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염소와 결투 벌이는 DOC

야생 염소와 결투 벌이는 DOC

0 개 3,577 서현

347b3030ec9d44ed3d50a54891773192_1540351290_7599.jpg

뉴질랜드 자연보존부(DOC)가 ‘야생 염소(wild goat)’의 한 종류로 알려진 ‘히말라얀 타르(Himalayan tahr)’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나섰다. 

 

생태계 보존을 위해 타르를 적정 개체수 밑으로 유지하고자 몇달 전부터 계획을 짜온 DOC는 10월 18일(목)부터 관련 기관들과 함께 본격적으로 타르 ‘도태(cull)’ 작전에 나섰다. 

 

야생염소가 생태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기에 이처럼 정부가 나서서 대대적인 작전까지 펼치게 됐는지 그 배경 등 구체적인 내용들을 들여다본다. 

 

<유럽인 도착 초기에 사냥감으로 도입> 

 

소목 소과에 속하는 ‘히말라얀 타르’는 ‘야생 염소’와 관계가 가까운 동물로 이름 그대로 아시아 지역의 티베트 남부와 인도 북부, 그리고 네팔 등지의 히말라야 고산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뉴질랜드에는 유럽인들의 정착이 시작되던 무렵에 사냥감으로 이용하고자 도입됐는데, 이후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서 뉴질랜드 자연 생태계에는 커다란 골치덩이가 됐다. 

 

이에 반해 원산지에서는 사냥과 서식지 감소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면서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에서는 이 종을 ‘멸종 취약종(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으로 분류하고 있기도 하다. 

 

과거에는 ‘히말라야 타르속(학명: Hemitragus)’에 여러 종을 포함시켰지만 현재는 히말라야 타르만을 이 속의 유일종으로 분류한다.

  

1930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도입됐던 타르 중 2마리가 동물원에서 탈출해 케이프 반도 산간 지대에서 급속하게 퍼졌으나 이후 남아공 정부 노력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기도 했다.   

 

또한 미국에서도 뉴멕시코 주를 중심으로 히말라얀 타르가 서식 중인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지난 2006년에는 남미의 아르헨티나가 사냥 목적으로 타르를 도입한 사실도 있다.  

 

한편 인도 남부에는 비슷한 종류인 ‘닐기리 타르(Nilgiri tahr)’가 있으며 아라비아 반도 동부에는 3가지 종류의 타르 중 가장 작은 ‘아라비안 타르(Arabian tahr)’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한국의 설악산 등지에 분포하는 산양처럼 무리를 지어 생활하면서 경사가 급한 산지에 주로 서식하고, 특히 바위나 땅을 붙잡는 힘이 강한 발굽은 절벽을 타는 데 매우 적합한 형태를 가졌다. 

 

히말라얀 타르 수컷은 체중이 평균 73kg이지만 때로는 136kg에 이를 정도로 큰 덩치와 함께 목과 어깨에 숫사자처럼 넘실거리는 갈기를 가졌는데, 여름에는 불그스름한 털이 자라다 겨울이면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한편 암컷은 체중이 36kg가량이며 여름에 중간 정도의 갈색 털을 지녔다가 겨울이면 수컷과 마찬가지로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이들은 뚜렷하게 집단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암수와 나이별로 떼로 모이는 사회성이 강한 동물로 번식이 시작되는 시기는 4,5월 겨울이며 새끼는 한 마리만 낳는데, 간혹 번식기 아닌 여름에는 수컷들이 암컷들을 떠나 자기들끼리 먼 거리로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토종 식물들에 큰 피해 끼쳐> 

 

DOC가 공개한 자료들에 의하면 현재 뉴질랜드에는 히말라얀 타르 대부분이 남섬의 서던 알프스 산맥 주변에서 서식한다. 

 

중요 서식지는 중부 캔터베리 내륙의 라카이아(Rakaia)부터 훨씬 남쪽에 위치한 와나카(Wanaka) 인근 하웨아(Hawea) 호수 북쪽의 위쿰(Whitcombe) 밸리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이다(지도1 참조). 

 

347b3030ec9d44ed3d50a54891773192_1540351382_3691.jpg
▲ 지도 1: 남섬의 타르 분포 지역

DOC가 최근에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이른바 ‘공공 자연보존지역(public conservation land)’ 안에서만 현재 3만5000마리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숫자는 ‘민간 소유지(private land)’나 정부가 ‘목장 용지 등으로 임대한 지역(Crown pastoral leases)’에 서식하는 개체수는 제외한 숫자이다.

