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불조심’의 계절

겨울은 ‘불조심’의 계절

0 개 6,266 서현

 

0c4a66177a7457482d8ecbd7a6604b9e_1465361358_9876.jpg

 

매일 뉴스를 접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교통사고, 그리고 또 하나가 화재 소식이다. 특히 불기를 가까이 하는 겨울이면 화재 발생이 더 많아져 소방 당국도 불조심을 강조하고 나서는데,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는 매주 60여 채 이상의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한다.

 

재산 피해는 물론 때로는 귀중한 인명도 앗아가는 화재는 예방이 최선인데, 이번 호에서는 최근까지 언론에 보도됐던 각종 화재 사건을 되돌아 보면서, 평소 가정에서 화재 예방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본다. 

 

<아무 것도 남기지 않는 무서운 ‘불’>

 

(사례 1: 불량 제습기로 발생한 화재)

 

지난 5월 21일 밤 11시경 해밀턴의 오데트(Odette) 스트리트에 있는 한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복도에 놓여 있던 과열된 ‘제습기(dehumidifier)’가 원인이었다. 

 

당시 집 안에는 주인 여성과 어린 세 아들이 함께 잠들어 있었는데 다행히 경보기가 5대나 설치돼 있었고 그 중 2대가 작동, 연기가 자욱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이 모두 뒷문으로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지어진 이들의 보금자리는 내부가 심하게 파손됐는데, 문제는 당시 화재 원인이 됐던 제습기가 2014년 8월에 뉴질랜드 정부로부터 리콜 명령을 받았던 제품이었지만 가족들이 화재가 나기 전까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중국에서 제조됐으며 모델명이 ‘NH-DB16E’로 알려진 ‘누보(Nouveau)’제품인 이 가습기는 내부 응결기인 콘덴서(condenser)가 과열되면 그 주변부의 플라스틱에 불이 붙을 가능성이 있었다.

 

이 제품들은 2013년에 ‘마이터 텐(Mitre 10)’과 ‘마이터 텐 메가(Mitre 10 Mega)’에서 ‘Date Code 0213’이라는 번호가 붙여져 판매됐는데, 당국은 당시 문제가 된 제품은 즉시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었다.

  

 

0c4a66177a7457482d8ecbd7a6604b9e_1465361402_5739.JPG
▲ 소방관들이 취사 중 화재를 시연해 보이고 있다

 


(사례2: 건조기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

 

겨울이면 각 교민가정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기, 이른바 ‘드라이어(dryer)’ 역시 국내에서는 주요한 화재 원인 중 하나인데 주변을 돌아보면 이 사실을 모르는 교민들이 의외로 많다.

작년 8월 26일 저녁 7시경 웨스트 코스트의 작은 마을인 하리하리(Hari Hari)의 사우스 웨스트랜드 에어리아 스쿨에서 세탁물 건조기로 인한 화재가 발생, 교실 4개와 복도, 화장실 등이 전소되는 큰 피해가 났다.

 

당시 불은 요리 기름이 묻어 있던 걸레 등을 세탁해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는데, 소방대 조사에 따르면 당시 건조기 스위치를 끈 후 20분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건조기 내부에서 난 불이 앞면을 녹인 후 티 타월이 들어 있던 청소바구니로 옮겨 붙은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소방 관계자는 건조기 화재가 기계적 결함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름 등 인화재가 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하고, 기름이 많이 묻은 래그(rug), 리넨(linen) 등은 아예 버리거나 밖에서 세탁 후 자연건조를 해야 한다고 전한 바 있다. 

 

특히 세탁물에 남겨진 기름은 요리용뿐만 아니라 가구 광택제 등에서도 스며나올 수 있는데 이런 기름 종류는 43℃ 정도만 되도 발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건조기에 너무 많은 세탁물을 넣어 통풍이 안 되거나 지나치게 열이 올라가는 경우, 건조 온도를 너무 높인 경우와 함께 외부와 연결된 통풍구가 막혀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건조기로 인한 화재는 매년 전국에서 30여 건이 발생해 건조기 사용 빈도에 비해 그리 높은 숫자는 아닌데, 그러나 지난 3월에도 오클랜드 포트(Fort) 스트리트에 있는 한 배낭여행객 숙소에서 건조기로 인한 화재 발생으로 3명이 가벼운 부상을 입은 적도 있다.

