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실태, 하수구를 보면 알 수 있다

마약 실태, 하수구를 보면 알 수 있다

0 개 5,613 서현


 

지난 5월에 영국의 언론들은, 런던 인근의 시골 하천들에 서식하는 ‘민물새우(freshwater shrimp)’에서 마약 성분이 발견됐다고 일제히 보도한 바 있다.    

 

이 소식은 ‘마약에 취한 새우’ 등 각 언론 매체별로 자극적인 제목이 달린 채 뉴질랜드를 포함한 해외 언론들을 통해 전 세계에도 실시간으로 전해졌다.

 

이는 우리 주변에 마약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있는가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였는데, 그런데 곧 이어 뉴질랜드 하수구들 역시 이와 별반 다를 바 없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새우 몸에까지 침투한 마약> 

 

5월 2일 영국의 ‘비즈니스 인사이더(BI)’ 보도에 따르면, 이번 소식은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과 ‘서퍽대학(University of Suffolk)’의 과학자들이 과학저널 ‘Environment International(EI)’에 그동안의 연구 보고서를 게재하면서 전해졌다. 

 

과학자들은 런던 북동쪽 시골 지역의 5개 하천에 분포한 민물새우의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 56가지 오염물질을 발견했으며, 그중 가장 많이 검출된 성분이 강력한 마약류인 ‘코카인(cocaine)’과 ‘케타민(ketamine)’ 등이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lidocaine)’과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pesticides)’인 ‘페누론(fenuron)’ 등도 나왔는데, 연구진은 마약을 섭취한 인간의 배설물이 강과 담수로 유입되면서 새우의 몸에도 같은 성분이 들어간 것으로 추정했다. 

 

이보다 앞서 올해 초에도 영국에서는 코카인 성분이 런던 내 각 지역의 하수시설을 통해 템즈(Thames)강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또 다른 연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이 결과 런던이 유럽 내 어떤 지역보다 하천의 코카인 농도가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는데, 이런 주장은 이미 몇년 전부터 언론에 여러 차례 오르내렸었다. 

 

또한 현재 템즈강에서 멸종 위기에 있는 뱀장어들이 코카인 성분이 뇌와 근육, 아가미 등에 쌓이면서 마약 중독 현상 중 하나인 ‘활동항진(hyperactivity)’ 상태를 보인다는 주장도 제기된 바 있다. 

 

 

<'코카인의 수도' 라는 악명 얻은 '런던'> 

 

지난 2014년 5월 스페인의 일간지 ‘엘문도(El Mundo)’의 보도에 따르면, 당시 런던은 포르투갈의 리스본(Lisbon)에 본부를 둔 ‘유럽 약물 및 약물중독 감시센터(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EMCDDA)’의 조사에서 코카인 성분의 마약이 인구에 대비해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곳으로 꼽혔다. 

 

반면 체코의 프라하(Prague)와 네덜란드의 아인트호벤(Eindhoven), 암스테르담(Amsterdam)은 각각 소위 ‘필로폰(philopon)’으로 불리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과 ‘엑스터시(ecstasy)’ 그리고 대마초의 최대 복용지로 나타난 바 있다. 

 

당시 유럽 약물 및 약물중독 감시센터는 불법약물 사용 현황을 파악하려고 신뢰도가 낮은 설문조사 방식 대신에 각 대도시의 하수구를 조사 대상으로 삼았었다. 

 

그 결과 런던에서는 인구 1000명당 하루에 배출된 하수에서 711mg에 달하는 코카인이 검출됐다. 

