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0 개 6,385 서현
553 1.jpg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지역 박물관에서도 종종 박제된 같은 종류의 개들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명 ‘마오리 개(Maori dog)’라고도 불리는 ‘쿠리(kuri)’의 박제인데, 지난 7월 중순에 이 개가 사라진 이유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9세기 후반에 소멸된 것으로 알려진 ‘쿠리’는 과연 어떤 개였으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553 2.jpg
 ▲ 초기 정착 당시의 쿠리

<마오리와 함께 카누 타고 이주한 쿠리>

주지하다시피 마오리들은 이 땅의 선주민이기는 하나 그들 역시 지금으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시기인 13세기 무렵에서야 동부 폴리네시안 지역에서 카누를 이용해 이곳으로 옮겨 온 민족이다.

그들이 옮겨올 당시 쿠리도 함께 카누를 타고 사람들을 따라 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폴리네시안 개의 혈통을 지닌 쿠리는 뉴질랜드 도착 후 자신들이 떠나온 원 지역의 다른 개들보다 몸집이 더 커졌고 더욱 활동성이 강한 개가 되었다.

쿠리는 체중이 13~15kg 정도 나가고 긴 털을 가졌으며 중형견이라고 하기에는 비교적 작은 덩치인데, 현재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더 콜리(border collie)’ 보다 조금 작은 정도였으며 몸체는 흰색이 주였으나 검은색과 이들 색깔이 혼합된 종류, 그리고 드물게는 황색 쿠리도 일부 있었다.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작고 귀는 쫑긋 세워진 모습이었으며 ‘테리어(terrier)’ 종과 유사한 코와 함께 강한 턱을 자랑했는데, 또한 어깨와 목이 두툼한 반면 다리는 짧은 편이었고 풍성한 꼬리가 달렸다.
 
<길고 우울하게 울부짖던 쿠리>

쿠리는 남섬에서는 ‘구리(guri)’로 불리기도 했고 일부에서는 ‘페로(pero)’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는 스페인어에서 개를 뜻하는 단어인 ‘페로(perr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또 다른 명칭으로 알려진 ‘카라레헤(Kararehe)’는 일반적으로 네발 가진 짐승을 의미하는 마오리어로 쿠리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쿠리는 다른 폴리네시안 개들처럼 보통 짖지 않는 대신에 늑대나 여우처럼 우는 이른바 ‘하울링(howling)’을 했던 특징이 있는데, 기록에는 쿠리의 소리를 ‘long, melancholy howl’ 이라고 한 표현이 등장한다.

마오리들은 쿠리의 울음을 ‘auau’라고 표현했으며 그들은 유럽에서 온 개들은 ‘pahupahu’라는 소리를 낸다고 했는데, 우리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개들 중 짖는 것보다 하울링을 자주 하는 개는 시베리안 허스키 종류가 있다.

 
<초기 정착민들에게 중요했던 쿠리>

마오리들은 이주 당시 그들의 대형 카누에 개는 물론 돼지와 닭과 같은 다른 가축들도 싣고 왔다.
또한 당시 카누에는 초대하지 않은 손님(?)들도 있었는데 그들은 바로 ‘키오레(kiore)’라고 불리는 ‘태평양 쥐(Pacific rat)’들로, 오늘날 역사학자들은 이 쥐들의 전파 경로를 통해 마오리들을 포함한 태평양 지역에서의 사람들의 이동 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지기로는 가축들 중 닭과 돼지는 당시 뉴질랜드까지 도착하지 못했으며 오직 쿠리와 쥐만 사람들과 함께 상륙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바람에 쿠리는 초기 마오리 정착민들에게 돼지 대신 주요한 단백질(protein) 공급원이 되기도 했다.

553 3.jpg
 ▲ 쿠리 털로 만든 외투(kahu kuri)

물론 쿠리는 모아(moa)나 물개(seals)를 사냥하는 사냥개로서 역할도 수행했고 특히 쥐를 방지하는 데도 쓰였으며 나아가 털가죽은 중요한 마오리 의례용 옷인 카후 쿠리(kahu kuri, 망토)를 만드는 데도 쓰였다.