 

한편 3월에는 이탈리아의 ‘Indesit Company’가 제작한 건조기 제품 중 ‘Ariston’과 ‘Indesit’ 라는 브랜드 명으로 유통시킨 ‘회전식(tumbler)’ 건조기들이 화재 위험으로 인해 회사 측의 자체적인 리콜 조치가 이뤄진 적도 있다.

 

당시 제조사 측은 세탁물의 보플(fluff)이 한도를 넘어 건조기의 열 장치(heating element)에 접촉하게 될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는데, 영국을 비롯한 몇몇 나라에서 실제로 화재가 발생해 소송이 벌어지기도 했다. 

 

제조사는 2015년 10월 이후 생산 제품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문제가 된 제품을 보유한 이들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지만 작동 중 자리를 비우지 말도록 요청하고 제품 개조를 위해 회사와 접촉해 줄 것을 당부한 바 있다.

 

 

0c4a66177a7457482d8ecbd7a6604b9e_1465361421_4703.JPG
▲ 소방서 차량의 화재 예방 캠페인 그림

 

 

(사례3: 순간의 판단 착오로 홀랑 타버린 집)

 

지난 4월에는 가정이나 공사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작은 ‘토치(torch, 불꽃발사기)’를 이용해 벌집을 태우려다 집까지 모두 태워버리는 황당한 사건도 벌어졌다. 

 

마치 “빈대 한 마리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홀랑 태워버린다”는 우리말 속담을 연상케 하는 사건이 벌어진 곳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남쪽으로 50km 가량 떨어진 작은 농촌마을인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

 

이곳의 한 임대주택에서 살고 있던 익명의 남성은 당시 집의 벽 구멍에 자리를 튼 말벌집에서 연기를 이용해 벌을 쫓아내려고 작은 토치에 스프레이와 라이터를 사용해 불을 붙였다가 큰 낭패를 당했다.

 

곧바로 벽까지 옮겨 붙었던 불은 끝내는 집을 홀랑 태워버렸는데, 현장에는 지역 소방대원들이 바로 출동했지만 집이 전소되는 것을 막을 수 없었으며, 남성이 아무런 부상을 입지 않은 것이 그나마 다행이었다.

 

(사례4: 깎은 잔디 방치로 인한 화재) 

 

금년 3월 16일 아침 7시 30분경 남섬 북부 작은 도시인 모투에카(Motueka)의 한 주택에 딸린 차고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화재 원인은 깎여진 후 잔디깎기(lawnmower) 차체에 그대로 장기간 실려 있던 잔디더미가 원인이었다.

 

당시 차고에서 전혀 예기치 못했던 연기와 열기가 새어 나오자 소방대가 출동했는데, 그러나 이미 차고 안은 불길에 휩싸였으며 안에 있던 물건들을 전소시킨 후 90여 분만에 진화됐다.

 

소방대는 남겨져 있던 잔디들이 자연 발화되면서 기계에 있는 오일에 불이 옮겨 붙은 것으로 추정했는데 당시 잔디깎기는 2주 전 사용한 후 화재가 나기 전까지 계속 차고에 보관 중이었다.

 

소방 관계자는 매년 관할 지역에서 벽이나 건물과 너무 가까운 곳에 위치한 퇴비더미 등으로 인한 자연발화적 화재가 몇 차례 발생하곤 한다면서, 깎인 잔디나 잘린 나뭇가지, 또는 퇴비 등을 가연성 물질 옆에 두거나 실내에 놓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

  

 

0c4a66177a7457482d8ecbd7a6604b9e_1465361443_0405.JPG
▲ 화재 발생시 신고요령 안내문

 

 

<주택화재 절반은 취사 중 발생>

 

소방 당국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는 주당 62건에 해당하는 총 3,214건의 주택화재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재산 피해와 함께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들 중에는 작년 8월 초 남섬의 와이마테(Waimate)에서 발생했던 네팔 이민자 가정의 화재로 사망한 부부와 아들 등 3명도 포함됐는데, 당시 화재 역시 가족이 잠든 사이에 주방에서 발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2011년에 2,635건이었던 연간 주택화재 건수는 2012년에 2,917건, 2013년에 3,238건, 그리고 2014년에 3,195건으로 거의 매년 증가했는데, 이 같은 주택화재 중 절반 가량은 취사(cooking) 중 발생했으며 그 대부분은 작업 중 자리를 비워 생겼다.

