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더불어 사는 사회]-오늘도 달린다

[299] [더불어 사는 사회]-오늘도 달린다

0 개 4,382 코리아타임즈
또 한해가 저문다. 잠시 눈을 감고 지난 한해를 되돌아보면 밝은 기억보다는 순간순간 절망하거나 좌절한 때가 더 많았던 것 같다. 다가오는 2005년 을유년(乙酉年) 닭의 해에는 항상 좋은 일들만 일어나길 기대하면서…

어느덧 갑신년 한해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12월은 다사다난했던 한해를 정리하고 다시 희망찬 새해를 구상하며 설계하는 중요한 시기, 올해는 한국영화제 개막, 한국기업들의 대(對)뉴질랜드로의 활발한 투자, 지방선거에서 한국인 후보의 선전, 종합쇼핑센터 완공 등 굵직굵직하고 한국인으로서 대단한 자부심을 느낄만한 밝은 소식들이 상당수 있었지만 땀흘리며 열심히 사는 대다수의 교민들에게는 슬픈 소식이 더 많았던 한해로 기억될 것으로 보인다.  
  
근래에 있었던 한국인 실종, 사망사고 소식은 지켜보는 이들의 가슴을 안타깝게 했고, 특히 교민업체들의 '제살깎기'식의 과다출혈경쟁, 고의부도 및 사기사건들은 먼 이국땅에서의 새 삶에 심한 회의를 느끼게 해 주었으며 동시에 현 교민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슬픈 사건들이었다.

게다가 교민경제불황이 1년 넘게 장기간 지속되면서 문을 닫는 업체들이 속속 늘어나고 있고 고환율, 턱없이 높기 만한 이민문호 등으로 한국으로 돌아간 유학생, 예비이민자들이 수천명에 이르러 교민경제를 거의 파탄지경으로까지 몰고 가고 있는 상황이다.

노스쇼어에서 데어리샵을 운영중인 한 교민은 "불황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사상초유의 불경기에 '힘들다'는 아우성은 더 이상 뉴스거리가 아니다."며 "작년부터 시작된 경제불황이 도대체 언제쯤 끝나려나…"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Queen St에서 식당을 하고 있는 또 다른 교민은 "사실 이번 불경기가 처음은 아니다. IM F 등 극심한 경제위기 때마다 많은 이들이 앞으로 다가올지도 모를 두려움과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해 몸을 사리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며 "예전에 지혜 롭게 극복했던 것처럼 머지않아 다시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전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래도 희망은 있다…, 우리는 거리의 청소부
----------------------------------------
혹 어떤이는 말하기를 교민사회는 장기적인 경기침체의 어려움에 빠져 있어 도저히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라고 한다. 그러나 불경기로 모두가 살기 힘겨운 요즘, 서로 협조하며 꾸준하고 묵묵하게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지역사회의 발전에 헌신적으로 이바지하고 있는 이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어 연말이 그리 쓸쓸하고 우울하지만은 않아 보인다. 그들은 남몰래 다른이를 돕거나 지역커뮤니티 센터를 찾아 기부금을 내는 등의 세밑 온정으로 주위를 훈훈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18일(토) 오후2시 Queen St의 'Whitcoulls'앞, 매서운 겨울(?)바람이 불어 살이 에이는 듯한 느낌을 받자 마자 곧이어 구슬만한 우박과 함께 장대비가 쏟아졌다.하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학생들이 하나둘씩 모여들기 시작하더니 20분쯤이 지나자 금새10여명으로 늘어 났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에서 온 유학생들로 구성된 KVT(Korean Volunteer Team)소속 학생들로 올해 마지막 오클랜드 시내청소를 위해 한 자리에 모인 것이다. 여기에는 Ice Hu, Louis Lu 두 중국인 학생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현재 KVT는 선행(先行)단체인 일본학생위주의 '레인보우'를 흡수해 총 30여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국제학생 자원봉사단체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이들은 매주 토요일, 한손에는 비닐봉투, 다른 한손에는 집게를 들고 4명씩 조를 나누어서 2시간 동안 Queen St를 중심으로 K-rd, Albert St, Symond St를 돌아다니면서 각종 쓰레기를 주워담고 다시 정해진 장소에 버리고 있다.  
  
NZIOS에 다니고 있는 조원준씨는 "아시안에 대한 키위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기 위해 시작한 거리청소가 이제는 많은 이들의 호응을 받고 있고 특히 지나가던 키위들이 격려를 해줄 때 매우 기분이 좋다."며 "요즘 들어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안에 대한 잘못된 편견이 차츰 바뀌어간다라고 생각이 들때가 많아 큰 보람을 느끼고 있다."라고 말했다.

