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부는 이민 바람

다시 부는 이민 바람

0 개 13,790 JJW

한동안 감소했던 순이민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민정책을 강화하여 이민자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했던 노동당 연립정부에서 순이민자 반등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사상 최고 수준에 다시 근접하고 있는 이민 동향에 대해 알아 본다.


fa41d8da5a9077c7b9e5cd855c78cb38_1563860303_152.jpg

순이민자 지난 1년간 11% 증가

 

통계청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지난 1년 동안 뉴질랜드에 입국한 이민자 수는 15만974명이고, 출국한 이주자는 9만5,141명이며 순이민자 수는 5만5,834명으로 나타났다.

 

연간 입국 이민자 수는 2018년 4월의 14만1,392명에서 6.8% 늘었고 연간 출국 이민자는 같은 기간 9만1,230명에서 4.3% 늘어나면서 순이민자는 5만163명에서 11.3%나 증가한 셈이다. 

 

이를 두고 ASB의 마이크 존스(Mike Jones) 이코노미스트는 통계청의 이민 자료가 계속 수정되지만 2018년 중반 이후 제2의 이민 바람이 불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4월만 보더라도 입국한 이민자가 9,303명으로 월간 기준으로 이민자들이 몰렸던 2016년 4월의 9,671명에 이어 최근 10년 동안 가장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입국한 이민자를 국적별로 보면 역이민으로 보이는 뉴질랜드가 3만5,923명으로 단연 많은 가운데 중국이 1만8,453명으로 외국중 가장 많았고 인도(1만3,839명), 호주(8,624명), 남아프리카공화국(8,187명), 필리핀(7,850명) 순이었다.

 

연간 출국 이민자도 뉴질랜드가 4만6,091명으로 주류를 이룬 가운데 중국이 8,153명을 기록했고 영국(6,042명), 인도(4,731명), 호주(4,241명) 등이 뒤를 이었다.

 

4월 한달 동안 입국한 한국인 이민자는 2017년 187명에서 2018년 181명, 2019년 140명으로 하향 추세를 보였다.

 

출국한 한국인 이민자는 2017년 129명, 2018년 119명, 2019년 125명으로 큰 변동이 없었다.

 

연간 기준으로 입국한 한국인 이민자는 4월말 기준 2017년 3,110명에서 2018년 2,867명으로 크게 감소한 이후 2019년 2,853명을 기록했다.

 

또 연간 출국한 한국인 이민자 수는 2017년 1,658명에서 2018년 2,108명으로 크게 증가한 이후 2019년 1,896명으로 감소했다.

 

연간 순이민자 2014년말 이후 높은 수준 유지

 

통계청은 연간 순이민자가 2014년 12월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의 테신 이슬람(Tehseen Islam) 인구지표부장은 “연간 순이민자는 2014년말 이후 4만8,000명에서 6만4,000명 사이를 기록하고 있다”며 “이전에 연간 순이민자가 이런 수준에 있었던 유일한 시기는 2000년대 초 짧은 기간뿐이었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작년 9월 이민 측정 방법을 변경했다.

 

즉 기존에 공항에서 이주자들이 제출했던 입출국 신고서를 기준으로 조사했던 방식에서 입국과 출국을 전산으로 기록한‘결과’기준 방법으로 변경한 것이다.

 

새로운 이민 측정 방법에 따르면 이민자 수는 16개월이 지날 때까지 매달 수정된다.

 

지난 4월의 이민 자료도 최종 수치가 아니라 추정치이고 16개월이 지난 내년 8월에 최종 자료가 나오게 된다.

 

이 같은 측정 방법 변경에 따라 가장 높은 순이민자를 기록했던 시기는 기존 2017년 중반의 7만2,000명에서 2016년 중반의 6만4,000명으로 수정됐다.

 

통계청은 새로운 방법이 처음에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실제 결과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게 측정한다고 설명했다.

 

정부 "순이민 목표치 없어"

 

최근의 순이민자 증가는 중앙은행 등이 예상했던 이민자 감소 전망과 반대되는 현상이다.

 

지난 2017년 총선에서 정권을 잡기 전 노동당은 순이민자를 연간 2만-3만명으로 줄이고 뉴질랜드제일(New Zealand First)당은 1만명 내외로 대폭 줄일 것을 공약했다.