 

또한 음주 상태에서 요리를 하다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특히 사망자가 발생한 경우의 절반은 음주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경우 80% 이상의 주택에서 화재경보기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그 다음으로 많은 주택화재 원인은 각종 전기장치로 인한 것인데, 겨울에는 특히 전열기를 많이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화재도 증가했으며, 소방 당국은 전열기를 소파나 커튼 등 가연성 물질에 너무 가깝게 두지 말 것과 원목 난로의 재를 함부로 방치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소방 관계자는 방치된 재는 최대 5일 동안 불씨가 살아있어 또 다른 화재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면서, 반드시 재는 집에서 격리된 장소에 쓰레기통이나 종이박스가 아닌 철판으로 된 용기에 넣어 보관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주택화재 사고 때마다 매번 인명 피해 방지 차원에서 화재경보기의 중요성이 지적되는데, 소방 당국은 특히 경보기 설치도 필요하지만 평소 배터리 관리를 잘 해야만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남섬지국장 서 현 

침략당한 우크라이나의 아픈 과거

댓글 0 | 조회 3,236 | 2022.03.22
우크라이나(Ukraine)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으로 두 나라 군인들은 물론 어린이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이 대거 희생되는 비참한 전쟁터 모습과 이웃 국가로 피난하는 … 더보기

법 시행과 함께 다가온 주택시장 하강

댓글 0 | 조회 10,267 | 2022.03.09
작년 12월 이후 외견상 사소한 이유로 주택대출 신청이 거부됐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알려지고 있다. 반려견에 대한 지출이 너무 커서, 외식 빈도가 높아서, 국내 여… 더보기

갈수록 커지는 NZ의 ‘자산 불평등’

댓글 0 | 조회 6,127 | 2022.03.08
지난 6년간 뉴질랜드 ‘가계(가구, households)’의 ‘순자산(net worth)’이 증가했지만 부가 한쪽으로 편중된 모습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 조사 … 더보기

팬데믹 2년, 끝나지 않은 전쟁

댓글 0 | 조회 4,321 | 2022.02.23
오는 28일은 뉴질랜드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2주년이 되는 날이다. 꼬박 2년이 지났는데도 코로나19의 기세는 꺾이지 … 더보기

전 세계에 밀려오는 인플레이션 공포

댓글 0 | 조회 5,976 | 2022.02.22
오미크론 변이 확산되는 가운데 먹거리를 비롯한 생활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서 서민들은 물론 중산층을 포함한 국민들의 한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주유소에서는 치솟는… 더보기

뉴질랜드의 높은 건축비용

댓글 0 | 조회 7,441 | 2022.02.10
건축비용이 지붕을 뚫고 있다. 오랫동안 토지 가격이 신축 주택 가격 상승의 주범으로 인식돼 왔지만 이제 급등한 건축비용이 그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건축업계는 … 더보기

한적한 해변에 흩어진 지폐들

댓글 0 | 조회 6,341 | 2022.02.09
지난 1월 초 노스 캔터베리의 한 한적한 마을의 해변을 찾았던 주민들은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큰 행운(?)을 만난 것처럼 보였다.그것은 해변의 모래사장과 바위 … 더보기

경쟁국들에 뒤쳐지고 있는 유학업

댓글 0 | 조회 5,267 | 2022.01.27
팬데믹 이전 뉴질랜드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53억달러를 기여했던 유학업이 2년 간의 국경 통제로 인한 침체에서 올해 벗어날 수 있을까?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더보기

“전 세계가 깜짝!” 통가 해저화산 대폭발

댓글 0 | 조회 5,446 | 2022.01.27
해저화산의 대규모 폭발로 지구촌 식구들이 깜짝 놀란 가운데 뉴질랜드의 이웃 국가이자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인 통가가 국가적인 큰 시련에 봉착했다.폭발 후 6일이 … 더보기

순탄치 않을 경제 회복의 길

댓글 0 | 조회 6,028 | 2022.01.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2022년 경제도 불확실성이 걷히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에 비교적 잘 버텨온 것으로 평가받고 … 더보기

자외선 차단제 제대로 고르자

댓글 0 | 조회 4,807 | 2022.01.11
새해 벽두부터 오클랜드를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폭염 경보가 발령되는 등 뜨거운 여름이 이어지고 있다.작열하는 태양 아래 ‘자외선 차단제(Sunscreen)’는 국…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1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977 | 2021.12.22
■ 아메리카스 컵 우승, 다음 대회 뉴질랜드 개최 여부는 불확실3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오클랜드에서 열린 제36회 아메리카스 컵(America’s Cup) 요트… 더보기

올 한 해 인터넷에서 찾아본 것은?