오늘날에도 카후 쿠리는 박물관에서 간혹 볼 수 있는데 족장의 전투용 옷으로 알려진 이것은 만드는데 많은 공이 들어가는 진기한 물건으로 당연히 쿠리가 소멸된 이후에는 제작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이 밖에도 쿠리의 털은 무기의 일부분을 장식하거나 마오리 여성들이 춤을 출 때 사용하는 도구인 ‘포이(poi)’의 재료로도 사용됐다.

<캡틴 쿡 일행의 앞에 나타난 쿠리> 

이러한 쿠리가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바로 제임스 쿡 선장 일행이 뉴질랜드에 나타난 1769년부터이다.

당시 쿡 선장의 일행으로 동승했던 자연생물학자 조지 포스터(George Forster)의 기록에 따르면, 남북섬 간의 해협에 위치한 퀸 샬롯 사운드(Queen Charlotte Sound)에서 쿡 선장 일행을 보러 나타난 마오리들의 카누 가운데에는 여러 마리의 쿠리가 타고 있었다.

포스터는 긴 털과 함께 쫑긋한 귀를 가진 쿠리는 외형상으로 그 당시 유럽에서 기르던 일반적인 ‘셰퍼드(shepherd)’와 많이 닮았으며 사람을 잘 따르는 좋은 개였다면서, 선원들이 그 중 몇 마리를 샀지만 그 개들은 옛 주인이나 함께 있던 다른 개들과 떨어지자 밥도 제대로 안 먹는 등 침울한 모습을 보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쿠리의 존재는 이후에도 계속된 쿡 선장의 뉴질랜드 지역 탐사 당시 작성된 기록들을 통해 뉴질랜드 전역에서 널리 분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쿠리는 언제 소멸했나?> 

아직까지도 쿠리가 언제, 그리고 어떤 이유로 소멸됐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단지 1800년대 초기에 유럽에서의 각종 종류의 개들이 반입돼 이들과 자연스럽게 섞이면서 이후 점차 소멸 과정을 밟았다가 1870년대 이후에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보일 뿐 정확한 이유와 시기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다만 1800년 중반 이후에 나온 각종 기록을 보면 쿠리가 초기 정착민들의 농장이나 목장 경영에는 골치덩어리 같은 존재였다는 사실은 분명한데, 1848년에 ‘웰링톤 인디펜던트(Wellington Independent)’에 보내진 한 편지에 보면 쿠리가 정착민들 가축에게는 악마 같은 존재라고 묘사되어 있다.

또한 주인이 누구인지도 명확하지 않은 쿠리들이 들판을 자유스럽게 뛰어다닌다는 기록도 보이는데, 그러다 보니 정착민들 입장에서는 가축과 농작물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들을 모두 없애버리고 싶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553 4.jpg
▲ 하와이안 포이 독

한편 쿠리의 소멸과 관련해 하와이 원주민이 기르던 ‘하와이안 포이 독(hawaiian poi dog)’ 역시 쿠리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끈다.

일명 ‘일로(ilio)’로도 알려진 이 개 역시 쿡 선장의 하와이 탐험을 통해 처음 유럽에 알려진 후 이후 유럽의 개들이 하와이로 유입되면서 점차 개체 수가 작아지다가 20세기 초에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이 개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하와이 동물원 주도로 시행된 적도 있으나 12년 후에 작업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 후 더 이상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현재 하와이 포이 독으로 알려진 개들은 순종이 아니다.
 
<털과 뼈를 이용한 과학적 분석>

이번에 쿠리에 대해서 연구하고 나선 과학자는 생태학자인 프리실라 웨히(Priscilla Wehi) 박사와 GNS의 책임 연구원인 캐린 로저스(Karyne Rogers) 등 2명의 여성 과학자이다.

이들은 테 파파 등의 협조로 박제된 쿠리나 쿠리의 털가죽으로 만들어진 털옷으로부터 다양한 시대의 쿠리의 털 샘플을 확보해 이를 질소와 탄소동이원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털의 주인인 쿠리들이 어떤 종류의 먹이를 먹었는지를 밝혀내려 하고 있다.

