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0 개 6,375 서현
553 1.jpg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지역 박물관에서도 종종 박제된 같은 종류의 개들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명 ‘마오리 개(Maori dog)’라고도 불리는 ‘쿠리(kuri)’의 박제인데, 지난 7월 중순에 이 개가 사라진 이유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9세기 후반에 소멸된 것으로 알려진 ‘쿠리’는 과연 어떤 개였으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553 2.jpg
 ▲ 초기 정착 당시의 쿠리

<마오리와 함께 카누 타고 이주한 쿠리>

주지하다시피 마오리들은 이 땅의 선주민이기는 하나 그들 역시 지금으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시기인 13세기 무렵에서야 동부 폴리네시안 지역에서 카누를 이용해 이곳으로 옮겨 온 민족이다.

그들이 옮겨올 당시 쿠리도 함께 카누를 타고 사람들을 따라 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폴리네시안 개의 혈통을 지닌 쿠리는 뉴질랜드 도착 후 자신들이 떠나온 원 지역의 다른 개들보다 몸집이 더 커졌고 더욱 활동성이 강한 개가 되었다.

쿠리는 체중이 13~15kg 정도 나가고 긴 털을 가졌으며 중형견이라고 하기에는 비교적 작은 덩치인데, 현재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더 콜리(border collie)’ 보다 조금 작은 정도였으며 몸체는 흰색이 주였으나 검은색과 이들 색깔이 혼합된 종류, 그리고 드물게는 황색 쿠리도 일부 있었다.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작고 귀는 쫑긋 세워진 모습이었으며 ‘테리어(terrier)’ 종과 유사한 코와 함께 강한 턱을 자랑했는데, 또한 어깨와 목이 두툼한 반면 다리는 짧은 편이었고 풍성한 꼬리가 달렸다.
 
<길고 우울하게 울부짖던 쿠리>

쿠리는 남섬에서는 ‘구리(guri)’로 불리기도 했고 일부에서는 ‘페로(pero)’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는 스페인어에서 개를 뜻하는 단어인 ‘페로(perr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또 다른 명칭으로 알려진 ‘카라레헤(Kararehe)’는 일반적으로 네발 가진 짐승을 의미하는 마오리어로 쿠리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쿠리는 다른 폴리네시안 개들처럼 보통 짖지 않는 대신에 늑대나 여우처럼 우는 이른바 ‘하울링(howling)’을 했던 특징이 있는데, 기록에는 쿠리의 소리를 ‘long, melancholy howl’ 이라고 한 표현이 등장한다.

마오리들은 쿠리의 울음을 ‘auau’라고 표현했으며 그들은 유럽에서 온 개들은 ‘pahupahu’라는 소리를 낸다고 했는데, 우리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개들 중 짖는 것보다 하울링을 자주 하는 개는 시베리안 허스키 종류가 있다.

 
<초기 정착민들에게 중요했던 쿠리>

마오리들은 이주 당시 그들의 대형 카누에 개는 물론 돼지와 닭과 같은 다른 가축들도 싣고 왔다.
또한 당시 카누에는 초대하지 않은 손님(?)들도 있었는데 그들은 바로 ‘키오레(kiore)’라고 불리는 ‘태평양 쥐(Pacific rat)’들로, 오늘날 역사학자들은 이 쥐들의 전파 경로를 통해 마오리들을 포함한 태평양 지역에서의 사람들의 이동 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지기로는 가축들 중 닭과 돼지는 당시 뉴질랜드까지 도착하지 못했으며 오직 쿠리와 쥐만 사람들과 함께 상륙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바람에 쿠리는 초기 마오리 정착민들에게 돼지 대신 주요한 단백질(protein) 공급원이 되기도 했다.

553 3.jpg
 ▲ 쿠리 털로 만든 외투(kahu kuri)

물론 쿠리는 모아(moa)나 물개(seals)를 사냥하는 사냥개로서 역할도 수행했고 특히 쥐를 방지하는 데도 쓰였으며 나아가 털가죽은 중요한 마오리 의례용 옷인 카후 쿠리(kahu kuri, 망토)를 만드는 데도 쓰였다.