 

런던은 각각 679mg과 650mg이 나온 스위스 취리히(Zurich)와 벨기에의 항구 도시인 앤트워프(Antwerpen)를 2,3등으로 제치고 수위에 오르면서 유럽 내 ‘코카인의 수도’ 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당시 한 영국 잡지의 편집장은 일간지 인터뷰를 통해 ‘1960년대에 마약은 반문화의 일부 도구로 사용됐지만 현재는 이른바 사회 지도층이나 부유층들이 법망을 벗어날 수 있는 지위를 뽐내는 수단’ 으로 변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는 당시 센터 측에서 런던의 각 지역별 코카인 검출량을 구체적으로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그러나 여러 차례 현지 언론들을 통해 첨단기술과 금융 중심지 인접 지역에서 가장 문제가 심각했다는 보도를 보면 그 실상을 엿볼 수 있다.

 

 

<오클랜드에서 가장 많이 쓰인 마약은 '필로폰'> 

 

한편 이처럼 하수를 이용한 마약 사용 실태 조사는 영국 뿐만 아니라 이후 북미와 아시아 등지에서도 잇달아 진행됐다. 

 

뉴질랜드에서도 지난 2014년 5월부터 7월 사이에 오클랜드 주민 130여만명이 배출하는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종말처리장(wastewater treatment plants)’ 2곳에서 샘플을 채취해 조사를 한 바 있다.  

 

2017년 3월에 구체적인 결과가 ‘Drug and Alcohol Review’를 통해 발표됐는데, 조사 결과 오클랜드에서는 메스암페타민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약인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17개 잔류 성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메스암페타민을 포함해 ‘코데인(codeine)’, ‘모르핀(morphine)’, ‘메타돈(methadone)’ 등이 검출됐으며 코카인과 ‘엑스타시’의 주성분인 MDMA는 이에 비해 상대적을 적게 검출됐다. 

 

특히 한국에서는 흔히 ‘히로뽕’ 또는 ‘필로폰’ 이라고도 불리는 메스암페타민은 오클랜드의 하수에서 상당량이 매일 검출되었던 반면 엑스타시 성분은 주말에 주로 나타났다. 

 

또한 검출된 양을 미루어 짐작해보면 이 지역에서는 매일 1000명당 평균 메스암페타민은 360mg, 그리고 MDMA는 60mg이 소비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를 감안하면 오클랜드에서는 특정 요일에 관계 없이 평균 매일 약 0.5kg 정도의 메스암페타민이나 암페타민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 중에는 트럭 운전기사나 건설현장 인부, 접객업소 종사자 등 장시간 일을 하거나 에너지가 필요한 이들이 이를 각성제 용도로 오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당시 조사에서는 예산상 어려움으로 인해 ‘마리화나(marijuana, 대마초)’에 대한 조사는 따로 이뤄지지 못했다. 

 

26cf88f43fba4e479a59ea09be3e9827_1560309148_0947.jpg
▲ 오클랜드의 망게레 하수종말처리장 


<유럽 능가하는 마약 사용 규모> 

 

한편 작년 7월에는 상기와 같은 조사를 대상 지역을 좀더 넓혀 실시한 결과가 발표됐다.   

 

당시 조사는 매시(Massey)대학과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대학 연구진들이 양국에 위치한 각 도시들의 하수종말처리장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에 따르면 호주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뉴질랜드에서 검출된 양이 적기는 했지만 특히 메스암페타민의 경우에는 양국 도시들 모두 오히려 유럽 국가들이나 미국의 어느 도시들보다도 사용량이 훨씬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메스암페타민 계통의 마약이 다른 마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값이 싸고 또 구하기가 쉽다는 점이 그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또한 당시 조사에서는 호주 내 8곳의 하수처리장에서 매일 코카인과 MDMA 성분이 검출됐던 반면 오클랜드 처리장들에서는 이 성분들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나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주로 사용하는 마약 달라> 

 

한편 금년 5월에는 뉴질랜드 경찰 당국도 이와 연관된 내용을 언론에 공표했는데, 이를 보면 국내 각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마약들이 조금씩 다른 것으로 나타나 흥미를 끈다. 

 

경찰이 이번에 발표한 자료는 ‘전국 하수 시험 계획(National Wastewater Testing Programme)’에 따라 지난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실시된 조사의 결과이다.  

