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면(熟眠) vs 불면(不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이현숙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멜리사 리
수필기행
조기조
김지향
송하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박종배
새움터
동진
이동온
피터 황
이현숙
변상호경관
마리리
마이클 킴
조병철
정윤성
김영나
여실지
Jessica Phuang
정상화
휴람
송영림
월드비전
독자기고
이신

숙면(熟眠) vs 불면(不眠)

0 개 1,568 박명윤

“인생의 3분의 1을 바꾸면 나머지 3분의 2도 움직인다!” 인간의 순수 수면시간은 일생동안 평균 26년 정도 잔다고 한다. 수면(잠)은 인생의 1/3을 차지할 만큼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현대인들에게 건강한 수면은 어렵고 힘든 과제이다. 불면증(不眠症)으로 시달리는 사람은 수면제(睡眠劑)가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수면이 단순히 하룻밤 적게 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부족한 잠이 ‘빚’ 처럼 몸에 쌓여 수면부채((睡眠負債)로 작용한다. 

 

즉, 수면 부족의 축적은 반드시 갚아야 한다는 점에서 금전적인 빚과 같아 ‘수면 빚(sleep debt)’으로 인한 졸음은 크고 작은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같은 시간 동안 ‘굶는 것’ 보다 ‘자지 않는 것’이 더 죽을 위험이 높다. 만일 잠을 제대로 못 자는 생활이 지속되면 뇌(腦)에 노폐물이 누적되기 때문에 면역력(免疫力)에 관계된 기관의 활동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바이러스, 세균 감염 등에 매우 취약한 상태가 된다. 

 

영국에서 잡지 ‘Idler(게으름뱅이)’를 발행하는 톰 호지킨슨(Tom Hodgekinson)은 2005년에 출간한 그의 저서 <How To Be Idle(게으름을 떳떳하게 즐기는 법)>에서 “잠이야말로 인생을 살며 누리는 가장 중요한 기쁨 가운데 하나이자, 슬픔을 이기게 해주는 좋은 친구이며, 창의적 생산성의 원천이므로 덜 일하고 더 많이 자라”고 권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6년 조사에서 한국인의 평균 수면(睡眠) 시간이 꼴찌로 나타났다. 즉, OECD 34개 회원국의 평균인 8시간 22분보다 41분이나 짧은 7시간 41분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그보다 1시간 30분 이상 더 줄어 6시간 6분을 자는 것으로 조사됐다. 순수 수면시간이란 그냥 눈 감고 뒤척거리면서 정신이 있는 시간을 제외한 뇌파(腦波)가 완전히 수면 상태의 뇌파를 발생시켜야 한다. 

 

한편 로열필립스 글로벌임상연구소가 2015년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한국인 500명을 비롯해 총 10개국 8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면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수면에 대한 세계의 시각’에 따르면. 한국은 응답자의 43%가 ‘일에 대한 걱정이 수면을 방해 한다’고 답해 조사대상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쉴 틈 없이 일하고, 어쩌다 쉬는 동안에도 ‘일’ 생각을 해야 하는 생활 탓에 우리 뇌는 피로한 상태가 된다. 한국 다음으로 브라질(33%), 중국(3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불면증(不眠症)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9년 30만 5,029명에서 2014년 48만 7,202명으로 5년 새 약 18만 2,000명이 증가했다. 이는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onin)이 어두울 때 간뇌(間腦) 등면에 돌출해 있는 내분비선인 송과선(松科腺)에서 분비되는데, TV,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내뿜는 ‘빛 공해(公害)’가 이 호르몬의 분비를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가 유독 심하긴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잠이 위기에 처한 건 분명하다. 이에 세계수면학회(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 WASM)는 수면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하기 위해 2008년부터 매년 밤낮의 길이가 똑같아지는 춘분(春分, 금년은 3월 21일) 바로 전 금요일(3월 16일)을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로 정했다. 전 세계 각국에서 수면의 중요성과 건강한 수면을 위한 지침을 일반인들에게 알리고자 각종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수면학회(Korean Society of Sleep Medicine) 주최로 전국 각지의 병원 및 학교에서 3월 한 달 동안 ‘수면’ 관련 강연을 실시한다. 2018년 ‘수면의 날’ 슬로건은 ‘건강한 수면리듬, 건강한 삶’(Join the Sleep World, Preserve Your Rhythms to Enjoy Life)이다. 즉, 건강한 생체리듬과 그에 따르는 건강한 수면리듬이 우리의 수면뿐만 아니가 건강한 삶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슬로건이다.