 

뉴질랜드 토종식물들은 수백만년 동안 외부와 격리된 채 연한 잎이나 새싹 등을 집중적으로 뜯어 먹는 동물들인 이른바 ‘브라우저(browser)’ 없이 진화했는데 그렇다 보니 외래종인 타르는 이들에게는 아주 무서운 천적들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타르는 고산, 준고산 지역의 초지나 눈밭을 떼로 몰려다니면서 관목(shrub)이나 덤불(tussock)은 물론 ‘마운트 쿡 릴리(Mount Cook lily)’와 같은 고산 토종식물들까지 닥치는 대로 먹어치워 결국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 식물들은 말라 죽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타르 떼가 모이면 넓은 지역의 토양과 식물군이 이들의 발굽에 짓밟혀 뭉개지는 바람에 토양까지 크게 망가지면서 생태계는 이중의 피해를 입는다. 

 

347b3030ec9d44ed3d50a54891773192_1540351549_228.jpg
 ▲ 사진 1: 타르 침입 전후의 조라 크릭(Zora Creek) 지대 풍경

첨부된 <사진1>은 랜즈버로(Landsborough) 지역 조라 크릭(Zora Creek)의 정경인데, 타르가 나타나기 전인 2003년의 모습(왼쪽)과 타르가 침범한 이후인 2012년의 모습을 비교해보면 타르가 토종식물들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347b3030ec9d44ed3d50a54891773192_1540351563_067.jpg 

▲ 사진 2: 타르 피해를 입은 Mt. Cook lily 군락의 전후 모습​

 

또한 <사진 2>에서도 흰꽃을 피우면서 잘 자라던 ‘마운트 쿡 릴리’ 군락이 타르에 의해 뿌리까지 완전히 전멸되다시피한 모습도 볼 수 있다. 

 

<오래 전부터 골치덩이였던 타르 >   

 

타르는 최근에 와서야 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이미 오래 전부터 국내에서는 고유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범인들 중 하나로 등장한 바 있다. 

 

뉴질랜드 정부는 지난 1977년에 ‘야생 동물 통제법(Wild Animal Control Act 1977)’을 제정하고 생태계에 피해를 입히는 동물들을 관리해왔다. 

 

이 법에 따라 타르 역시 관리를 받아왔는데, 특히 지난 1993년에 앞서 언급된 야생 동물 통제법 5조 1항에 의거해 ‘히말라얀 타르 통제 계획(Himalayan Thar Control Plan 1993, HTCP)’을 수립한 바 있다.

 

당시 ‘타르 유관 그룹(Tahr Liaison Group, TLG)’의 동의 하에 수립된 해당 계획에서는 자연보존지역을 포함한 야생에 서식하는 타르의 개체수를 1만 마리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만약 ‘레저나 가이드 사냥, 또는 상업적 사냥(recreational, guided hunting and commercial hunting)’에도 불구하고 목표치 이하로 타르 개체수가 유지되지 않으면 DOC가 직접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 했다. 

 

<내년 8월까지 2만여 마리 사냥> 

 

이번에 DOC가 직접 작전에 나선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 이뤄진 것인데, DOC는 내년 8월말까지 자연보존구역에 서식하는 타르 숫자를 1만 마리 수준까지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유지니 세이지(Eugenie Sage) DOC 장관은 10월 중순경에 발표를 통해, 지난 2년 동안 항공 모니터링을 한 결과 남섬 중부와 남부의 서던 알프스 보존구역의 타르 숫자가 3만 5000마리 이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세이지 장관은, 이들 타르들이 토종 동식물 생태계에 갈수록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신속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타르 담당 그룹(TAG)’에 속한 관계자들과 사냥꾼 등 유관 단체들과 협의해 타르 개체수 조절에 나서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10월 18일부터 계획이 실행되면서 우선 타르의 번식 시즌이 본격 시작되기 전인 오는 11월 중순까지 몇 주에 걸쳐 우선 6000마리를 사냥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사냥은 암컷과 덜 자란 개체를 주된 목표로 진행되는데, 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항공 작전으로 실시되며 사냥꾼들은 산탄총을 사용하게 된다고 세이지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를 확인했다.    

 

DOC는 금년 12월에 일단 그때까지의 상황을 검토하며 이후에도 계속 타르 사냥에 나서 내년 8월까지는 당초 ‘히말라얀 타르 통제 계획(HTCP)’에서 비준했던 목표인 1만 마리 이하로 개체수를 조절해 나가는 것이 목표이다. 

 

유지니 장관은 타르를 완전히 없앨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다면서, 이번 계획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가이드 사냥을 포함해 사냥 여행업계에 필요한 수천 마리의 타르는 남겨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계획에는 모두 60만 달러가 소요되는데, 한편 지난 7년 동안 타르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는 매년 평균 30만 달러씩의 예산이 사용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347b3030ec9d44ed3d50a54891773192_1540351586_6578.jpg
▲ 사진 3: 타르재단이 모금 페이지에 올린 한 쌍의 타르 사진 


<DOC 계획에 반대했던 단체들> 

 

그러나 당초 정부의 타르 개체수 조절 계획이 알려지자 사냥 단체를 포함한 일부에서는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나서기도 했다. 

