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어려운 내집 마련의 길

여전히 어려운 내집 마련의 길

0 개 8,079 서현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436_3504.jpg
내집 장만을 비롯한 주거 문제는 현재 뉴질랜드 정부와 국민들이 안고 있는 오랜 숙제거리 중 하나이다. 특히 대도시 주민들의 열악한 주거 현황은 매번 선거 때면 중요한 쟁점 중 하나로 부각되곤 했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책 없이 시간이 흐를수록 더 악화되는 실정이다. 

 

지난 1월말 뉴질랜드를 포함한 세계 9개 국가들의 주택 문제를 분석한 14차 ‘국제 주택구입능력 조사보고서(The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가 공개됐다. 보고서를 통해 뉴질랜드 주거 문제의 실상과 다른 나라들의 현황을 함께 비교해봤다. 

 

<중산층 소득과 주택 구입의 상관 관계> 

‘The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 조사에서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평균 가구당 소득(average household salary)’으로 그 지역의 ‘중간가격대 주택(median-priced house)’의 가격을 나눈 수치인 ‘Median Multiple(M·M)’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는 결국 그 지역에서는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 가정에서 몇 년이나 돈을 모아야 평균적인 가격대의 주택을 장만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셈인데, 일단 기간이 길면 길수록 내집 마련이 힘든, 주택 사정이 어려운 지역임을 의미한다. 

 

M·M은 유엔은 물론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을 비롯해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와 각종 부동산 관련 학계에서도 폭넓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세계은행(World Bank) 역시 M·M 수치를 중산층의 주택구입 능력을 산출하는 기준으로 보는데 M·M은 4단계로 분류해 다음과 같이 평가된다.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475_0618.jpg
▲ Housing Affordability Ratings

  

M·M 3.0 이하 1단계는 해당 지역 중산층이 주택 구입을 ‘감당할만한 수준(Affordable)’으로 여기며, 2단계는 3.1~4까지로 ‘약간 감당이 어려운 수준(Moderately Unaffordable)’으로  본다. 

 

또한 M·M 4.1~5일 경우에는 집 장만 문제가 ‘심각한 수준(Seriously Unaffordable)’으로, 5.1 이상일 경우는 ‘극히 심각한 수준(Severely Unaffordable)’으로 각각 평가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보고서는 2017년 3/4분기에 미국과 영국, 뉴질랜드와 호주, 캐나다, 아일랜드, 일본, 싱가포르, 그리고 중국의 홍콩 등 세계 9개 국가의 도시권에 포함된 293개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또한 293개 도시 중 인구 100만명 이상인 92개 도시를 ‘주요 도시(major metropolitan)’로 따로 분류해 별도의 순위를 매겨 공개했는데, ‘주요 도시’ 중에는 도쿄-요코하마와 뉴욕, 오사카-고베, 로스앤젤레스, 런던 등 인구 1000만 이상의 광역 도시 5곳도 포함됐다. 

 

<여전히 주택 문제 세계 최악인 홍콩>  

조사에 따르면 주요 도시와 일반 도시를 모두 포함해 최악의 주거 현황을 보이는 도시는 여전히 홍콩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은 M·M 이 19.4로 작년 조사의 18.1에서 오히려 더 악화됐는데, 결국 홍콩에서 평균적인 소득을 올리는 가정에서는 19년 4개월 동안 한 푼도 안 쓰고 꼬박 모아야만 평균가 주택을 겨우 살 수 있는 셈이다.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537_4009.png
▲ 주거 현황 열악한 상위 10대 주요도시

  

이미 홍콩의 열악한 주택 문제는, 마치 닭장과 같은 빈민촌의 충격적인 사진들로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은 지 오래됐는데, 이번 자료에서는 이런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됐다.   

 

그 뒤를 이어 주요 도시 중에서는 호주의 시드니가 12.9로 전년과 동일한 2위에 올라 그동안 계속 제기된 시드니의 주택난이 결코 빈말이 아님을 실감케 하고 있다.

 

이어 캐나다 밴쿠버가 12.6, 그리고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3번째 크기 도시인 산호세(San Jose)가 10.3을 기록했으며, 호주 멜버른도 9.9로 중산층의 주택 마련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었다. 

 

9.4의 로스앤젤레스가 멜버른의 바로 뒤를 따른 가운데 하와이 호놀룰루가 9.2를 기록했고, 샌프란시스코의 9.1에 이어 뉴질랜드의 오클랜드가 8.8로 조사 대상 주요 도시 중에서 9번째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587_8102.jpg
▲ 홍콩의 열악한 주거 현황

  

오클랜드는 전년 조사의 5위에서 9위로 4계단 내려 앉으면서 내집 마련이 조금 수월해진 것으로 나타나기는 했지만, 이번 순위인 9위 역시 집값 비싸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 런던의 8.5보다 하나 앞선 실정이다. 