 

올해의 슬로건은 2017년 노벨 생리ㆍ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을 기념하는 의미도 있다. 즉, 지난해 우리 몸의 생체리듬(하루주기리듬)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발견한 미국의 Jeffrey C. Hall 교수(메인大), Michael Rosbash 교수(브란다이스大), Michael W. Young 교수(록펠러大) 등 과학자 3명이 공동수상했다. 

 

사람의 몸은 24시간을 주기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생체리듬을 갖고 있는데, 이를 생체시계(生體時計, Biological Clock)라고 부른다. ‘하루주기리듬’ 또는 ‘일주기리듬’으로 불리는 생체리듬은 약 24시간의 주기를 가지고 수면과 각성(覺醒), 호르몬 분비, 신진대사, 체온 등의 중요한 신체 및 정신기능을 조절한다. 생체시계와 하루주기리듬은 우리 몸에 내인성으로 존재하는 것이지만 환경의 자극에 영향을 받는다. 환경자극 중에 가장 중요한 자극이 빛(光)이다. 

 

빛은 눈으로 들어와 망막(網膜)에서 생체시계로 신호가 전달되어 낮에는 생체시계의 활발한 활동을 도와주어 깨어있게 만들고, 빛이 없는 밤에는 생체시계가 비활동성이 되면서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밤에 빛이 들어오면 비활동성이던 생체시계가 활발해져서 각성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야간에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의 분비가 억제된다. 이는 야간에 밖에서 빛이 환하게 들어오는 방에서 자면 잠이 방해되는 것과 낮에 잠을 자야하는 야간근무자들이 잠을 잘 못 자는 이유이다.  

 

자신의 하루주기리듬과 생활리듬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수면 및 숙면(熟眠)을 취하기 어려워 수면부족(睡眠不足)에 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성인의 권장 수면시간인 7-8시간 동안 자는 것을 게으름, 단순한 휴식 등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수면 시간을 줄여 ‘멍한 상태’로 오래 일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좋은 업무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인간의 생체 리듬은 24.3시간이므로 자연의 변동 주기인 24시간에 가깝다. 생체주기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크게는 일반형(정상형), 저녁형(지연형), 아침형(조기형)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생체주기는 뇌의 시신경 교차 상부핵의 유전자 양상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조절된다.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것이므로 생체 리듬을 강제적으로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나이와 생체시계를 고려해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서 습관을 들이면 큰 부작용을 줄이면서 원하는 생체 주기를 만들 수도 있다.   

 

잠든 직후 90분을 ‘수면의 골든타임’이라고 부르며, 이 때는 뇌의 내정상태 회로(default mode network: DMN)까지도 활동을 멈춘다. 장시간 깨어 있으면 ‘자고 싶다’라는 수면 욕구, 즉 수면 압력이 커지는데 첫 번째 논렘수면(nonREM sleep)에서 수면 압력의 대부분이 해소된다. 황금수면시간 90분의 질을 높이면 상쾌한 아침을 맞이할 수 있다. 그리고 낮 시간의 졸음도 사라진다. 

 

하루에 8시간 자고도 졸리는 사람과 6시간 자고도 기분이 개운한 사람의 차이는 숙면을 결정짓는 황금시간 90분으로 결정된다. 황금 시간 90분은 체온과 뇌에 의해 결정된다. 밤에 질이 좋은 잠을 자기 위해서는 낮 동안 완벽하게 깨어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면에 도움을 주는 음식, 최적화된 조명과 환경, 숙면에 도움을 주는 침구류(寢具類) 등도 중요하다. 