 

당초에는 3곳의 하수종말처리장만 대상으로 했지만 추가 예산이 투입되면서 뉴질랜드 전체 인구의 80%가 사용한 하수를 처리하는 전국의 37개 처리장이 조사 대상이 됐다. 

 

이곳에서는 메스암페타민과 코카인, 헤로인(heroin), 엑스터시의 주성분인 MDMA, 그리고 펜타닐(fentanyl) 등 5개 성분이 조사됐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매주 16kg의 메스암페타민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되면서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마약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특히 메스암페타민은 인구에 대비해 노스랜드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메스암페타민은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주당 2000만달러, 연간으로는 10억달러에 상당하는 막대한 사회적 손해를 끼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많이 사용되는 마약 성분은 주당 평균 4kg이었던 MDMA였는데, 이는 특히 크라이스트처치 지역을 포함한 캔터베리 일대에서의 사용 빈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퀸스타운과 타우포 역시 MDMA가 다른 지역에 비해 사용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휴양지나 관광도시들을 찾는 젊은층들이 다른 마약보다 엑스터시를 선호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주당  소비가 700g으로 적게 나타난 코카인이었는데, 이는 값도 비싼 데다가 마약 유통시장에서 적은 량이 유통되고 수요도 적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오클랜드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절대 사용량도 많았지만 인구에 대비한 코카인 사용량도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 자료를 근거로 추산해보면, 뉴질랜드인들은 매주 960만달러를 마약 관련 비용으로 지출하며 이에 따라 연간 5억달러라는 막대한 금액이 마약 범죄 조직에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의 고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 자료는 마약 수요와 판매 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줘 경찰은 물론 관련 당국이 마약조직과 싸우고 또한 관련 정책을 결정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남섬지국장 서 현 

코로나를 뚫은 황소 장세

댓글 0 | 조회 4,498 | 2020.09.23
코로나19 여파도, 증권거래소 사이버 공격도 황소 장세를 꺾지는 못했다. 모든 장애물을 넘어 뉴질랜드 주가지수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주가는 역대 … 더보기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경제 위기

댓글 0 | 조회 5,465 | 2020.09.22
전 세계 국가들이 ‘코로나 19’ 사태로 모든 분야에서 근세 들어 단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던 상황들에 직면하면서 경제 역시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수렁에 빠… 더보기

지금부터 유학생 맞을 준비해야

댓글 0 | 조회 9,630 | 2020.09.09
올해 예기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유학업계에 큰 피해를 주었다. 문제는 올해를 포기한 유학업계가 내년에 유학생… 더보기

NZ 아시안들, 어떻게 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10,180 | 2020.09.08
2020년 6월말 현재 뉴질랜드 인구는 502만5000명으로 추정돼 2003년 인구 400만명을 넘긴 후 17년 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 중 아시안은 70… 더보기

‘코로나 시대’ NZ로 이민 관심 급증

댓글 0 | 조회 11,027 | 2020.08.26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적은 나라들이 인기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 더보기

지금 당신은 행복합니까?

댓글 0 | 조회 3,881 | 2020.08.25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국내에서도 실업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양질의 일자리들도 대거 사라지는 등 국민들의 안정된 삶이 크게 위… 더보기

임금 보조금은 눈 먼 돈?

댓글 0 | 조회 10,256 | 2020.08.12
정부가 임금 보조금(Wage Subsidy) 명목으로 최근까지 지출한 금액이 13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 더보기

록다운 중 실업률이 낮아졌다?

