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에 대한 그릇된 편견

이민에 대한 그릇된 편견

1 10,353 JJW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전세계에서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이민자 유입이 매달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뉴질랜드에서도 오는 9월 실시되는 총선에서 이민의 부정적인 영향이 집중 부각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민이 일반인이 생각하는만큼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ba534dbdec6796b8d3758d77719cff63_1487744382_0796.png
 

 

9월 총선에서 이민 정책이 쟁점될 듯

지난해 기록적인 이민자 수가 발표된 가운데 뉴질랜드에서는 일자리를 찾아 온 이주 노동자와 상승하는 집값 등을 두고 우려가 불거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가 지난해 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인들은 타국에 비해 대체로 이민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유지하고 있지만 동시에 과반 이상이 이민자 수가 더 이상 늘어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뉴질랜드로 향하는 장기 거주 입국자 수는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년 이상 장기 거주 목적으로 뉴질랜드에 입국한 이민자 수가 12만7,305명이며, 뉴질랜드에서 해외로 떠난 이주자 숫자 5만6,717명을 뺀 순수 이민자 수가 7만588명으로 최고를 기록했다.

 

게다가 4만1,576명으로 늘어난 워크비자 발급 건수가 순수 이민자 수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일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가고 있다. 

 

이민자로 인한 인구 증가로 인해 이미 공급부족 상태인 주택시장을 더욱 과열시키고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납세자들의 비용 부담을 증가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뉴질랜드 정부는 이미 지난해 10월 영주권 승인 수를 앞으로 2년 동안 5,000명 줄이고 영어 조건도 강화했다. 

 

이민자와 집값 상승

이민자 유입이 지속되면서 이민자들이 집값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입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집을 구입할 수 있을 만큼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싱크 탱크‘뉴질랜드 이니셔티브(New Zealand Initia¬tive)’가 지난달 발표한‘새로운 뉴질랜드인, 이민자들이 훌륭한 키위가 되는 이유’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민자들이 주택시장에 분명히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그것은 생각만큼 단순하지 않다는 것이다.

임시비자로 뉴질랜드에 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집을 사지 않고 렌트로 살기 때문에 렌트시장에서 키위들과 경쟁하고 있지만 그 영향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장기 거주 목적 입국자 12만7,305명가운데 영주비자 소지자는 1만6,535명으로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워크비자, 학생비자, 뉴질랜드 및 호주 시민권자였다.

 

오클랜드 렌트비는 지난해 9월 기준 연간 0.2% 상승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임시비자로 많은 사람들이 들어왔지만 렌트비 상승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이민 현황이 영구 이민의 실상을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공항 등에서의 입출국 서류를 기초로 매달 집계되는 통계청 이민 자료는 영주비자를 가지고 뉴질랜드에서 영구히 살기 위해 입국한 흔히 생각하는 이민자 뿐아니라 1년 이상 장기 거주 목적으로 입국하는 워크비자, 학생비자, 방문객비자, 뉴질랜드 및 호주 시민권자 등을 포함하고, 이들의 비중이 휠씬 크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민자 수를 왜곡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입국 서류에 뉴질랜드에 적어도 1년 이상 거주할 예정이라고 적어 내면 실제 체류 기간에 관계없이 영구 이민으로 집계된다.

 

학생비자를 가지고 뉴질랜드에서 공부를 한 유학생 5명중 4명은 졸업후 뉴질랜드를 떠났고 19%만이 5년후 영주비자를 취득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 자세한 이민 현황은 이민부의 영주권 승인 자료에서 볼 수 있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1년 동안 5만2,052명이 영주권을 승인받은 가운데 중국이 9,360명으로 가장 많고 한국은 1,125명으로 9위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 빌 코크레인(Bill Cochraine)과 작쿠스 푸트(Jacques Poot)는 집값 상승의 원인을 해외에서 돌아오거나 뉴질랜드에 남아있는 키위들에 지목했다.

