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0 개 2,919 서현
546 1.jpg
▲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컬쳐 갈로아 모습

지난 3월 10일 ‘아시아 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뉴질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들의 시대별 변화 추세와 그들의 성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통해 뉴질랜드가 갈수록 더욱 다양한 민족과 국가 출신들이 어울려 사는 모자이크 국가로 변신 중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는데, 주로 영주권을 중심으로 다뤘던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취업과 학생비자 그리고 여기에 더해 인도적 이민을 통한 이민 추세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546 2.jpg
▲ 2013년 크라이스트처치 한국문화축제

<인도와 중국 출신이 압도적인 취업비자>
이른바 ‘영주권(permanent residence)’ 획득에 따른 이민이 아닌 ‘취업비자(work visa)’를 받고 뉴질랜드로 입국하는 이들의 출신도 영주권자들 만큼이나 이전보다 훨씬 다양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취업비자는 종사할 업종이나 자격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최장 3년까지 체류가 허용되나 뉴질랜드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고급기술(Essential Skills)’을 가진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5년이라는 장기간이 주어지기도 한다.

취업비자는 통상 상당한 수준의 학력이나 기술, 특히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에게는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구사 능력이 요구되는데 대부분은 국내 업체로부터 ‘취업허가서(job offer)’를 구비한 상태로 이뤄진다.

현재 연간 65,000건에 달하는 취업비자가 아시안들을 상대로 발급되는 가운데 이 비자를 발급 받은 이들의 출신 역시 인도와 중국,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을 총 망라하고 있다.

지난 2008년 7월부터 2013년 6월말까지 통계를 보면 이 기간 중 취업비자를 획득한 사람 중에서 숫자만을 놓고 본다면 인도 출신이 단연 으뜸이다.

546 3.jpg
▲ 행사에 참가한 인도계

인도 출신은 이 기간 중 무려 연 평균 18,100명이 취업비자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그 뒤를 16,027명인 중국이 뒤따르고 있는데, 최근 영주권 카테고리에서도 증가세가 뚜렷한 필리핀 출신도 연간 평균 8,225명이나 취업비자를 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면서 이 분야 3위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 출신 역시 연 평균 5,722명으로 집계되면서 이 분야에서 4위에 올라 여전히 취업비자 소지자들이 한국 교민사회의 주요한 한 축을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뒤를 이어 취업비자를 받은 이들이 많은 나라는 4,659명의 일본, 그리고 말레이시아 3,700명, 태국 2,899명, 인도네시아 1,561명, 타이완 1,273명 등이며 여기에 스리랑카 출신이 1,173명으로 취업 분야의 비자발급 건수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취업비자를 소지한 사람이 많으면 이들 중 상당수가 나중에는 영주권을 취득 후 뉴질랜드에 영구 정착할 가능성도 높다 보니, 현재의 취업비자 현황은 가까운 미래에 소수민족 커뮤니티가 어떻게 바뀔 지에 대한 추론도 가능하게 만든다. 

<워킹 홀리데이 비자 발급 최다는 한국>
한편 취업비자와는 성격이 조금 다른 분야이기는 하지만 ‘워킹 홀리데이(working holiday)’ 비자 발급 건수도 이번에 함께 조사됐는데, 이 비자는 아시아 나라 대부분을 상대로 18~30세까지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 비자는 통상 1년 동안 공부와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출신은 예외적으로 기간이 6개월로 제한된다.

지난 2008년 7월부터 2013년 6월말까지 기준으로 보면 이 비자를 발급 받은 이들 중 1위는 연 평균 1,862건을 받은 한국인데, 연간 한도가 1,800명이었던 이 숫자는 금년부터 시행 예정인 양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3천명까지 늘어나게 됐다. 

한편 한국 다음으로 연 평균 1,774명의 일본이 그 뒤를 이었으며 1,196명의 말레이시아, 그리고 951명의 중국, 타이완 604명, 홍콩의 368명과 태국 93명, 싱가포르의 91명, 베트남 20명 등 아시아 각국이 차례대로 순위를 이었다. 이 중 베트남과 순위에 나타나지 않은 필리핀은 2013년부터 이 제도가 시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적 이유로 발생하는 난민 비자> 
뉴질랜드는 국제연합(UN)의 ‘난민고등판무관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을 통해 연간 750건의 난민 비자를 발급하는데, 이 비자로 입국하는 난민들 역시 아시안 커뮤니티와 뉴질랜드 사회를 더욱 다양하게 만드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되고 있다. 