사실 조원준씨가 이일을 시작할 때만 해도 한국의 부모님은 '유학가서 공부나 하지 무슨 청소 일이냐"며 반대를 많이 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뿌듯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멤버인 박장렬씨는 "현지사회에서 뭔가 뜻있는 일을 하고 싶었는데 유학생 신분으로 쉽게 할 수있는 일이 청소라고 생각되어 KVT활동에 동참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한가지 안타까운 사실로는 깨끗한 거리를 만들고 한국인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청소하는 이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이 처해 있다는 것이다. 이름 그대로 자원 봉사활동이고 학생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보니 간단한 쓰레기 봉투구입서부터 모든 것들을 학생들 스스로가 사(私)비를 털어 해결하고 있다.

KVT의 리더역할을 하고 있는 아카데미 엠비션 유학원의 정우혁 사장에 따르면 "교민신문, 뉴질랜드 헤럴드 등에 몇번 기사가 나간 후에 한동안은 여러 종교 및 한인단체에서 지원이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KVT멤버들은 왼쪽 가슴에는 태극기가 그리고 뒷쪽에는 'Korean Volunteer Team'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찍힌 티셔츠를 입고 있었는데 이것 역시 좀더 체계적인 활동을 위해 학생들이 한국에서 직접 유니폼을 제작해 온 것이다.

부모님의 도움으로 KVT 티셔츠를 뉴질랜드로 가지고 온 유은영씨는 "KVT는 거의 유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멤버는 수시로 바뀌고 또 대부분 조만간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앞으로 유학생들만이 아닌 현지 교민들의 참여가 꾸준하게 이루어진다면 아마도 더 큰 성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조원준씨는 매월 KVT 모든 멤버들을 위해 식사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The Gard en 식당'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두가 잘 사는 지역사회를 위해
----------------------------
교민경제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커다란 장애라면 무엇보다 현지인이 아닌 교민상대 업종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업체가 살아 남기위해서는 서로 가격덤핑을 하게  되며 결국에는 상당수의 업체가 쓰러지고 치열한 경쟁 끝에 살아남은 업체도 더이상 버틸 힘이 남아 있지가 않게 된다. 불경기로 인식되고 있는 요즘 다른 지역의 한인 밀집상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곳을 찾아가 보았다.  
  
오네항아 쇼핑몰, 흔히 '드레스마트'라고 알려진 이 곳에는 현재 10여곳의 교민업체들이 성업 중이다. 교민들은 여기에서 생선가게, 자동차 정비, 비디오가게, 스시가게, 세탁소 등을 운영하고 있어 얼핏 보기에는 다른 지역의 한인상가와는 별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이 곳이 특별한 이유를 쉽게 찾을 수가 있다.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김만수 사장과 1시간 정도 얘기를 하고 있는 동안 평균 5분 간격으로 손님들이 와서 옆에 서있기가 미안할 정도였는데 신기한 것은 그들 중 단 한명의 한국손님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처음에 가게를 오픈했을 때는 아시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컸는지 크게 손님이 많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친절하고 성실하게 일하는 모습을 오랫동안 보여 주자 손님은 2배 이상(하루기준 70-80명선) 늘어났으며 그래서인지 지금은 단골손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드레스마트안에서 스마트스시를 운영중인 주옥종 사장은 "교민경제가 불황이라는 소식을 오래전부터 들었다. 하지만 여기 오네항아 쇼핑몰의 한인상가는 전부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비지니스를 운영중이기 때문에 커다란 타격없이 매출이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는 중이다."라며 "또한 교민끼리 동종업이 없어 사소한 다툼없이 잘 지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오네항아 한인 업체들은 교민들끼리 한인상가 번영회를 만들어 매월 친목도모를 하고 있으며 일정액의 회비를 거두어서 오네항아 커뮤니티에 도네이션을 하고 있다. 김만수 노량진 수산시장 대표는 "2년 가까이 오네항아 지역사회에 도네이션을 하면서 이 곳 주민들의 한국인들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호의적으로 바뀌었다. 더구나 영업스타일이 친절하고 매너좋기로 알려져 지역민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전 오네항아 타운매니저였던 Barbara Holloway는 "한국인들의 오네항아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은 정말로 남다르다. 그들이 전체 지역사회에 활력을 주고 있음은 틀림없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푸케코에서 토마토 농장을 경영중인 이경래씨는 "내가 만났던 뉴질랜더들은 한결같이 '한국인은 부지런하다'라고 말을 한다. 솔직히 현지인들이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가슴 뿌듯하며 자랑스러울 때가 많다."며 "우리를 인정해 주는 그들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우리 교민사회가 되었으면 하고 늘 바라고 있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사는 사회! 모든 교민들이 내일을 향한 희망을 갖고 살았으면 한다. 제2의 고향에서 사는 즐거움, 뭔가 이루었다는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면서 그리고 앞으로는 더 잘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생활한다면 새해에는 반드시 밝고 희망찬 일만 있게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343] 이민 정책과 아시안 이민