 

이는 결국 오클랜드 주민들이 평균적으로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집값이 과도하게 올라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당연히 주택 가격에서 거품 논쟁이 촉발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택 문제 심각한 호주 주요 도시들> 

M·M 이 3.0 또는 그 이하이면 주민들이 일단 자기 집을 마련하고 살아가는 데 큰 무리가 없는, 즉 주택 문제를 감당하기 어렵지 않은 것으로 평가한다. 

 

이번 조사의 92개 주요 도시들 중 10개 도시가 그 기준에 들었는데, M·M 2.5를 보인 로체스터(Rochester)를 필두로 2.7의 신시내티(Cincinnati)와 클리블랜드(Cleveland), 그리고 2.8의 오클라호마 시티(Oklahoma City)와 피츠버그(Pittsburgh), 버펄로 등 10개 모두 미국 도시들이었다.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629_652.png
▲ 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Ratings(2017)

  

반면에 주요 도시 92곳 중에 절반 이상인 54개 도시가 들어간 미국은 이 중 25%가량인 13개 도시가‘극히 심각한 수준(Severely Unaffordable)’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21개 도시가 대상인 영국 역시 6개가 이 범주에 포함됐으며 캐나다는 대상 도시 6곳 중 2곳이 들어갔고, 오클랜드와 홍콩이 유일한 대상이었던 중국과 뉴질랜드는 두 도시 모두가 해당됐다. 

 

특히 이웃 호주는 시드니와 멜버른, 골드 코스트를 비롯한 대상 도시 5곳이 모두 주택 문제가

‘극히 심각한’ 도시에 포함되면서 호주 언론들도 이번 뉴스를 사회적 위기라면서 비중있게 다루는 모습이었다.  

   

한편 조사에서 나타난 9개 나라의 국가별 주요 도시의 M·M 수치 평균은, 미국이 가장 양호한 3.8을 보인 가운데 일본이 4.2, 그리고 캐나다와 영국이 같은 수치인 4.3을 보였으며 싱가포르와 아일랜드가 이보다 높은 4.8을 기록했다. 

 

반면 호주는 평균도 ‘극히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는 6.6이었으며 뉴질랜드와 중국(홍콩) 역시 각각 8.8과 19.4의 높은 수치였지만 5개 도시가 오른 호주와는 달리 도시 한 곳씩만 대상이 돼 조금 다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293개 도시 대상 조사에서는 미국과 아일랜드가 같은 M·M 3.7로 가장 양호했으며 캐나다가 3.9, 그리고 일본이 4.2를 보인 가운데 영국 4.5, 싱가포르 4.8을 기록했고 뉴질랜드의 5.8에 이어 호주와 홍콩이 5.9와 19.4로 높게 나타났다. 

 

결국 이를 종합해 보면 해당 국가의 지역별 차이는 있겠지만 국가 전반적으로는 4 이하를 보인 미국과 아일랜드, 캐나다 정도가 주택 문제에 대해 그나마 여유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홍콩을 제외하고 뉴질랜드와 호주는 5 이상을 보여 국민들이 집을 구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통계가 여실히 보여줬다. 

 

한편 이번에 조사 대상 도시 293개 중에서는 모두 76개 도시가 M·M이 5.1이 넘어 주택 문제가 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도시들의 평균은 4.1이었다. 

 

<주거난 극히 심각한 뉴질랜드 도시들> 

한편 이번에 조사 대상이 된 293개 도시에 포함된 뉴질랜드 도시 지역은 오클랜드와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를 포함해 모두 8개였다. 

 

그런데 이들 국내 도시들 중에서 내집 마련에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곳은 의외로 오클랜드가 아닌 북섬 동해안의 타우랑가로 나타났다. 

 

‘타우랑가 및 웨스턴 베이 오브 플렌티(Tauranga-Western Bay of Plenty)’로 나뉘어진 이 지역의 M·M은 9로 집계됐는데, 수 년 전부터 인구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한 타우랑가의 주택 문제는 그동안에도 여러 차례 언론에 거론된 바 있다. 

 

이번 보고서에 나타난 타우랑가와 오클랜드를 포함한 국내 8개 도시 지역의 M·M 수치는 각각 다음과 같다.

 

Tauranga-Western Bay of Plenty (9.0) / Auckland (8.8) / Hamilton-Waikato (6.5) / Napier-Hastings (6.1) / Wellington (5.5) / Dunedin (5.4) / Christchurch (5.4) / Palmerston North-Manawatu (4.5)  

 

위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듯 국내 8개 도시 지역이 모두 M·M 4.1을 넘어 해당 지역 중산층의 주택구입 여력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중 ‘파머스턴 노스-마나와투’ 한 곳을 제외하면 나머지 7개 지역이 모두 M·M 수치가 5.1을 넘어 주택 문제가 ‘극히 심각한 수준(Severely Unaffordable)’이라는 것 또한 볼 수 있다.