 

이들 두 정당과 녹색당이 연립으로 정부를 구성한지 20개월이 지난 현재 이민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는 정권을 잡은 후 노동당의 이민정책은 변하지 않았지만 연간 2만-3만명의 순이민자는 목표가 아니었다며 한발 물러섰다.

 

연립정부는 지난해 11월 기존 고용주 지원 워크비자를 폐지하고 졸업한 과정에 따라 유효기간이 1, 2, 3년짜리로 나뉘어지는 유학 후 워크비자만 신청할 수 있도록 해서 사실상 유학생들의 졸업 후 비자를 강화했다.

 

건설 부문의 인력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계절적 인정 고용주 한도를 1만2,850명으로 1,750명 늘렸다.

 

정부는 또한 난민 쿼터를 연간 1,000명에서 2020년 7월부터 1,5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처럼 노동당 연립정부는 한 쪽에서는 이민을 강화하고 다른 쪽에서는 이민자 한도를 늘리는 양면의 이민정책을 실시했다.

 

정부는 현재 취업비자에 대한 정책 변경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보다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이번 취업비자 변경은 지금까지 이민자가 주도하여 신청하던 취업비자 체계를 고용주에게로 전환하고 이민 시스템을 간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아인 리스-갤로웨이(Iain Lees-Galloway) 이민장관은 “정부는 순이민자 수에 대한 목표치가 없다”며 “단지 이민 시스템이 더욱 생산적인 경제를 지원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리스-갤로웨이 장관은 현 정부와 이전 국민당 정부의 이민정책 차이는 이민자의 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질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민 시스템의 변화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높은 순이민 수준은 아직 이전 정부의 이민정책 결과를 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웨스트팩의 새티시 랜치호드(Satish Ranchhod) 이코노미스트는 정부가 실용적인 이민정책을 세우고 있지만 전체 이민자 수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앙은행을 비롯한 정부기관의 정책들과 인구 전망은 순이민이 마이너스 영역으로 감소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예상보다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전례 없는 이민 사이클

 

매시 대학 폴 스푼리(Paul Spoonley) 교수는 현재의 이민 사이클은 전례가 없는 영구 및 임시 이민자 유입을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이전 이민 사이클에서는 약 3만5,000명의 순이민을 보였지만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순이민은 약 27만명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현 연립정부는 이민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의 뉴질랜드제일당이 포함돼 있지만 산업계로부터 심각한 인력부족에 대한 대책 마련 압력을 받고 있어 급격한 이민 감소를 가져오는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고용주 및 제조업체 협회(EMA)’의 알란 맥도날드(Alan McDonald) 부장은 “연립정부는 고용주들의 인력부족 호소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인력부족 문제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푼리 교수는 “아시안 이민이 뉴질랜드에 유익하다고 동의하는 비율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고 유럽에 비해 2-3배 높다”고 말했다. 

 

스푼리 교수는 그러나 순이민 증가는 앞으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를 뚫은 황소 장세

댓글 0 | 조회 4,498 | 2020.09.23
코로나19 여파도, 증권거래소 사이버 공격도 황소 장세를 꺾지는 못했다. 모든 장애물을 넘어 뉴질랜드 주가지수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주가는 역대 … 더보기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경제 위기

댓글 0 | 조회 5,465 | 2020.09.22
전 세계 국가들이 ‘코로나 19’ 사태로 모든 분야에서 근세 들어 단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던 상황들에 직면하면서 경제 역시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수렁에 빠… 더보기

지금부터 유학생 맞을 준비해야

댓글 0 | 조회 9,630 | 2020.09.09
올해 예기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유학업계에 큰 피해를 주었다. 문제는 올해를 포기한 유학업계가 내년에 유학생… 더보기

NZ 아시안들, 어떻게 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10,181 | 2020.09.08
2020년 6월말 현재 뉴질랜드 인구는 502만5000명으로 추정돼 2003년 인구 400만명을 넘긴 후 17년 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 중 아시안은 70… 더보기

‘코로나 시대’ NZ로 이민 관심 급증

댓글 0 | 조회 11,029 | 2020.08.26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적은 나라들이 인기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 더보기

지금 당신은 행복합니까?

댓글 0 | 조회 3,882 | 2020.08.25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국내에서도 실업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양질의 일자리들도 대거 사라지는 등 국민들의 안정된 삶이 크게 위… 더보기

임금 보조금은 눈 먼 돈?

댓글 0 | 조회 10,256 | 2020.08.12
정부가 임금 보조금(Wage Subsidy) 명목으로 최근까지 지출한 금액이 13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 더보기

록다운 중 실업률이 낮아졌다?