댓글 0 | 조회 4,525 | 2006.10.24
이민은 세계의 수백만 명 사람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국제적인 현상이다. 2002년 세계에서 1억 9천 1백만 명이 다른 나라로 이민했는데 선진국의 국민들이… 더보기

[342] 무서운 아이들, 교실이 위험하다

댓글 0 | 조회 4,157 | 2006.10.09
지난 주 목요일인 10월 5일은 유네스코가 지정 한 세계 교사의 날이었다. NZ Teachers Council 디렉터인 Peter Lind는 뉴질랜드 교육회(NZ… 더보기

[341] 오클랜드 7개 시 합병 집중분석

댓글 0 | 조회 4,133 | 2006.09.25
지난 달 ASB의 Main Report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의 16개 주요 지역의 경제 성장 성적표가 공개되었는데 뉴질랜드의 가장 큰 도시인 오클 랜드는 총점에서 … 더보기

[340] 뉴질랜드 경제 진단과 전망

댓글 0 | 조회 4,101 | 2006.09.11
현재의 뉴질랜드 경제 상황을 거론하는데 앞서 우선 많은 경제활동 지표들이 예상되었던 바를 상당히 앞질러 가고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GDP 성장과 고용, 주택시장… 더보기

[339] 2006년이 본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976 | 2006.08.21
뉴질랜드 정부는 다음 10년간 '경제개혁', '가정복 지', '국가 정체성'의 세 가지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경제 개혁'은 지식을 바탕으로 모든 이들에게 기… 더보기

[338] 범죄의 물결, "몸조심 하십시오"

댓글 0 | 조회 4,529 | 2006.08.07
신문을 꾸준히 보는 사람이라면 요즘 뉴질랜드의 각종 범죄 뉴스들이 피부에 와 닿을 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나라'임을 주… 더보기

[337] 노년을 위한 저축 충분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4,157 | 2006.07.24
웨스트팩 은행의 조사 결과 작년 가계지출은 수입보다 14%나 많았다. 돈 쓸 곳은 너무 많고, 돈 쓰기도 너무 쉬운 세상이다. 반대로 말하면 모으기도 그만큼 힘든… 더보기

[336] NZ, 지금이 아시아를 알 때다

댓글 0 | 조회 3,563 | 2006.07.10
세계는 점점 아시아를 중심으로 모든 경제와 산업, 무역이 집중되고 있다. 아시아는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과 서비스 시장을 또한 급… 더보기

[335] NZ는 당신의 기술이 필요하다

댓글 0 | 조회 4,070 | 2006.06.26
(표:기술 이민자들의 이민 전 종사 직종 분류(2006, 노동부) 최근 뉴질랜드는 소위 선진국들 중에서 기술 인 력이 가장 부족한 나라로 조사되었다. OECD 국… 더보기

[334]유학생과 교민경제

댓글 0 | 조회 4,191 | 2006.06.12
요즘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수업 시간은 교사와 학생이 바뀌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고 한다."선생님! 그 단어 발음이 틀렸는데요." ?선생님! 해석이 이상해요." 미국… 더보기

[333]세금, 너무 많이 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4,048 | 2006.05.22
호주가 최근 파격적으로 개정된 개인소득세 세율을 새로 내놓으면서 뉴질랜더들은 그에 대해 은근히 부러움의 눈빛을 내비치는 한편, 정부의 세율 정책에 대한 비난으로 … 더보기

[332] 씨티 통행료,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

댓글 0 | 조회 3,910 | 2006.05.08
정부는 출근시간 시내 진입으로 인한 교통정체 해결을 위해 진입 차량에 통행료를 부과할 태세다. 통행료 부과가 정체를 얼마나 해결할 지 두고 봐야 하겠지만 시민들 … 더보기

[331] 뉴질랜드는 선진국(?) 후진국(?)