오늘날에도 카후 쿠리는 박물관에서 간혹 볼 수 있는데 족장의 전투용 옷으로 알려진 이것은 만드는데 많은 공이 들어가는 진기한 물건으로 당연히 쿠리가 소멸된 이후에는 제작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이 밖에도 쿠리의 털은 무기의 일부분을 장식하거나 마오리 여성들이 춤을 출 때 사용하는 도구인 ‘포이(poi)’의 재료로도 사용됐다.

<캡틴 쿡 일행의 앞에 나타난 쿠리> 

이러한 쿠리가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바로 제임스 쿡 선장 일행이 뉴질랜드에 나타난 1769년부터이다.

당시 쿡 선장의 일행으로 동승했던 자연생물학자 조지 포스터(George Forster)의 기록에 따르면, 남북섬 간의 해협에 위치한 퀸 샬롯 사운드(Queen Charlotte Sound)에서 쿡 선장 일행을 보러 나타난 마오리들의 카누 가운데에는 여러 마리의 쿠리가 타고 있었다.

포스터는 긴 털과 함께 쫑긋한 귀를 가진 쿠리는 외형상으로 그 당시 유럽에서 기르던 일반적인 ‘셰퍼드(shepherd)’와 많이 닮았으며 사람을 잘 따르는 좋은 개였다면서, 선원들이 그 중 몇 마리를 샀지만 그 개들은 옛 주인이나 함께 있던 다른 개들과 떨어지자 밥도 제대로 안 먹는 등 침울한 모습을 보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쿠리의 존재는 이후에도 계속된 쿡 선장의 뉴질랜드 지역 탐사 당시 작성된 기록들을 통해 뉴질랜드 전역에서 널리 분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쿠리는 언제 소멸했나?> 

아직까지도 쿠리가 언제, 그리고 어떤 이유로 소멸됐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단지 1800년대 초기에 유럽에서의 각종 종류의 개들이 반입돼 이들과 자연스럽게 섞이면서 이후 점차 소멸 과정을 밟았다가 1870년대 이후에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보일 뿐 정확한 이유와 시기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다만 1800년 중반 이후에 나온 각종 기록을 보면 쿠리가 초기 정착민들의 농장이나 목장 경영에는 골치덩어리 같은 존재였다는 사실은 분명한데, 1848년에 ‘웰링톤 인디펜던트(Wellington Independent)’에 보내진 한 편지에 보면 쿠리가 정착민들 가축에게는 악마 같은 존재라고 묘사되어 있다.

또한 주인이 누구인지도 명확하지 않은 쿠리들이 들판을 자유스럽게 뛰어다닌다는 기록도 보이는데, 그러다 보니 정착민들 입장에서는 가축과 농작물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들을 모두 없애버리고 싶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553 4.jpg
▲ 하와이안 포이 독

한편 쿠리의 소멸과 관련해 하와이 원주민이 기르던 ‘하와이안 포이 독(hawaiian poi dog)’ 역시 쿠리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끈다.

일명 ‘일로(ilio)’로도 알려진 이 개 역시 쿡 선장의 하와이 탐험을 통해 처음 유럽에 알려진 후 이후 유럽의 개들이 하와이로 유입되면서 점차 개체 수가 작아지다가 20세기 초에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이 개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하와이 동물원 주도로 시행된 적도 있으나 12년 후에 작업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 후 더 이상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현재 하와이 포이 독으로 알려진 개들은 순종이 아니다.
 
<털과 뼈를 이용한 과학적 분석>

이번에 쿠리에 대해서 연구하고 나선 과학자는 생태학자인 프리실라 웨히(Priscilla Wehi) 박사와 GNS의 책임 연구원인 캐린 로저스(Karyne Rogers) 등 2명의 여성 과학자이다.

이들은 테 파파 등의 협조로 박제된 쿠리나 쿠리의 털가죽으로 만들어진 털옷으로부터 다양한 시대의 쿠리의 털 샘플을 확보해 이를 질소와 탄소동이원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털의 주인인 쿠리들이 어떤 종류의 먹이를 먹었는지를 밝혀내려 하고 있다.