댓글 0 | 조회 5,659 | 2020.08.11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지난 8월 5일(수)에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한 국내 고용시장 동향과 관련된 지표들을 공개했다.현재 전 세계적… 더보기

CO2는 오클랜드, 메탄은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4,175 | 2020.07.29
7월 하순에 통계국은,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배출된 ‘온실가스(greenhouse gas)’ 규모를 각 지역과 온실가스의 종… 더보기

국경 통제로 오도 가도 못하는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8,015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해외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니면 공식적으로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높은 … 더보기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던진 충격파

댓글 0 | 조회 6,903 | 2020.07.15
지난 7월 9일(목)에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한 곳인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Tiwai Point aluminium smelter)’가 문을 닫는다고 … 더보기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6,039 | 2020.07.14
주식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제 침체에 아랑곳없이 최근 역대 최고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급격히 늘어난 개미투자자들… 더보기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253 | 2020.06.24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 더보기

한 해 성적표 받아든 NZ대학들

댓글 0 | 조회 6,995 | 2020.06.23
매년 6월이면 뉴질랜드의 각 대학들 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언론을 통해 전해질 ‘성적표’ 들을 초조하게 기다린다.대학들이 받아들 성적… 더보기

3% 밑으로 떨어진 모기지 금리

댓글 0 | 조회 8,046 | 2020.06.10
모기지 금리가 불가피하게 오를 것이라는 시장 관계자 대부분의 예측을 뒤엎고 시중은행들이 최근 모기지 금리를 경쟁적으로 인하하면서 1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 더보기

양치기 견공들 “일자리 잃을까?”

댓글 0 | 조회 4,645 | 2020.06.09
최근 국내외 언론들에는 뉴질랜드의 한 목장에서 양치기 역할을 하는 로봇개에 대한 기사와 사진들이 일제히 실렸다.‘스팟(Spot)’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로봇… 더보기

다시 고개 드는 인종차별

댓글 0 | 조회 10,136 | 2020.05.2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인종차별 행위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가 크게 늘어 경제 침체와 실업 증가… 더보기

바이러스가 앞당긴 인구 500만명 시대

댓글 0 | 조회 6,724 | 2020.05.26
▲ 크라이스트처치의 2019년 산타퍼레이드 모습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가 역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섰다.기념비적인 ‘인구 500만명 시대 진입’은 공… 더보기

코로나가 바꿔놓은 비즈니스 지형

댓글 0 | 조회 8,957 | 2020.05.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불황이 불가피하고 빠른 경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경제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오고 있다. 뉴질랜드 경제는 세계 경제… 더보기

2019년 “결혼 크게 줄고 이혼은 늘어”

댓글 0 | 조회 7,236 | 2020.05.12
작년 한 해 동안 뉴질랜드인들이 공식적으로 ‘혼인’을 했다고 관계 당국에 등록한 숫자가 지난 1960년 이래 50여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그에 반해… 더보기

록다운이 끝난 후 주택시장은?

댓글 0 | 조회 15,286 | 2020.04.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모든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록다운(Lockd… 더보기

바이러스에 무너진 일상

댓글 0 | 조회 13,850 | 2020.04.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뉴질랜드는 지금 사상 초유의 ‘록다운(Lockdown)’ 4주 기간을 보내고 있다.슈퍼마켓, 주유소, 약국, 병원 … 더보기

CBD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7,930 | 2020.03.25
오클랜드 CBD에 유례없이 공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대혼란을 빚고 있다. 수십 건의 도로공사와 건설공사 등이 한꺼번에 벌어지면서 운전자들은 교통정체에 … 더보기

인간과 전염병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댓글 0 | 조회 7,583 | 2020.03.24
​‘코로나 19’바이러스로 뉴질랜드는 물론 지구촌 전체가 그야말로초대형 재난을 맞아 시련을 겪고 있다.인터넷을 비롯한 언론에는 ‘코로나 19’와 관련된 정보와 뉴… 더보기

가뭄으로 신음하는 아오테아로아

댓글 0 | 조회 4,755 | 2020.03.11
▲ 농민 단체의 페이스북에 올려진 북부 캔터베리의 한 목장​작년부터 북섬 북부와 중부를 중심으로 남북섬의 여러 지방들이 극심한 가뭄 현상을보이면서 뉴질랜드 전국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