 

지난 10월 1일에 ‘타르 유관기관(TLG)’ 회의가 열렸는데, 당시 모임에는 DOC를 비롯해 ‘뉴질랜드 사슴사냥꾼 협회(NZ Deerstalkers’ Association, NZDA)’와 ‘뉴질랜드 타르 재단(NZ Tahr Foundation)’, 그리고 ‘Forest and Bird’와 지역 마오리 부족인 ‘나이 타후(Ngai Tahu)’와 농민 단체인 ‘Federated Farmers’의 대표들이 참석했다. 

 

당시 회의에 앞서 유관 단체들 중 사슴사냥꾼 협회와 타르 재단에서는 이 같은 계획이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전해 듣고 그 실행 방법론과 타르 개체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특히 지난 9월 말에 타르 재단은 DOC의 계획을 막을 법적 행동을 취하고자 인터넷 모금 사이트인 Givealittle를 통해 소송 비용까지 모금했는데, 당시 1000여명 이상이 16만 달러라는 많은 금액으로 적극 동참하기도 했다. 

 

이들은 정부가 자신들의 주장에 대해 귀를 기울여 줄 것을 요구했는데, 이후 10월 중순 DOC가 구체적인 안을 통보하면서 수컷보다 암컷 위주로, 그리고 사냥 숫자를 줄이는 등 이들의 의견을 일부 수용하는 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사냥협회 등에서도 정부 계획에 협조할 예정인데, 관계자들에 따르면 그동안 사냥 여행업계와 레저용 사냥을 포함해 매년 4600마리 정도의 타르가 사냥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냥 여행업계는 성체 수컷 타르는 뉴질랜드 경제에 마리 당 1만4000달러라는 상당한 경제적인 효과를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이해 당사자들 간 논란이 있었지만 결국 타르 사냥은 본격 시작됐는데, 이에 따라 내년 8월까지 서던 알프스 곳곳에서는 타르와 인간들 간의 쫓고 쫓기는 치열한 대결이 펼쳐지게 됐으며 과연 누가 최후 승자가 될지 결과가 자못 궁금해진다.  

 

남섬지국장 서현

법 시행과 함께 다가온 주택시장 하강

댓글 0 | 조회 10,267 | 2022.03.09
작년 12월 이후 외견상 사소한 이유로 주택대출 신청이 거부됐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알려지고 있다. 반려견에 대한 지출이 너무 커서, 외식 빈도가 높아서, 국내 여… 더보기

갈수록 커지는 NZ의 ‘자산 불평등’

댓글 0 | 조회 6,126 | 2022.03.08
지난 6년간 뉴질랜드 ‘가계(가구, households)’의 ‘순자산(net worth)’이 증가했지만 부가 한쪽으로 편중된 모습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 조사 … 더보기

팬데믹 2년, 끝나지 않은 전쟁

댓글 0 | 조회 4,319 | 2022.02.23
오는 28일은 뉴질랜드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2주년이 되는 날이다. 꼬박 2년이 지났는데도 코로나19의 기세는 꺾이지 … 더보기

전 세계에 밀려오는 인플레이션 공포

댓글 0 | 조회 5,976 | 2022.02.22
오미크론 변이 확산되는 가운데 먹거리를 비롯한 생활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서 서민들은 물론 중산층을 포함한 국민들의 한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주유소에서는 치솟는… 더보기

뉴질랜드의 높은 건축비용

댓글 0 | 조회 7,436 | 2022.02.10
건축비용이 지붕을 뚫고 있다. 오랫동안 토지 가격이 신축 주택 가격 상승의 주범으로 인식돼 왔지만 이제 급등한 건축비용이 그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건축업계는 … 더보기

한적한 해변에 흩어진 지폐들

댓글 0 | 조회 6,341 | 2022.02.09
지난 1월 초 노스 캔터베리의 한 한적한 마을의 해변을 찾았던 주민들은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큰 행운(?)을 만난 것처럼 보였다.그것은 해변의 모래사장과 바위 … 더보기

경쟁국들에 뒤쳐지고 있는 유학업

댓글 0 | 조회 5,265 | 2022.01.27
팬데믹 이전 뉴질랜드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53억달러를 기여했던 유학업이 2년 간의 국경 통제로 인한 침체에서 올해 벗어날 수 있을까?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더보기

“전 세계가 깜짝!” 통가 해저화산 대폭발

댓글 0 | 조회 5,444 | 2022.01.27
해저화산의 대규모 폭발로 지구촌 식구들이 깜짝 놀란 가운데 뉴질랜드의 이웃 국가이자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인 통가가 국가적인 큰 시련에 봉착했다.폭발 후 6일이 … 더보기