 

한편으로 이는 해당 지역에서 집값이 크게 오르는 동안 주민의 소득은 상대적으로 집값 상승을 미처 쫓아가지 못했다는 점도 함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보고서 작성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오클랜드가 해당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한 2005년부터 지금까지 14년 연속 ‘극히 심각한’ 도시로 꼽혀 왔음을 지적하면서  일부 개선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주택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오클랜드는 지난 2005년 첫 번째 보고서에서는 5.9였던 M·M 수치가 지금은 당시보다 3년간의 모든 수입을 더 보태야만 집 장만이 가능한 상황까지 악화됐다. 

  

22f89f65b8aaa5af09b2b34550143b21_1517371676_9424.png

▲ 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Ratings(2017)

  

보고서는 지난 1990년대 초에 뉴질랜드의 평균 M·M이 3.0 미만이었다면서 지난 3차례에 걸친 총선에서도 계속 주택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별로 개선되지 못했음을 또한 지적했다. 

 

한편으로 지난 9월 총선 후 노동당 집권 시 다른 2개 당과의 연정 과정에서 이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졌음을 언급하면서, 새 정부가 건축 부문에서 장애를 없애고 금융 지원과 함께 택지와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정책을 밝혔다는 사실도 함께 전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세한 정부 안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략적인 방안들만 중구난방식으로 거론되는데, 그나마 이에 대해 현장에서는 현실성이 별로 없다는 지적들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평범한 뉴질랜드 국민들이 내집 마련까지 겪어야 하는 고충은 앞으로도 상당 시간 동안 지금과 별반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시의적절한 정부 정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상황이 더 악화될 수도 있는 형편이다.  

 

3가지 인간의 기본 생활 요소인 의식주 중 하나인 주거 분야에 국민들이 과도한 지출을 강요당하는 상황에 몰리면 먹는 것은 물론 다른 분야에 돈을 쓸 여력조차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보건적인 측면을 포함해 개개인의 생활의 질 자체가 크게 떨어지며, 뿐만 아니라 사회 자체가 극히 불안해질 수 있는 만큼 새 정부의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한층 시급한 상황이다.   

 

남섬지국장 서 현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9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5,004 | 2019.12.23
■ 크라이스트처치 총격 테러3월 15일 호주 국적의 백인우월주의자 테러리스트가 반자동 소총으로 무장하고 크라이스트처치 소재 이슬람사원 2곳에서 예배 중인 신도들에… 더보기

‘불의 땅’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6,746 | 2019.12.20
한 해가 저물어 가는 12월에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큰 재난이지구촌 주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12월 9일(월) 오후에 발생한 화카아리/화이트(Whakaari/Wh… 더보기

자신의 한계? 해보기 전까진 몰라

댓글 0 | 조회 2,630 | 2019.12.11
지난 11월 22일(금) 오클랜드의 스카이 시티(Sky City) 홀에서는 금년으로 12번째를 맞이한 ‘Attitude Awards’ 시상식이 열렸다.이날 수상을… 더보기

타학군 학교 진학 어려워질 듯

댓글 0 | 조회 4,988 | 2019.12.10
앞으로 타학군 학교 진학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현재 각 학교에 주어져 있는 학군 지정 권한을 교육부가 새로운 기관을 설립해 관리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교육부… 더보기

NZ 인구지도, 어떻게 변했나?

댓글 0 | 조회 6,400 | 2019.11.27
지난달 말 뉴질랜드 통계국(Stats NZ)은 2019년 6월 말 기준으로 전국 각 지역에서 1년 동안 인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잠정 추계한 자료를 발표했다.이… 더보기

잊혀진 실버 세대

댓글 0 | 조회 3,754 | 2019.11.26
정부가 최근 노년층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취업을 하려는 노인들을 돕고 연령차별주의를 없애 나간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 더보기

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댓글 0 | 조회 5,489 | 2019.11.13
한낮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가면서 계절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이 즈음이면매년 뉴질랜드 언론들에 등장하는 뉴스가 하나 있다.정원작업에 나설 때 ‘레지오넬라… 더보기

가난한 자식은 부모도 초청할 수 없는 나라

댓글 0 | 조회 8,406 | 2019.11.12
3년 동안 빗장을 걸어 잠궜던 부모초청이민이 마침내 내년 2월부터 다시 열린다. 그 동안 부모초청이민을 신청해놓고 기다렸던 대기자들이나 앞으로 부모를 초청할 계획… 더보기