댓글 0 | 조회 2,476 | 2021.12.21
매년 해가 바뀔 무렵 흔히 쓰던 ‘다사다난(多事多難)’이라는 상투적인 표현으로는 도저히 다 담지도 못할 정도로 힘들고 사건도 많았으며 혹독했던 2021년 한 해도… 더보기

위험한 부채 증가 속도

댓글 0 | 조회 6,781 | 2021.12.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경제 근간을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던 방향으로 바꿔 놓았다. 그 변화는 국가 총부채에 투영된다. 팬… 더보기

감칠맛 ‘다시마’에 이런 기능이…

댓글 0 | 조회 4,370 | 2021.12.07
지난 11월에 지구촌 식구들은 영국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Glasgow)에서 열렸던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계기로 각국 정부와 … 더보기

오클랜드 대부분 지역에서 공동주택 건축 가능해질 듯

댓글 0 | 조회 10,732 | 2021.11.24
내년 8월부터 오클랜드, 해밀턴,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등 대도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3층 높이의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 더보기

봉쇄 풀린다! 떠나자 여름 즐기러

댓글 0 | 조회 6,154 | 2021.11.23
본격적인 여름 휴가 시즌을 앞두고 다음 달 중순부터 3개월 이상 계속된 오클랜드의 봉쇄 조치가 풀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당사자인 오클랜드 주민들은 물론 전국의 … 더보기

‘원오프’ 영주권 승인과 그 배경

댓글 0 | 조회 10,704 | 2021.11.10
정부의 새로운 원오프(one-off) 거주비자 시행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신청이 시작된다. 이민부는 신청자격을 갖춘 비자 소지자들에게 연락할 것이라고 밝힌 바 … 더보기

바이러스 “오클랜드 인구까지 줄였다”

댓글 0 | 조회 7,508 | 2021.11.09
세계를 휩쓰는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오클랜드 인구까지 감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지구촌 식구들의 일상생활은 물론 바이러스는 정치… 더보기

상승 기조로 돌아선 금리

댓글 0 | 조회 5,714 | 2021.10.28
기준금리가 지난 6일 사상 최저치인 0.25%에서 0.5%로 0.25%포인트 인상됐다.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2014년 7월 이후 약 7년여 만이다. 경제 전문가… 더보기

빨간불 켜진 인플레이션

댓글 0 | 조회 8,469 | 2021.10.27
국내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는 뉴스가 언론에 여러 차례 등장하던 끝에 결국 1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에 도달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이달 초 7년 만에 처음으로… 더보기

오염으로 몸살 앓는 강과 개울들

댓글 0 | 조회 4,815 | 2021.10.13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2~3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뉴질랜드의 강물과 개울들이 시간이 갈수록 수질이 악화돼 물놀이를 즐기기에 부적당한 곳들이 이전보다 늘어났다… 더보기

코로나 대응과 국경 개방

댓글 0 | 조회 8,420 | 2021.10.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국경 봉쇄로 코로나19를 통제한 뉴질랜드가 최근 계속해서 발생하는 델타 변이로 국경 봉쇄가 더욱 장기화하는 … 더보기

인류 최후의 피난처 NZ?

댓글 0 | 조회 15,842 | 2021.08.25
지난 7월 말 영국의 언론들을 비롯한 뉴질랜드와 한국 등 세계 각국의 언론에는 세계 문명이 붕괴할 때 최적의 생존지를 선정한 연구 결과가 보도되면서 사람들의 눈길… 더보기

치솟고 있는 생활비

댓글 0 | 조회 13,145 | 2021.08.24
주거비, 기름값, 식료품비, 의류비, 대출이자 등 생활과 밀접한 물가들이 크게 오르고 있다. 물가 상승은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일반 가정에서는 허리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