지난 2006년 7월부터 2013년 6월말까지의 센서스 자료를 분석해보면 이 기간 중 가장 많은 난민 비자를 받은 아시아 국가는 1,952건의 미얀마 출신이었는데, 이는 현지에서 미얀마 군사정부로부터 박해를 당한 소수민족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많은 난민 비자는 774건의 부탄 출신이었는데 이들은 대부분 부탄에 거주하던 네팔계 주민들로서, 자신들의 거주지였던 부탄으로부터 축출을 당해 난민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도 정정이 극히 불안한 아프가니스탄 출신 난민이 같은 기간 동안 453건의 난민 비자를 허용 받아 미얀마와 부탄의 뒤를 이었는데, 뉴질랜드는 2006년 이전에 이미 대규모로 아프간 난민을 받아들인 바 있다.

한편 이 비자로 입국한 이들은 대부분 초기에는 크라이스트처치와 넬슨, 파머스톤 노스 등 각 지역의 거점 도시에 골고루 나뉘어 살도록 조정됐지만 이후 이들 중 상당수가 오클랜드로 주거지를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546 4.jpg
▲ 수학여행 온 일본 학생들

<이민으로 이어지는 고등교육기관 유학생>
타국으로부터 학생들을 받아들이는 이른바 유학 분야는, 1990년대 이래 뉴질랜드의 중요한 산업분야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그 영향과 국민생활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한 분야로 성장했다.

2002년 정점에 도달했던 유학생 숫자는 그 당시 연간 평균 12만 명에 달했는데, 그 이후 10여 년 간에 걸쳐서도 계속해서 연평균 94,000여 명을 기록하는 등 유학은 꾸준히 뉴질랜드의 주요한 산업 분야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다. 

2006년 7월부터 2013년 6월 말까지도 같은 규모의 유학생들이 계속 뉴질랜드를 찾은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는 같은 기간에 들어온 유학생 중 연 평균 56,000여 명이 한국과 인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 출신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연간 35,000여명 수준이었던 중국은 지난 2006년과 2008년 사이에 큰 하락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하락세가 25,000여명 수준에서 멈춘 후 2013년까지 계속 그 정도 규모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가장 많은 유학생 배출국가로서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한국은 매년 15,000명 내외의 유학생을 유지하며 유학생 배출국 순위에서 2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지난 2011년에 인도에게 2위 자리를 내준 후 연간 1만 명 이하로 내려가면서 2013년에는 일본에게도 그 순위가 밀렸다. 

546 도표1.jpg
▲ 아시아 각국의 유학생 증감 현황

또한 2013년 자료를 통해 이들 유학생들을 좀더 자세하게 분석해보면, 한국은 이른바 조기유학생이라고 할 수 있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재학생들이 전체 유학생의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반해 일본은 이 비율이 22%, 그리고 중국은 15%로 나타났고 인도는 이 비율이 1%도 채 되지 않았다.

많은 유학생들이 어학원을 비롯한 각종 민간교육기관에서 공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이 해당 국가의 전체 유학생에서 차지한 비율은 인도가 6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49%의 일본, 그리고 43%의 중국과 41%의 한국이 잇고 있다.

또한 이들 유학생들 중 국내의 각 폴리텍에 재학 중인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 역시 인도로 25%였으며, 15%의 중국과 함께 각각 7%와 6%로 나타난 일본과 한국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특히 유학생 분야 중에서도 중등학교가 아닌 이 같은 고등교육기관들에 유학 중인 젊은이들은, 학업을 마친 후 직장을 찾아 국내에 남는 이른바 ‘유학 후 이민’이라는 과정을 통해 정착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들의 숫자를 통해 향후 이민 추세와 소수 커뮤니티의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기도 하다. 

한편 지역별로 놓고 보면 이들 전체 유학생들 중 2/3에 조금 못 미치는 60% 가량이 오클랜드에 위치한 각종 교육기관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번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남섬지국장 서 현>

점점 살기 나빠지는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10,172 | 2022.09.28
날로 늘어나는 강력 범죄, 매일 도로 작업이 벌어지지만 나아지지 않는 교통 상황, 끝없는 공사로 문닫는 상점들과 활기 잃은 CBD.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도시인 … 더보기

NZ “기후변화 속 도로망 관리에 비상”

댓글 0 | 조회 2,399 | 2022.09.14
뉴질랜드 전국은 9만 4000여 km에 달하는 도로로 연결됐으며 그중 국도 길이는 10%가 조금 넘고 나머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지방도로이다.최근 홍수를… 더보기