 

보고서는“뉴질랜드를 떠나지 않는 사람들을 세는 일도 중요하다. 뉴질랜드 경제 호전으로 해외에 있는 많은 키위들이 돌아오고 있고 해외로 떠나는 키위들도 줄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뉴질랜드 시민권자 순유출은 1,800명에 불과했다. 이는 4년 전보다 3만7,000명이나 감소한 것이다.

 

이민자와 일자리 잠식

이민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민자들이 뉴질랜드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뉴질랜드 이니셔티브’의 보고서에는 이를 지지할만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보고서는“이는 일자리 수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민자들은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뉴질랜드인들이 꺼려하는 일을 이민자들이 하거나, 이민자들이 일하는 분야의 규모를 증대시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ba534dbdec6796b8d3758d77719cff63_1487744523_627.png
 

 

이민자와 경제 기여

이민자들은 세금을 덜 내고 복지제도에 의존한다는 주장도 이민 반대론자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

 

대표적인 반이민 정당인 뉴질랜드 퍼스트(New Zealand First)당은 이민자들이 늦은 나이에 뉴질랜드에 와서 직접적인 세금을 내지 않다가 65세가 되면 노령연금을 전액 받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민자들이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사람들보다 복지수당을 덜 청구하고 그들의 자녀들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있다고 반박했다.

 

1인당 경제 기여도도 이민자가 뉴질랜드 태생 사람보다 휠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민 반대론자들의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이민자들이 정부 재정에 기여한 규모는 29억달러로 이민자 1인당 2,653달러로 환산됐다.

 

반면에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5억4,000만달러로 1인당 172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결과가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노령화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극단적인 예로 이민자들이 일을 하지 않더라도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면서 사업체들은 고객이 늘어나고 이민의 순효과는 뉴질랜드 경제 순환에 투입된 이민자들의 돈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보고서는“모든 조사를 종합해 보면 뉴질랜드는 이민으로 혜택을 보거나, 적어도 나빠지지지는 않고 있다”며“이민자들이 뉴질랜드인의 일자리를 빼앗고 집값을 올려 놓았다는 인식은 과장됐다”고 평가했다.

 

이민 전문가들은 이러한 인식이 빨리 개선되지 않으면 커뮤니티간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매시 대학의 폴 스푼리(Paul Spoonley) 교수는“총선의 해를 맞아 이민의 부정적인 측면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도 올해 이민에 대한 논쟁을 가열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집값 상승 및 일자리 잠식과 달리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도로, 학교, 병원 등 뉴질랜드 인프라에 압력을 주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보고서는 인프라 압력을 덜기 위해 이민을 축소하기 보다는 입국하는 이민자에 특별 분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대해 마이클 우드하우스(Michael Woodhouse) 이민장관은 입국하는 이민자의 상당수가 워크비자로 한시적으로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에게 인프라 조성을 위한 분담금을 부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우드하우스 장관은 또한 영주권자들은 직장에서 일하거나 사업을 해서 세금을 납부하게 되는데 이들에게 분담금을 부과하는 것은 이중으로 세금을 납부하게 되어 공평하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인프라 분담금 이외에도 이민에 대한 몇 가지 정책을 건의했는데, 그 가운데 기술이민에 대한 심사를 사업체에 위임해야 한다는 내용이 이채롭다. 

 

“어떤 상품이 뉴질랜드에 얼마나 많이 수입돼야 하는지는 자유시장 체제에서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에 필요한 숙련 인력의 수와 형태는 정부의 간섭없이 사업체에서 결정해야 한다. 만약 어떤 사업체가 숙련 이민자를 고용하기를 원하는데 정부가 개입해 그들의 자격과 기술을 심사해야 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보고서는 또한 워킹홀리데이 협정을 확대해 국가간 이민 협정을 체결해서 이민자들이 뉴질랜드에서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비자 제도를 제안했다.