이 분석법을 통하면 쿠리가 섭취했던 먹이가 주로 동물성이었는지 식물성이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과 그 이후 쿠리의 먹이가 어떻게 변화했으며 영양 상태가 어떠했는가, 나아가 바닷가와 내륙에 살던 개들이 얼마나 먹이 환경이 달랐으며 어느 쪽이 생활 환경이 좋았는지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고고학자의 협조를 받아 마오리들의 정착 이후인 14~15세기에 만들어진 쓰레기 더미에서 발굴된 오래된 쿠리의 뼈 2개의 분석을 통해서도 유사한 연구가 진행되며 연구는 향후 3년 여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진은 여기에 더해 마오리 사회에서 구전으로 전해 내려 오는 쿠리와 관계된 이야기들과 유럽인들의 정착시대에 나타난 기록들도 참조해 쿠리가 왜 이 땅에서 소멸됐는지에 대한 단초를 얻으려 하고 있다. 

<남섬지국장 서현> 

록다운 중 실업률이 낮아졌다?

댓글 0 | 조회 5,363 | 2020.08.11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지난 8월 5일(수)에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한 국내 고용시장 동향과 관련된 지표들을 공개했다.현재 전 세계적… 더보기

CO2는 오클랜드, 메탄은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3,862 | 2020.07.29
7월 하순에 통계국은,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배출된 ‘온실가스(greenhouse gas)’ 규모를 각 지역과 온실가스의 종… 더보기

국경 통제로 오도 가도 못하는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7,747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해외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니면 공식적으로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높은 … 더보기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던진 충격파

댓글 0 | 조회 6,370 | 2020.07.15
▲ 티와이 포인트의 알루미늄 제련소 정경지난 7월 9일(목)에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한 곳인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Tiwai Point alumini… 더보기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5,733 | 2020.07.14
주식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제 침체에 아랑곳없이 최근 역대 최고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급격히 늘어난 개미투자자들… 더보기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댓글 0 | 조회 9,973 | 2020.06.24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 더보기

한 해 성적표 받아든 NZ대학들

댓글 0 | 조회 6,692 | 2020.06.23
▲ 세계 대학 순위 1위에 오른 MIT 대학 전경매년 6월이면 뉴질랜드의 각 대학들 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언론을 통해 전해질 ‘성적… 더보기

3% 밑으로 떨어진 모기지 금리

댓글 0 | 조회 7,788 | 2020.06.10
모기지 금리가 불가피하게 오를 것이라는 시장 관계자 대부분의 예측을 뒤엎고 시중은행들이 최근 모기지 금리를 경쟁적으로 인하하면서 1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 더보기

양치기 견공들 “일자리 잃을까?”

댓글 0 | 조회 4,330 | 2020.06.09
최근 국내외 언론들에는 뉴질랜드의 한 목장에서 양치기 역할을 하는 로봇개에 대한 기사와 사진들이 일제히 실렸다.‘스팟(Spot)’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로봇… 더보기

다시 고개 드는 인종차별

댓글 0 | 조회 9,866 | 2020.05.2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인종차별 행위도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가 크게 늘어 경제 침체와 실업 증가… 더보기

바이러스가 앞당긴 인구 500만명 시대

댓글 0 | 조회 6,446 | 2020.05.26
▲ 크라이스트처치의 2019년 산타퍼레이드 모습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전체 인구가 역사상 처음으로 500만명을 넘어섰다.기념비적인 ‘인구 500만명 시대 진입’은 공… 더보기

코로나가 바꿔놓은 비즈니스 지형

댓글 0 | 조회 8,659 | 2020.05.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불황이 불가피하고 빠른 경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경제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오고 있다. 뉴질랜드 경제는 세계 경제… 더보기

2019년 “결혼 크게 줄고 이혼은 늘어”

댓글 0 | 조회 6,775 | 2020.05.12
작년 한 해 동안 뉴질랜드인들이 공식적으로 ‘혼인’을 했다고 관계 당국에 등록한 숫자가 지난 1960년 이래 50여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그에 반해… 더보기

록다운이 끝난 후 주택시장은?