 

대한수면학회가 권장하는 <건강한 수면을 위한 생활지침>은 다음과 같다. ▲규칙적인 수면시간과 기상 시간을 유지한다. ▲주말에 지나치게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습관은 피한다. 이러한 습관은 짧은 기간 동안 3-4시간의 시차(時差)가 있는 곳으로 여행을 갔다 돌아오는 것과 같다. ▲규칙적인 생활과 함께 낮에는 밝은 빛을 쬐고, 야간에는 빛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친 카페인 섭취와 음주를 삼가 한다. ▲낮에 졸려 낮잠을 자는 경우 30-40분 이하로 잔다. ▲저녁 늦게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을 하는 것은 잠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피한다. 

 

밤늦게까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저녁에는 집안 조명도 지나치게 환하지 않게 유지하고 화장실의 조명도 작고 밝지 않은 것이 좋다.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시간에도 낮에 졸리거나 피곤하고,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수면장애는‘수면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잠(수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에 5-6시간, 되도록 7-8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해야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잠이 보약” 즉, 좋은 잠이 건강한 인생을 좌우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남아도는 ‘쌀’ 해결

댓글 0 | 조회 1,941 | 2023.04.21
요즘 ‘천원의 아침밥’이 이슈다. 천원의 아침밥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대학생들의 아침밥 먹는 문화를 확산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 더보기

대장암(大腸癌, Colon Cancer)

댓글 0 | 조회 1,594 | 2023.04.07
“보라! 우리는 기쁨에 넘쳐 자유의 횃불을 올린다. 보라! 우리는 캄캄한 밤의 침묵에 자유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一翼)임을 자랑한다...(중략)...보라!… 더보기

췌장암(膵臟癌)

댓글 0 | 조회 931 | 2023.03.24
<73세에 시작한 마라톤 88할(세)때까지 달린다>란 제목의 책자를 발간한 필자의 고등학교 동창생 L박사(행정학)가 지난 2월에 췌장암(膵臟癌) 말기 … 더보기

지구의 아픔을 함께 나눈다

댓글 0 | 조회 810 | 2023.03.10
사순절(四旬節, Lent)이란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절제하는 생활, 기도, 금식에 초점을 두는 교회력(敎會曆)의 한 절기이다. 올해 사순절은 … 더보기

쾌면(快眠) 건강법

댓글 0 | 조회 1,004 | 2023.02.24
동양의학에서는 건강을 자연과의 조화로 판단하고 쾌식(快食), 쾌면(快眠), 쾌변(快便)을 건강의 척도로 삼고, 이 세 가지를 삼쾌(三快)라 하여 매우 중시했다. … 더보기

‘詩’처럼 살다간 배우 윤정희

댓글 0 | 조회 1,420 | 2023.02.10
윤정희(79•尹靜姬 본명:孫美子) ‘은막(銀幕)의 스타’가 1월 19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다. 남편인 피아니스트 백건우(77•白建宇)는 “제 아내이자 오… 더보기

인구감소 그리고 인구절벽

댓글 0 | 조회 1,979 | 2023.01.27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5년 단위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대응 예산을 편성해 16년간 280조원을 쏟아 부었지만 출산율(出産率)은 더 떨어졌… 더보기

2022년 사자성어와 2023년 트랜드

댓글 0 | 조회 1,128 | 2023.01.13
희망찬 새해 2023년 계묘년(癸卯年) 토끼해를 맞아 종교지도자들은 신년사(新年辭)를 통해 혐오와 갈등이 팽배한 한국사회에 증오와 분노를 넘어서는 인내와 참회, … 더보기

‘중국발 코로나’ 막아라

댓글 0 | 조회 3,357 | 2023.01.06
조선일보가 12월 26일자 신문에 보도한 <조선일보 선정 2022년 10대 뉴스>에는 국내와 국제 뉴스가 10개씩 선정되었다. 국제 10대 뉴스에는 &… 더보기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댓글 0 | 조회 1,954 | 2023.01.0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서 회복한 후 코로나 후유증(long covid)을 겪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국내외 여러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더보기

