표는 실수였다”며 목표치를 아예 없앴다. 

 

우즈 장관은 그 대신에 가능한 많이, 가능한 빨리 주택을 건설하겠다는 상투적인 말을 남겼다.

 

그는 “키위빌드 목표치 때문에 정부는 주택수요가 적거나 없는 지역에 주택을 건설해야 했다”며 “팔리지 않은 키위빌드 주택은 시장에 다시 내놓을 것” 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이 여전히 정부의 주택 목표를 달성하도록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재조정된 키위빌드

 

이번에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은 4,000가구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한 새로운 ‘진보 주택 프로그램’에 4억달러를 재배정했다.

 

웰컴 홈 론(Welcome Home Loan)을 퍼스트 홈 론(First Home Lone)으로 명칭을 바꾸고 연간 개인소득 8만5,000달러 미만, 또는 가구소득 13만달러 미만인 경우 오클랜드에서 65만달러 미만의 주택을 구입할 때 최소 예치금 비율이 10%에서 5%로 완화됐다.

 

2f4d94de9c768a2c7990be41ae49a1e0_1570594991_6886.jpg
 

또 2명 이상이 각자 1만달러의 퍼스트 홈 교부금(First Home Grants)과 키위세이버(KiwiSaver)를 받아 공동으로 첫 집을 구입하는 방법도 허용된다.

 

스튜디오나 원 베드룸 키위빌드 주택을 구입한 사람은 판매 제한이 기존 3년에서 1년으로 완화된다.

 

베드룸 4개 이상 키위빌드 주택의 경우 기존에는 모두 가격상한제가 적용됐으나 최대 10%에 한해 가격상한이 적용된다. 

 

이전에 주택을 소유한 적이 있었던 사람이 키위빌드 주택을 구입하고자 할 때 적용됐던 자산 제한이 폐지된다. 

 

이전에는 퍼스트 홈 교부금 가격 상한의 20% 이상 자산을 가진 사람은 키위빌드 주택 구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시행 가능성 높은 ‘렌트 후 구입 제도’

 

4억달러가 재배정된 ‘진보 주택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렌트 후 구입 제도’와 ‘공동 지분 제도’가 널리 거론되고 있다. 

 

두 제도는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하우징 파운데이션 뉴질랜드(Housing Foundation NZ) 등 일부 기관에서 이미 실시하고 있다.

 

‘렌트 후 구입 제도’는 정부나 자선 기관 등이 소유한 주택에 세입자가 시세보다 저렴한 렌트비를 내도록 하거나 렌트비 일부를 적립해 예치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약정 기간 이후 주택을 구입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 제도는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녹색당이 특히 지지하는 정책이다.

 

녹색당 마라마 데이비슨(Marama Davidson) 공동대표는 “내 집 마련의 희망을 포기한 뉴질랜드인들에게 문을 열어 줄 것”이라며 ‘렌트 후 구입 제도’가 자신의 정치 이력 가운데 최고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공동 지분 제도’는 주택의 소유권 일부를 사는 것으로 보통 25-75%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나머지 소유권은 공공기관이 소유하여 집을 매각할 때 발생한 양도 차액을 나누어 갖게 된다.

 

주택문제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 미흡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은 생애 첫 집 마련을 돕는다는 점에서 일부의 환영을 받았다.

 

뉴질랜드부동산협회(REINZ) 빈디 노웰(Bindi Norwell) 회장은 “‘진보 주택 프로그램’은 많은 생애 첫 집 구매자들에게 장애물이었던 종잣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말했다.

 

야당인 국민당의 주디스 콜린스(Judith Collins) 주택담당 대변인은 정부가 몇 년 동안 10만채 저렴한 주택 공급이라고 장밋빛 약속을 해놓고 이제 와서 발을 빼어 국민을 기만했다고 비난했다.

 

콜린스 대변인은 “목표치를 없앴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누워서 떡 먹기”라며 “내집 마련을 꿈꾸는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에 실망할 것” 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새로운 주택장관으로부터 나온 것은 더욱 열심히 하겠다는 말뿐 주택 공급을 진척시키려는 새로운 방안이 없다”며 “키위빌드가 되어야지 키위호프(KiwiHope)가 되어선 안 될 것” 이라고 지적했다. 

 

첫 집 구매자의 최소 예치금 비율이 5%로 낮아졌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홈스(Homes) 부동산 웹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오클랜드 주택 판매 가운데 이 조건에 맞은 65만달러 미만의 비율은 2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분석회사 인포메트릭스(Informetrics)의 가레스 키어난(Gareth Kiernan)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6월 기준 1년간 웰컴 홈 론을 이용해 주택을 구입한 사람은 1,300명 정도에 불과한 사실을 감안하면 새로운 키위빌드 정책이 제시한 최소 예치금 5%의 퍼스트 홈 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첫 집 구매자 수는 제한적일 것” 이라고 전망했다.

 

시중은행들은 통상 예치금 비율이 5%로 낮은 고객에게 특별금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금리상 혜택을 받지 못한다.