한국계 시의원 등장한 2019 지방선거

댓글 0 | 조회 4,650 | 2019.10.23
뉴질랜드 각 지역의 일꾼들을 뽑는 ‘2019년 지방자체단체 선거(local elections)’가 끝났다.10월 12일(토) 정오에 마감됐던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더보기

우버 이츠가 업계에 몰고 온 변화

댓글 0 | 조회 8,298 | 2019.10.22
지난 2017년 3월 뉴질랜드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우버 이츠(Uber Eats)는 지난해 27억달러의 총매출을 기록하며 5.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우버 이… 더보기

표류하는 키위빌드 정책

댓글 0 | 조회 7,051 | 2019.10.09
노동당 정부가 7개월의 숙고 끝에 지난달 재조정한 ‘키위빌드(KiwiBuild)’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0년 동안 10만채의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더보기

다양성 더욱 뚜렷해진 NZ

댓글 0 | 조회 4,013 | 2019.10.09
논란이 많았던 ‘2018년 센서스(Census)’ 분석 결과가 실시된 지 1년도 훨씬 더 경과한지난 9월말에야 공식적으로 발표됐다.작년 센서스는 참여율이 목표였던… 더보기

왈라비! 너마저도......

댓글 0 | 조회 4,832 | 2019.09.25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왈라비(wallaby)’가 갈수록 국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이 소식을 전해 들은 교민… 더보기

위장결혼인가, 생이별인가

댓글 0 | 조회 7,682 | 2019.09.24
온라인 만남이 흔해지면서 이를 통해 발전한 파트너쉽 비자 신청이 증가하고 있고 기각 사례 또한 늘고 있는 실정이다. 기각 당한 신청자들은 그들의 관계가 사실인데도… 더보기

변화하는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7,632 | 2019.09.11
세계 금융위기 이후 뉴질랜드 주택시장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유례 없는 저금리 시대를 맞고 있는 현재도 주택시장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지난 10년 동안 집값이 … 더보기

뜨겁게 달아오르는 럭비 열기

댓글 0 | 조회 3,155 | 2019.09.11
최근 TV 화면에 ‘Sky TV’에 가입하라는 광고가 부쩍 늘었다. 이는 이달 20일(금)부터 시작되는 ‘2019 럭비 월드컵(Rugby World Cup)’ 때… 더보기

줄었지만 여전한 남녀 간 임금 격차

댓글 0 | 조회 3,321 | 2019.08.28
금년 들어 뉴질랜드의‘성별 임금 격차(gender pay gap)’가 1998년부터 자료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래 3번째 규모로 축소됐다.그러나 여전히 여성들은 남… 더보기

금리 마이너스 진입할까?

댓글 0 | 조회 4,492 | 2019.08.27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1%로 인하됐다.중앙은행은 지난 7일 기준금리를 기존 1.5%에서 1%로 0.5%포인트 낮추면서 향후 마이너스 금리도 가능하다며 추가… 더보기

오늘 저녁 반찬은 ‘메뚜기’ 볶음?

댓글 0 | 조회 3,975 | 2019.08.14
지난 7월 말 국내 언론에는, “곤충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등장한다면뉴질랜드인들은 ‘질겅질겅 씹기’ 보다는 ‘아삭아삭 깨물어 먹기’를 더 선호한다”는설문조사 결과가… 더보기

순자산의 일곱 계단

댓글 0 | 조회 3,628 | 2019.08.13
보통 뉴질랜드인들은 재정적으로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통계청은 뉴질랜드인들이 소유한 자산과 빌린 부채를 대규모로 조사해 그러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제시했다. 특… 더보기

다시 부는 이민 바람

댓글 0 | 조회 13,511 | 2019.07.23
한동안 감소했던 순이민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민정책을 강화하여 이민자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했던 노동당 연립정부에서 순이민자 반등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더보기

하반기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댓글 0 | 조회 9,044 | 2019.07.10
상반기 부동산시장과 관련해서 정부의 양도소득세 도입 계획 철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사상최저 수준 인하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하반기에 부동산시장은 또 어떻게 … 더보기

위기의 뉴질랜드 임산부들

댓글 0 | 조회 7,263 | 2019.07.09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 출산과 관련된 기사들이 빈번하게 등장했는데, 대부분이 관련 의료시설이나 인력 부족으로 분만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나 위기를 겪었다는 내용들이었… 더보기

유출 파문에 묻힌 ‘웰빙 예산’

댓글 0 | 조회 3,741 | 2019.06.26
정부는 올해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세계 최초의 ‘웰빙 예산’이라고 강조했다.해외 언론들에서도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며 관심있게 보도했다.그러나 정작 국내… 더보기

지구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댓글 0 | 조회 3,463 | 2019.06.25
▲ 목장에 등장한 플라스틱 울타리 기둥​만약 인류에게 ‘플라스틱(plastic)’ 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이 어땠을까?이런 질문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이미 인류에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