이 분석법을 통하면 쿠리가 섭취했던 먹이가 주로 동물성이었는지 식물성이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과 그 이후 쿠리의 먹이가 어떻게 변화했으며 영양 상태가 어떠했는가, 나아가 바닷가와 내륙에 살던 개들이 얼마나 먹이 환경이 달랐으며 어느 쪽이 생활 환경이 좋았는지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고고학자의 협조를 받아 마오리들의 정착 이후인 14~15세기에 만들어진 쓰레기 더미에서 발굴된 오래된 쿠리의 뼈 2개의 분석을 통해서도 유사한 연구가 진행되며 연구는 향후 3년 여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진은 여기에 더해 마오리 사회에서 구전으로 전해 내려 오는 쿠리와 관계된 이야기들과 유럽인들의 정착시대에 나타난 기록들도 참조해 쿠리가 왜 이 땅에서 소멸됐는지에 대한 단초를 얻으려 하고 있다. 

<남섬지국장 서현> 

자신의 한계? 해보기 전까진 몰라

댓글 0 | 조회 2,615 | 2019.12.11
지난 11월 22일(금) 오클랜드의 스카이 시티(Sky City) 홀에서는 금년으로 12번째를 맞이한 ‘Attitude Awards’ 시상식이 열렸다.이날 수상을… 더보기

타학군 학교 진학 어려워질 듯

댓글 0 | 조회 4,969 | 2019.12.10
앞으로 타학군 학교 진학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현재 각 학교에 주어져 있는 학군 지정 권한을 교육부가 새로운 기관을 설립해 관리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교육부… 더보기

NZ 인구지도, 어떻게 변했나?

댓글 0 | 조회 6,381 | 2019.11.27
지난달 말 뉴질랜드 통계국(Stats NZ)은 2019년 6월 말 기준으로 전국 각 지역에서 1년 동안 인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잠정 추계한 자료를 발표했다.이… 더보기

잊혀진 실버 세대

댓글 0 | 조회 3,738 | 2019.11.26
정부가 최근 노년층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취업을 하려는 노인들을 돕고 연령차별주의를 없애 나간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 더보기

뉴질랜드는 ‘레지오넬라’의 수도?

댓글 0 | 조회 5,472 | 2019.11.13
한낮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가면서 계절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이 즈음이면매년 뉴질랜드 언론들에 등장하는 뉴스가 하나 있다.정원작업에 나설 때 ‘레지오넬라… 더보기

가난한 자식은 부모도 초청할 수 없는 나라

댓글 0 | 조회 8,381 | 2019.11.12
3년 동안 빗장을 걸어 잠궜던 부모초청이민이 마침내 내년 2월부터 다시 열린다. 그 동안 부모초청이민을 신청해놓고 기다렸던 대기자들이나 앞으로 부모를 초청할 계획… 더보기

한국계 시의원 등장한 2019 지방선거

댓글 0 | 조회 4,636 | 2019.10.23
뉴질랜드 각 지역의 일꾼들을 뽑는 ‘2019년 지방자체단체 선거(local elections)’가 끝났다.10월 12일(토) 정오에 마감됐던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더보기

우버 이츠가 업계에 몰고 온 변화

댓글 0 | 조회 8,275 | 2019.10.22
지난 2017년 3월 뉴질랜드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우버 이츠(Uber Eats)는 지난해 27억달러의 총매출을 기록하며 5.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우버 이… 더보기

표류하는 키위빌드 정책

댓글 0 | 조회 7,028 | 2019.10.09
노동당 정부가 7개월의 숙고 끝에 지난달 재조정한 ‘키위빌드(KiwiBuild)’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0년 동안 10만채의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더보기

다양성 더욱 뚜렷해진 NZ

댓글 0 | 조회 3,998 | 2019.10.09
논란이 많았던 ‘2018년 센서스(Census)’ 분석 결과가 실시된 지 1년도 훨씬 더 경과한지난 9월말에야 공식적으로 발표됐다.작년 센서스는 참여율이 목표였던… 더보기

왈라비! 너마저도......