 

야옹이7
이민법이 또 바뀔까봐 노심초사하는 일인..ㅠㅠ

재산세 폭탄 … 평균 15% 인상 전망

댓글 0 | 조회 3,745 | 8일전
물가 급등의 긴 그림자가 재산세까지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작년에 이미 10% 가까운 평균 인상률을 보였던 재산세가 지방 카운슬들의 각종 사업 비용이 상승하면서 올… 더보기

이슈로 다시 등장한 ‘갱단 단속법 개정안’

댓글 0 | 조회 1,894 | 9일전
국민당 주도 새 연립정부가 지난해 10월 총선 캠페인에서 공약하고 실제로 집권 후 마련한 ‘100일 계획’ 중 하나로 발표했던 새로운 갱단 관련 법률안에 대한 주… 더보기

깜짝! 50달러 지폐가 왜 나무둥치 밑에…

댓글 0 | 조회 4,771 | 2024.03.27
평범한 두 명의 뉴질랜드 시민이 50달러 지폐를 우리 주변의 은밀한 장소에 숨긴 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올려 다른 사람이 찾아가도록 하는 ‘… 더보기

갑자기 불어닥친 언론 한파

댓글 0 | 조회 2,404 | 2024.03.26
오는 7월부터 텔레비전 채널 3에서 모든 뉴스 프로그램이 사라진다. 또 채널 1에서도 5월 중순부터 저녁 6시 뉴스 이외의 모든 뉴스 프로그램과 대표적인 시사 프… 더보기

가는 뉴질랜드인, 오는 외국인

댓글 0 | 조회 5,215 | 2024.03.13
작년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이민 순유출이 사상 최고를 보인 반면에 비시민권자의 이민 순유입도 사상 최고를 기록하며 대조를 이루었다.또한 인구의 자연 증가율이 194… 더보기

철로, 말발굽에서 튄 불꽃이…

댓글 0 | 조회 1,637 | 2024.03.13
여름이 지나고 계절이 가을로 접어들었지만 전국 곳곳에서 산불을 비롯해 야외에서 일어난 화재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지난 2월 중순 크라이스트처치의 ‘포트 힐스(… 더보기

‘오커스’ 합류가 뉴질랜드의 최선 이익인가?

댓글 0 | 조회 3,004 | 2024.02.28
국민당 주도 3당 연립정부 출범 이후 호주, 영국, 미국의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 Australia-United Kingdom-United States)… 더보기

“2월 14일만 되면…” 고난 겪는 ‘Captain Cook’

댓글 0 | 조회 1,513 | 2024.02.27
매년 2월 14일이 되면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밸런타인 데이’를 맞아 초콜릿을 비롯한 갖가지 상품을 내걸고 연인들을 유혹한다.하지만 이날이면 수난을 당하는 역사… 더보기

빚의 덫에 빠진 사람들

댓글 0 | 조회 4,954 | 2024.02.14
뉴질랜드 인구의 약 10%인 56만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들이 사회개발부, 법무부, IRD 등 정부기관에 오랜 기간 갚지 않은 빚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더보기

강진과 자연재해 “더 세고 더 자주 온다”

댓글 0 | 조회 2,173 | 2024.02.14
2월 초 뉴질랜드 언론들은, 중앙 정부가 앞으로 더욱 빈발할 기상 재해와 함께 그리 멀지 않은 미래, 당장 내일일 수도 있는 때 나라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는 ‘… 더보기

새학기 “학부모 허리 휘게 하는 교복”

댓글 0 | 조회 3,447 | 2024.01.31
​최근 새 학년도 출발을 앞두고 뉴질랜드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교복 마련에 허리가 휘고 있다는 기사가 여러 차례 국내 언론에 실렸다.실제로 팬데믹을 거치며 엄청난 … 더보기

2024년 주택시장 예측

댓글 0 | 조회 5,249 | 2024.01.30
올해 주택시장이 거의 2년간의 침체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이민 증가로 주택수요가 늘고 금리는 궁극적으로 하락해 주택시장에 활기를 … 더보기

땜방식 비자 정책에 설 곳 잃은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4,351 | 2024.01.17
이민 당국의 비자 정책이 자주 바뀌면서 뉴질랜드에 정착하려는 많은 이민자들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는 등 뜻하지 않은 상황에 맞닥뜨리고 있다. 이민 관련 단체들은 이… 더보기

10만 년 이래 가장 더웠던 지구, 뉴질랜드는?