김치의 날(Kimchi Day), 김치 예찬

댓글 0 | 조회 1,067 | 2022.12.16
마름달 스무이틀날(11월 22일, 순우리말 표기)은 김치산업의 진흥과 김치문화를 계승•발전하고 국민에게 김치의 영양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20년에 제… 더보기

동절기 코로나 재유행 불가피

댓글 0 | 조회 1,419 | 2022.12.03
미국과 유럽에서도 올겨울 코로나(COVID-19)와 독감(Influenza), RSV(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등 세 가지 감염병(感染病)이 동시에 유행하는 … 더보기

눈(目)의 날

댓글 0 | 조회 962 | 2022.11.18
“몸이 1000냥(兩)이면 눈은 900냥(兩)”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눈은 우리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인간은 다른 감각에 비해 시각에 대한 의존… 더보기

걷기 운동

댓글 0 | 조회 960 | 2022.11.04
‘2022 서울 걷자 페스티벌’이 지난 9월 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출발해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을 거쳐 종묘(宗廟)와 창덕궁(昌德宮) 사이를… 더보기

金玉吉·金東吉 교수 추모

댓글 0 | 조회 1,298 | 2022.10.21
김옥길•김동길 남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우리나라 보수진영 원로 인사인 김동길(山南 金東吉) 연세대 사학과 명예교수(부총장 역임)가 향… 더보기

여왕의 마지막 길

댓글 0 | 조회 1,211 | 2022.10.07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은 지난해 4월 남편 필립공의 사망 이후 쇠약해진 모습을 보여 왔다. 지난해 1월 병원에 하루 입원했고, 이후 외부 활동을 자제해 왔다. 9월… 더보기

환절기 심·뇌혈관 질환자 증가

댓글 0 | 조회 1,005 | 2022.09.24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9월 첫째 주(1-7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으로 지정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더보기

유방암(乳房癌) 그리고 척추암(脊椎癌)

댓글 0 | 조회 1,195 | 2022.09.09
CNN Breaking News: Singer and Actress Olivia Newton-John dead at age 73. CNN 방송은 뉴스 속보로 가수… 더보기

건강수명, 제자리걸음

댓글 0 | 조회 818 | 2022.08.20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인간의 최대 욕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다. 창조주는 인간에게 삶은 허락했지만 죽음을 피할 능력은 주지 않았으므로 이 세상에서 생명을… 더보기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

댓글 0 | 조회 1,916 | 2022.08.06
고혈압(高血壓)은 ‘소리 없는 죽음의 악마’ ‘침묵의 살인자’라고 할 정도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연구결과 전 세계 사망에 대한 … 더보기

BA.5 변이와 코로나 재유행

댓글 0 | 조회 2,240 | 2022.07.22
코로나19(COVID-19) 재유행(再流行)에 대한 불안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근 한 주(6월20-26일) 동안… 더보기

식량안보 목표치

댓글 0 | 조회 2,328 | 2022.07.09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산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Food Price Index)는 지난 5월에 173.4를 기록하며 통계를 작성한 1990년 1월 이후 최고… 더보기

코로나 감염 요인들

댓글 0 | 조회 2,547 | 2022.06.30
20세기 인류의 목숨을 대량으로 앗아간 치명적 사건은 전쟁이 아니라 호흡기 전염병이었다. 즉, 1918년 스페인 독감(Spanish flu, 5천만명 사망 추정)… 더보기

국민 MC, 天國 노래자랑 MC로...

댓글 0 | 조회 2,392 | 2022.06.25
필자 부부는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11시 주일예배를 드린 후 연희동 소재 식당에서 오찬을 하면서 TV에서 방… 더보기

전립선암(前立腺癌)

댓글 0 | 조회 1,032 | 2022.06.11
김지하(金芝河) 시인이 1년여의 전립선암 투병 끝에 지난 5월 8일 원주시 자택에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시인은 7일부터 죽조차 먹기 힘들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