 

키어난 이코노미스트는 또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은 정부가 여전히 키위빌드가 왜 크게 잘못됐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며 “주택 구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택지 공급과 인프라 개선이 우선돼야 할 것” 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재조정된 키위빌드 정책이 주택공급 부족, 높은 건축자재 비용, 건설인력 부족, 비싼 땅값 등 현재 뉴질랜드 주택시장이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코로나를 뚫은 황소 장세

댓글 0 | 조회 4,497 | 2020.09.23
코로나19 여파도, 증권거래소 사이버 공격도 황소 장세를 꺾지는 못했다. 모든 장애물을 넘어 뉴질랜드 주가지수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주가는 역대 … 더보기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경제 위기

댓글 0 | 조회 5,465 | 2020.09.22
전 세계 국가들이 ‘코로나 19’ 사태로 모든 분야에서 근세 들어 단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던 상황들에 직면하면서 경제 역시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수렁에 빠… 더보기

지금부터 유학생 맞을 준비해야

댓글 0 | 조회 9,630 | 2020.09.09
올해 예기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유학업계에 큰 피해를 주었다. 문제는 올해를 포기한 유학업계가 내년에 유학생… 더보기

NZ 아시안들, 어떻게 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10,177 | 2020.09.08
2020년 6월말 현재 뉴질랜드 인구는 502만5000명으로 추정돼 2003년 인구 400만명을 넘긴 후 17년 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 중 아시안은 70… 더보기

‘코로나 시대’ NZ로 이민 관심 급증

댓글 0 | 조회 11,027 | 2020.08.26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적은 나라들이 인기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 더보기

지금 당신은 행복합니까?

댓글 0 | 조회 3,879 | 2020.08.25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국내에서도 실업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양질의 일자리들도 대거 사라지는 등 국민들의 안정된 삶이 크게 위… 더보기

임금 보조금은 눈 먼 돈?

댓글 0 | 조회 10,255 | 2020.08.12
정부가 임금 보조금(Wage Subsidy) 명목으로 최근까지 지출한 금액이 13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 더보기

록다운 중 실업률이 낮아졌다?

댓글 0 | 조회 5,657 | 2020.08.11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지난 8월 5일(수)에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한 국내 고용시장 동향과 관련된 지표들을 공개했다.현재 전 세계적… 더보기

CO2는 오클랜드, 메탄은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4,175 | 2020.07.29
7월 하순에 통계국은,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배출된 ‘온실가스(greenhouse gas)’ 규모를 각 지역과 온실가스의 종… 더보기

국경 통제로 오도 가도 못하는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8,015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해외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니면 공식적으로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높은 … 더보기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던진 충격파

댓글 0 | 조회 6,897 | 2020.07.15
지난 7월 9일(목)에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한 곳인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Tiwai Point aluminium smelter)’가 문을 닫는다고 … 더보기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6,038 | 2020.07.14
주식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제 침체에 아랑곳없이 최근 역대 최고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급격히 늘어난 개미투자자들… 더보기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253 | 2020.06.24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 더보기

한 해 성적표 받아든 NZ대학들

댓글 0 | 조회 6,995 | 2020.06.23
매년 6월이면 뉴질랜드의 각 대학들 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언론을 통해 전해질 ‘성적표’ 들을 초조하게 기다린다.대학들이 받아들 성적… 더보기

3% 밑으로 떨어진 모기지 금리

댓글 0 | 조회 8,046 | 2020.06.10
모기지 금리가 불가피하게 오를 것이라는 시장 관계자 대부분의 예측을 뒤엎고 시중은행들이 최근 모기지 금리를 경쟁적으로 인하하면서 1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 더보기

양치기 견공들 “일자리 잃을까?”

댓글 0 | 조회 4,643 | 2020.06.09
최근 국내외 언론들에는 뉴질랜드의 한 목장에서 양치기 역할을 하는 로봇개에 대한 기사와 사진들이 일제히 실렸다.‘스팟(Spot)’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로봇… 더보기

다시 고개 드는 인종차별

댓글 0 | 조회 10,136 | 2020.05.2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인종차별 행위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가 크게 늘어 경제 침체와 실업 증가… 더보기

바이러스가 앞당긴 인구 500만명 시대

댓글 0 | 조회 6,724 | 2020.05.26
▲ 크라이스트처치의 2019년 산타퍼레이드 모습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가 역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섰다.기념비적인 ‘인구 500만명 시대 진입’은 공… 더보기

코로나가 바꿔놓은 비즈니스 지형

댓글 0 | 조회 8,956 | 2020.05.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불황이 불가피하고 빠른 경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경제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오고 있다. 뉴질랜드 경제는 세계 경제… 더보기

2019년 “결혼 크게 줄고 이혼은 늘어”

댓글 0 | 조회 7,233 | 2020.05.12
작년 한 해 동안 뉴질랜드인들이 공식적으로 ‘혼인’을 했다고 관계 당국에 등록한 숫자가 지난 1960년 이래 50여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그에 반해… 더보기

록다운이 끝난 후 주택시장은?

댓글 0 | 조회 15,285 | 2020.04.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모든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록다운(Lockd… 더보기

바이러스에 무너진 일상

댓글 0 | 조회 13,850 | 2020.04.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뉴질랜드는 지금 사상 초유의 ‘록다운(Lockdown)’ 4주 기간을 보내고 있다.슈퍼마켓, 주유소, 약국, 병원 … 더보기

CBD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7,930 | 2020.03.25
오클랜드 CBD에 유례없이 공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대혼란을 빚고 있다. 수십 건의 도로공사와 건설공사 등이 한꺼번에 벌어지면서 운전자들은 교통정체에 … 더보기

인간과 전염병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댓글 0 | 조회 7,582 | 2020.03.24
​‘코로나 19’바이러스로 뉴질랜드는 물론 지구촌 전체가 그야말로초대형 재난을 맞아 시련을 겪고 있다.인터넷을 비롯한 언론에는 ‘코로나 19’와 관련된 정보와 뉴… 더보기

가뭄으로 신음하는 아오테아로아

댓글 0 | 조회 4,754 | 2020.03.11
▲ 농민 단체의 페이스북에 올려진 북부 캔터베리의 한 목장​작년부터 북섬 북부와 중부를 중심으로 남북섬의 여러 지방들이 극심한 가뭄 현상을보이면서 뉴질랜드 전국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