댓글 0 | 조회 4,806 | 2019.09.25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왈라비(wallaby)’가 갈수록 국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왔다.이 소식을 전해 들은 교민… 더보기

위장결혼인가, 생이별인가

댓글 0 | 조회 7,667 | 2019.09.24
온라인 만남이 흔해지면서 이를 통해 발전한 파트너쉽 비자 신청이 증가하고 있고 기각 사례 또한 늘고 있는 실정이다. 기각 당한 신청자들은 그들의 관계가 사실인데도… 더보기

변화하는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7,623 | 2019.09.11
세계 금융위기 이후 뉴질랜드 주택시장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유례 없는 저금리 시대를 맞고 있는 현재도 주택시장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지난 10년 동안 집값이 … 더보기

뜨겁게 달아오르는 럭비 열기

댓글 0 | 조회 3,146 | 2019.09.11
최근 TV 화면에 ‘Sky TV’에 가입하라는 광고가 부쩍 늘었다. 이는 이달 20일(금)부터 시작되는 ‘2019 럭비 월드컵(Rugby World Cup)’ 때… 더보기

줄었지만 여전한 남녀 간 임금 격차

댓글 0 | 조회 3,310 | 2019.08.28
금년 들어 뉴질랜드의‘성별 임금 격차(gender pay gap)’가 1998년부터 자료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래 3번째 규모로 축소됐다.그러나 여전히 여성들은 남… 더보기

금리 마이너스 진입할까?

댓글 0 | 조회 4,484 | 2019.08.27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1%로 인하됐다.중앙은행은 지난 7일 기준금리를 기존 1.5%에서 1%로 0.5%포인트 낮추면서 향후 마이너스 금리도 가능하다며 추가… 더보기

오늘 저녁 반찬은 ‘메뚜기’ 볶음?

댓글 0 | 조회 3,956 | 2019.08.14
지난 7월 말 국내 언론에는, “곤충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등장한다면뉴질랜드인들은 ‘질겅질겅 씹기’ 보다는 ‘아삭아삭 깨물어 먹기’를 더 선호한다”는설문조사 결과가… 더보기

순자산의 일곱 계단

댓글 0 | 조회 3,618 | 2019.08.13
보통 뉴질랜드인들은 재정적으로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통계청은 뉴질랜드인들이 소유한 자산과 빌린 부채를 대규모로 조사해 그러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제시했다. 특… 더보기

다시 부는 이민 바람

댓글 0 | 조회 13,496 | 2019.07.23
한동안 감소했던 순이민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민정책을 강화하여 이민자가 크게 줄 것으로 예상했던 노동당 연립정부에서 순이민자 반등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더보기

하반기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댓글 0 | 조회 9,031 | 2019.07.10
상반기 부동산시장과 관련해서 정부의 양도소득세 도입 계획 철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사상최저 수준 인하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하반기에 부동산시장은 또 어떻게 … 더보기

위기의 뉴질랜드 임산부들

댓글 0 | 조회 7,247 | 2019.07.09
최근 국내 언론들에는 출산과 관련된 기사들이 빈번하게 등장했는데, 대부분이 관련 의료시설이나 인력 부족으로 분만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나 위기를 겪었다는 내용들이었… 더보기

유출 파문에 묻힌 ‘웰빙 예산’

댓글 0 | 조회 3,727 | 2019.06.26
정부는 올해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세계 최초의 ‘웰빙 예산’이라고 강조했다.해외 언론들에서도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며 관심있게 보도했다.그러나 정작 국내… 더보기

지구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댓글 0 | 조회 3,447 | 2019.06.25
▲ 목장에 등장한 플라스틱 울타리 기둥​만약 인류에게 ‘플라스틱(plastic)’ 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이 어땠을까?이런 질문은 의미가 없을 정도로 이미 인류에게… 더보기

마약 실태, 하수구를 보면 알 수 있다

댓글 0 | 조회 5,101 | 2019.06.12
지난 5월에 영국의 언론들은, 런던 인근의 시골 하천들에 서식하는 ‘민물새우(freshwater shrimp)’에서 마약 성분이 발견됐다고 일제히 보도한 바 있다… 더보기

외부고사 비중 늘어날 NCEA

댓글 0 | 조회 3,834 | 2019.06.11
교육부가 고등학교 학력 평가 제도인 NCEA(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의 내부평가 비중을 줄이고 외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