순탄치 않을 경제 회복의 길

댓글 0 | 조회 6,028 | 2022.01.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2022년 경제도 불확실성이 걷히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에 비교적 잘 버텨온 것으로 평가받고 … 더보기

자외선 차단제 제대로 고르자

댓글 0 | 조회 4,807 | 2022.01.11
새해 벽두부터 오클랜드를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폭염 경보가 발령되는 등 뜨거운 여름이 이어지고 있다.작열하는 태양 아래 ‘자외선 차단제(Sunscreen)’는 국…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1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976 | 2021.12.22
■ 아메리카스 컵 우승, 다음 대회 뉴질랜드 개최 여부는 불확실3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오클랜드에서 열린 제36회 아메리카스 컵(America’s Cup) 요트… 더보기

올 한 해 인터넷에서 찾아본 것은?

댓글 0 | 조회 2,474 | 2021.12.21
매년 해가 바뀔 무렵 흔히 쓰던 ‘다사다난(多事多難)’이라는 상투적인 표현으로는 도저히 다 담지도 못할 정도로 힘들고 사건도 많았으며 혹독했던 2021년 한 해도… 더보기

위험한 부채 증가 속도

댓글 0 | 조회 6,779 | 2021.12.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경제 근간을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던 방향으로 바꿔 놓았다. 그 변화는 국가 총부채에 투영된다. 팬… 더보기

감칠맛 ‘다시마’에 이런 기능이…

댓글 0 | 조회 4,370 | 2021.12.07
지난 11월에 지구촌 식구들은 영국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Glasgow)에서 열렸던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계기로 각국 정부와 … 더보기

오클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공동주택 건축 가능해질 듯

댓글 0 | 조회 10,731 | 2021.11.24
내년 8월부터 오클랜드, 해밀턴,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등 대도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3층 높이의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 더보기

봉쇄 풀린다! 떠나자 여름 즐기러

댓글 0 | 조회 6,154 | 2021.11.23
본격적인 여름 휴가 시즌을 앞두고 다음 달 중순부터 3개월 이상 계속된 오클랜드의 봉쇄 조치가 풀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당사자인 오클랜드 주민들은 물론 전국의 … 더보기

‘원오프’ 영주권 승인과 그 배경

댓글 0 | 조회 10,703 | 2021.11.10
정부의 새로운 원오프(one-off) 거주비자 시행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신청이 시작된다. 이민부는 신청자격을 갖춘 비자 소지자들에게 연락할 것이라고 밝힌 바 … 더보기

바이러스 “오클랜드 인구까지 줄였다”

댓글 0 | 조회 7,503 | 2021.11.09
세계를 휩쓰는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오클랜드 인구까지 감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지구촌 식구들의 일상생활은 물론 바이러스는 정치… 더보기

상승 기조로 돌아선 금리

댓글 0 | 조회 5,712 | 2021.10.28
기준금리가 지난 6일 사상 최저치인 0.25%에서 0.5%로 0.25%포인트 인상됐다.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2014년 7월 이후 약 7년여 만이다. 경제 전문가… 더보기

빨간불 켜진 인플레이션

댓글 0 | 조회 8,468 | 2021.10.27
국내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는 뉴스가 언론에 여러 차례 등장하던 끝에 결국 1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에 도달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이달 초 7년 만에 처음으로… 더보기

오염으로 몸살 앓는 강과 개울들

댓글 0 | 조회 4,814 | 2021.10.13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2~3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뉴질랜드의 강물과 개울들이 시간이 갈수록 수질이 악화돼 물놀이를 즐기기에 부적당한 곳들이 이전보다 늘어났다… 더보기

코로나 대응과 국경 개방

댓글 0 | 조회 8,419 | 2021.10.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국경 봉쇄로 코로나19를 통제한 뉴질랜드가 최근 계속해서 발생하는 델타 변이로 국경 봉쇄가 더욱 장기화하는 … 더보기

인류 최후의 피난처 NZ?

댓글 0 | 조회 15,840 | 2021.08.25
지난 7월 말 영국의 언론들을 비롯한 뉴질랜드와 한국 등 세계 각국의 언론에는 세계 문명이 붕괴할 때 최적의 생존지를 선정한 연구 결과가 보도되면서 사람들의 눈길… 더보기

치솟고 있는 생활비

댓글 0 | 조회 13,144 | 2021.08.24
주거비, 기름값, 식료품비, 의류비, 대출이자 등 생활과 밀접한 물가들이 크게 오르고 있다. 물가 상승은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일반 가정에서는 허리띠… 더보기

변하는 투자 패러다임

댓글 0 | 조회 6,362 | 2021.08.11
뉴질랜드는 부동산에 대한 유별난 집착 등으로 주식투자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들에 뒤쳐져 왔다. 하지만 작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늘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