댓글 0 | 조회 3,877 | 2024.01.16
지구가 그야말로 펄펄 끓어오르고 있다.본격적으로 여름을 보내는 중인 뉴질랜드 역시 무더위가 몰려온 데다가 건조한 날씨까지 이어져 전국 곳곳에서 화재가 빈발해 소방…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3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251 | 2023.12.23
■ 아던 총리 전격 사임1월 19일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네이피어에서 열린 노동당 연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4년을 위한 … 더보기

예산 폭등, 발목 잡힌 쿡 해협 페리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2,611 | 2023.12.22
새로 집권한 국민당 주도 연립 정부가 남북섬을 잇는 ‘인터아일랜더 페리(Interislander ferry)’에 신형 선박을 투입하고 그에 맞춰 항만 시설도 개발… 더보기

뉴질랜드 선거제도는 뉴질랜드제일당을 위한 것인가?

댓글 0 | 조회 2,691 | 2023.12.13
총선이 10월 14일 치러졌고 국민당이 최다 의석을 차지해 1당에 올라섰지만 한 달이 휠씬 지나도록 정부를 구성하지 못하면서 외교와 국정에 차질을 빚었다. 이유는… 더보기

NZ 인구 30년 만에 최대 증가 “내가 사는 지역은?”

댓글 0 | 조회 3,511 | 2023.12.12
뉴질랜드로 들어온 ‘순이민자(net migration)’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인구가 3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는 통계가 지난달 하순에 나왔다.통계국… 더보기

집값 하락세 끝났다

댓글 0 | 조회 6,907 | 2023.11.29
지난 18개월 동안 이어진 주택가격 하락 추세가 마침내 끝난 것으로 분석됐다. 모든 주택시장 관련 보고서들이 그렇게 말해 준다. 주택시장 침체기에 집값이 평균 1… 더보기

샌드위치 하나가 3,700달러?

댓글 0 | 조회 3,730 | 2023.11.28
많은 사람이 국내외 여행에 나서는 연말 휴가 시즌을 앞두고 호주로 입국하는 과정에서 검역 규정을 깜빡해 큰 낭패를 본 안타까운 사연이 지난주 국내 언론에 널리 소… 더보기

호주 경찰 “키위 경찰관을 붙잡아라”

댓글 0 | 조회 3,784 | 2023.11.15
뉴질랜드인이 일자리를 찾아 호주로 떠나는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코비드-19 사태가 엔데믹으로 본격 전환되고 경기도 풀리자 태즈먼해를 건너가는 젊…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연착륙하나?

댓글 0 | 조회 3,788 | 2023.11.14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뉴질랜드 경제 전망에 대해 경제 관련 기관들의 의견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기가 급속도로 침체… 더보기

무섭게 오른 뉴질랜드 생활비

댓글 0 | 조회 8,604 | 2023.10.25
지난 14일 실시된 총선에서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생활비 위기였다.팬데믹을 거치면서 시작된 물가 고공 행진은 좀처럼 둔화하지 않고 있다.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더보기

국민당 승리, 새 총리로 떠오른 ‘크리스토퍼 럭슨’은 누구?

댓글 0 | 조회 4,651 | 2023.10.24
갖가지 공약이 난무하면서 치열하게 전개됐던 ‘2023년 뉴질랜드 국회의원 선거’가 국민당의 압승과 함께 노동당의 몰락을 부르면서 끝났다.지난 6년간 야당이었던 국… 더보기

2023 총선의 쟁점은?

댓글 0 | 조회 3,399 | 2023.10.11
올해 총선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며칠 후면 앞으로3년 동안 뉴질랜드를 이끌 정부의 윤곽이 드러날 것이다.여론조사 결과들을 보면 지난 6년 동안 집권한 노동당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