댓글 0 | 조회 5,659 | 2020.08.11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지난 8월 5일(수)에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한 국내 고용시장 동향과 관련된 지표들을 공개했다.현재 전 세계적… 더보기

CO2는 오클랜드, 메탄은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4,175 | 2020.07.29
7월 하순에 통계국은,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배출된 ‘온실가스(greenhouse gas)’ 규모를 각 지역과 온실가스의 종… 더보기

국경 통제로 오도 가도 못하는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8,015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해외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니면 공식적으로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높은 … 더보기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던진 충격파

댓글 0 | 조회 6,903 | 2020.07.15
지난 7월 9일(목)에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한 곳인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Tiwai Point aluminium smelter)’가 문을 닫는다고 … 더보기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6,039 | 2020.07.14
주식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제 침체에 아랑곳없이 최근 역대 최고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급격히 늘어난 개미투자자들… 더보기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253 | 2020.06.24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 더보기

한 해 성적표 받아든 NZ대학들

댓글 0 | 조회 6,996 | 2020.06.23
매년 6월이면 뉴질랜드의 각 대학들 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언론을 통해 전해질 ‘성적표’ 들을 초조하게 기다린다.대학들이 받아들 성적… 더보기

3% 밑으로 떨어진 모기지 금리

댓글 0 | 조회 8,046 | 2020.06.10
모기지 금리가 불가피하게 오를 것이라는 시장 관계자 대부분의 예측을 뒤엎고 시중은행들이 최근 모기지 금리를 경쟁적으로 인하하면서 1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 더보기

양치기 견공들 “일자리 잃을까?”

댓글 0 | 조회 4,645 | 2020.06.09
최근 국내외 언론들에는 뉴질랜드의 한 목장에서 양치기 역할을 하는 로봇개에 대한 기사와 사진들이 일제히 실렸다.‘스팟(Spot)’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로봇… 더보기

다시 고개 드는 인종차별

댓글 0 | 조회 10,137 | 2020.05.2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인종차별 행위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가 크게 늘어 경제 침체와 실업 증가… 더보기

바이러스가 앞당긴 인구 500만명 시대

댓글 0 | 조회 6,724 | 2020.05.26
▲ 크라이스트처치의 2019년 산타퍼레이드 모습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가 역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섰다.기념비적인 ‘인구 500만명 시대 진입’은 공… 더보기

코로나가 바꿔놓은 비즈니스 지형

댓글 0 | 조회 8,957 | 2020.05.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불황이 불가피하고 빠른 경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경제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오고 있다. 뉴질랜드 경제는 세계 경제… 더보기

2019년 “결혼 크게 줄고 이혼은 늘어”

댓글 0 | 조회 7,237 | 2020.05.12
작년 한 해 동안 뉴질랜드인들이 공식적으로 ‘혼인’을 했다고 관계 당국에 등록한 숫자가 지난 1960년 이래 50여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그에 반해… 더보기

록다운이 끝난 후 주택시장은?

댓글 0 | 조회 15,286 | 2020.04.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모든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록다운(Lockd… 더보기

바이러스에 무너진 일상

댓글 0 | 조회 13,850 | 2020.04.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뉴질랜드는 지금 사상 초유의 ‘록다운(Lockdown)’ 4주 기간을 보내고 있다.슈퍼마켓, 주유소, 약국, 병원 … 더보기

CBD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7,930 | 2020.03.25
오클랜드 CBD에 유례없이 공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대혼란을 빚고 있다. 수십 건의 도로공사와 건설공사 등이 한꺼번에 벌어지면서 운전자들은 교통정체에 … 더보기

인간과 전염병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댓글 0 | 조회 7,583 | 2020.03.24
​‘코로나 19’바이러스로 뉴질랜드는 물론 지구촌 전체가 그야말로초대형 재난을 맞아 시련을 겪고 있다.인터넷을 비롯한 언론에는 ‘코로나 19’와 관련된 정보와 뉴… 더보기

가뭄으로 신음하는 아오테아로아

댓글 0 | 조회 4,755 | 2020.03.11
▲ 농민 단체의 페이스북에 올려진 북부 캔터베리의 한 목장​작년부터 북섬 북부와 중부를 중심으로 남북섬의 여러 지방들이 극심한 가뭄 현상을보이면서 뉴질랜드 전국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