댓글 0 | 조회 5,565 | 2006.04.24
매년 국제적 컨설팅그룹인 MHRC가 발표하는 세계도시들의 '삶의 질'평가에서 항상 10위권내 를 기록하는 뉴질랜드 도시들, 그러나 '유가' '환율' '금리'등 3… 더보기

[330] 환율, 이민 그리고 교민경제

댓글 0 | 조회 6,185 | 2006.04.10
연초 이후 급속한 환율변동 즉 원 달러 환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한국에서는 다시 해외 유학 붐이 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과연 그러한 추세가 뉴질랜드에까… 더보기

[329] 뉴질랜드에서는 공부하기 싫다(?)

댓글 0 | 조회 5,318 | 2006.03.27
반(反)뉴 정서확산 및 까다로운 비자발급 등으로 외국유학생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소식은 이제 큰 뉴스거리에도 끼지 못할 정도로 진부한 얘기가 되어버린지 오래다.… 더보기

[328] 풀타임 평균 시급은 7불(?)

댓글 0 | 조회 5,411 | 2006.03.13
'난 세금 제외하고 6불인데 넌 얼마를 받니?' '나도 너와 별반 다르지 않아, 6.5불정도…' 3월초 현재 뉴질랜드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9.5불(세금포함)이지만… 더보기

[327] 수술대에 올려야 할 NZ 의료시스템

댓글 0 | 조회 3,969 | 2006.02.27
지난 16일, Skilled Migrants에서는 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삶의 만족도'결과를 발표했는데 '불만족'보다 한단계 위인 '충격과 경악(Shocks … 더보기

[326] 학교는 있다! 없다?

댓글 0 | 조회 3,878 | 2006.02.15
'무전유죄(無錢有罪), 유전무죄(有錢無罪)'라는 말이 세계 최고수준의 교육시스템을 가진 뉴질랜드 실정에 딱 들어 맞는다면 …, 요즘 교육부의 정책은 형평성과 일관… 더보기

[325] 불확실한 미래 … 투자ㆍ소비↓

댓글 0 | 조회 3,675 | 2006.01.31
불과 작년만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가장 낮은 실업률과 기업환경평가 1위를 자 랑하던 뉴질랜드가 연초부터 '환율 폭탄'에 휘청거리며 사상초유의 대량해고 … 더보기

[324] 이민부의 계속되는 추격전

댓글 0 | 조회 4,741 | 2006.01.16
이민부는 오랫동안 아시안 이민자들을 절망의 상황으로 몰고 갔던 신기술이민법의 의향서 패스마크를 작년말 갑자기 140점으로 상향 조정하더니 새해벽두부터는 '위장결혼… 더보기

[323] 교민경제 살리는 유학생

댓글 0 | 조회 4,289 | 2005.12.22
어느듯 올해도 한해를 정리하고 새로운 희망을 설계하는 12월이 왔지만 주위를 둘러보아도 들뜬 분위기보다는 차분하다 못해 우울한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특히 올 한… 더보기

[322] 최고의 도시를 꿈꾸는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5,718 | 2005.12.12
뉴질랜드 전인구의 약 3분의 1이 살고 있는 광역 오클랜드시티, 지난해 '세계도시들의 삶의 질 평가'에서 이웃나라 호주의 시드니, 덴마크의 코펜하겐 등과 함께 공… 더보기

[321] 이민부, '서비스에도 눈높이가 있다(?)'

댓글 0 | 조회 4,016 | 2005.11.21
Queen St 450번지에 위치한 AK 이민부, 체류연장을 위한 비자문제로 누구나 한번쯤은 반드시방문해야 할 오클랜드 '명소(?)'가 된지 오래지만 그에 반해 … 더보기

[320] `지속적 금리인상` NZ경제 어디로

댓글 0 | 조회 3,609 | 2005.11.11
지난달 27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OCR)를 또 인상했다. 사상최고인 7%대에 진입한 금리 는 높아진 유가 및 기타비용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할 꾸준한 잠재성을… 더보기

[319] 헬렌 클락 새정부 공식 출범

댓글 0 | 조회 3,031 | 2005.10.25
노동당 VS NZ제일당 … 피터스 총재가 외무부 장관이라니 이제 더이상의 아시안 이민은 없다(?) 결국 노동당의 선택은 녹색당(6석)이 아닌 NZ제일당이었다. 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