댓글 0 | 조회 15,024 | 2020.04.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모든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록다운(Lockd… 더보기

바이러스에 무너진 일상

댓글 0 | 조회 13,569 | 2020.04.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뉴질랜드는 지금 사상 초유의 ‘록다운(Lockdown)’ 4주 기간을 보내고 있다.슈퍼마켓, 주유소, 약국, 병원 … 더보기

CBD는 공사중

댓글 0 | 조회 7,653 | 2020.03.25
오클랜드 CBD에 유례없이 공사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대혼란을 빚고 있다. 수십 건의 도로공사와 건설공사 등이 한꺼번에 벌어지면서 운전자들은 교통정체에 … 더보기

인간과 전염병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댓글 0 | 조회 7,308 | 2020.03.24
▲ 밀라노 두오모 광장을 지키는 무장 군인들​‘코로나 19’바이러스로 뉴질랜드는 물론 지구촌 전체가 그야말로초대형 재난을 맞아 시련을 겪고 있다.인터넷을 비롯한 … 더보기

가뭄으로 신음하는 아오테아로아

댓글 0 | 조회 4,468 | 2020.03.11
▲ 농민 단체의 페이스북에 올려진 북부 캔터베리의 한 목장​작년부터 북섬 북부와 중부를 중심으로 남북섬의 여러 지방들이 극심한 가뭄 현상을보이면서 뉴질랜드 전국이… 더보기

코로나發 경제둔화 우려 확산

댓글 0 | 조회 7,712 | 2020.03.10
뉴질랜드는 2009년 이후 11년 동안 경기후퇴가 없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두 번째로 긴 기간이다. 불황을 모르고 달려온 뉴질랜드 ‘록스타’ 경제가 이… 더보기

남섬 주민이 북섬 주민보다 오래 산다?

댓글 0 | 조회 7,156 | 2020.02.26
작년 한 해 동안 뉴질랜드에서는 모두 6만여 명 가까운 신생아들이 출생한 반면 3만40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지난 2월 19일에 뉴질랜드 통계… 더보기

노령연금 수급연령 65세로 묶어둬라

댓글 0 | 조회 10,597 | 2020.02.25
뉴질랜드 은퇴위원회가 최근 노령연금(Superannuation) 수급연령을현행 65세에 묶어 둘 것을 추천하고 나섰다.이는 은퇴위원회가 이전에 주장해 왔던 67세… 더보기

부모에게 얹혀사는 NZ 밀레니얼 세대 증가

댓글 0 | 조회 8,690 | 2020.02.12
18세가 되면 부모 집을 떠나 독립하는 뉴질랜드인의 전통이 흔들리고 있다.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출생한 뉴질랜드 밀레니얼 세대가 성년이 됐어도 부모에게 얹… 더보기

NZ “대규모 국토 ‘Upgrade’ 작업 나선다”

댓글 0 | 조회 6,683 | 2020.02.11
최근 뉴질랜드 정부는 120억달러를 ‘사회간접자본(infrastructure)’ 시설에 투입하는 일명 ‘뉴질랜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NZ Upgrade Progr… 더보기

다시 불붙은 학비 대출금 미상환

댓글 0 | 조회 6,637 | 2020.01.29
새해 초부터 오클랜드 공항에서는 학비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은 채 해외에 거주하던한 뉴질랜드 여성이 체포되는 사건이 벌어졌다.언론에 관련 소식들이 연달아 보도되면서… 더보기

높은 수준으로 격상된 한-뉴 교역

댓글 0 | 조회 4,242 | 2020.01.28
자유무역협정(FTA) 5년 차를 맞은 한국과 뉴질랜드의 무역 관계가 높은 수준으로 격상되고 있다. 선데이 스타 타임스 지는 최근 뉴질랜드와 한국의 무역이 자유무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