복지국가 뉴질랜드의 빈곤에 관한 부끄러운 민낯

댓글 0 | 조회 8,557 | 2022.09.13
뉴질랜드는 복지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다. 복지 선진국에서 국민은 적어도 먹고 주거하는 기본적인 생활을 걱정하지 않아도 돼야 하지만 뉴질랜드의 실상은 그렇지 않다.… 더보기

이민자가 살기 힘든 나라

댓글 0 | 조회 11,332 | 2022.08.24
뉴질랜드는 많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민 대상국 중 하나로 꼽혀 왔다. 하지만 최근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가 ‘외국인이 살기 나쁜 나라’ 2위에 올랐… 더보기

물린 게 잘못, 아니면 개 주인의 책임?

댓글 0 | 조회 3,813 | 2022.08.23
뉴질랜드인은 총인구와 맞먹는 460만 마리의 각종 반려동물을 키우며 그중 개체 수가 절대적으로 많은 물고기를 제외하면 고양이가 110만 마리로 으뜸인 가운데 20… 더보기

물가 비상! 가정도 국가도 전전긍긍

댓글 0 | 조회 6,017 | 2022.08.10
물가상승률이 32년 만에 최고로 치솟아 국민 살림살이가 한층 빡빡해진 것은 물론 기업이나 단체, 나아가 지방정부를 포함한 국가기관에도 한마디로 비상이 걸렸다.현재… 더보기

마비 직전의 의료 서비스

댓글 0 | 조회 4,459 | 2022.08.09
뉴질랜드가 심각한 의료 위기를 겪고 있다. 지금 의료 서비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겨울철 질환, 의료 인력 부족 등으로 극심한 압박을 받고 … 더보기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벅찬 내 집 마련의 현실

댓글 0 | 조회 8,561 | 2022.07.27
뉴질랜드에서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 간에 생애 첫 집 구입이 어느 쪽이 더 어려웠는지에 대한 오래된 논쟁이 있었다. 이에 대한 결론은 세계 제2차 대전 이… 더보기

펄펄 끓는 지구, 사라지는 NZ 빙하

댓글 0 | 조회 5,296 | 2022.07.26
지구가 펄펄 끓는다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여름을 맞아 북반구가 유럽을 중심으로 그야말로 뜨겁게 달아올랐다.스페인과 프랑스에서는 연이은 대형 산불로 주민이 대피하고… 더보기

“위기를 기회로 바꾼다” 연어 양식장

댓글 0 | 조회 5,424 | 2022.07.13
지난여름 유례없이 뉴질랜드 주변 바다의 수온이 치솟으면서 말버러의 연어 양식장에서는 1200톤이 넘는 연어가 떼죽음을 당했고 양식장은 막대한 손해를 봤다.배경에는… 더보기

501조 추방자들

댓글 0 | 조회 5,777 | 2022.07.12
요즘 강력 범죄가 늘면서 그 원인 가운데 하나로 호주에서 강제 추방된 뉴질랜드 국적 범죄자들이 거론된다. 호주 이민법 501조에 따라 추방됐기 때문에 흔히 ‘50… 더보기

사상 최저의 실업률에도 불안정한 고용에 힘든 사람들

댓글 0 | 조회 5,624 | 2022.06.29
뉴질랜드의 공식 실업률은 3.2%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고용시장이 구직자 우위이기 때문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거나 이직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조언한… 더보기

2043년, 오클랜드 최대 인종은 ‘아시안’

댓글 0 | 조회 6,632 | 2022.06.28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3년 3월 400만 명을 처음 넘어섰던 뉴질랜드 인구는 16년 뒤인 2019년 9월에 다시 506만 명에 도달한 후 올 3월 기준… 더보기

울타리로 ‘Mt. Cook’을 지킨다

댓글 0 | 조회 2,524 | 2022.06.15
6월 초 국내 언론에는 ‘아오라키/마운트 쿡(Aoraki/Mt Cook) 국립공원’을 지키기 위해 총길이가 55km에 달하는 울타리(fence) 건설이 논의 중이… 더보기

마이너스 수익의 키위세이버 속출

댓글 0 | 조회 6,143 | 2022.06.14
올해 들어 주식시장이 침체하면서 대부분의 키위세이버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 영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키위세이버 가입자들은 지난 2009년 세계금융위… 더보기

천정부지 물가, 고통받는 가계

댓글 0 | 조회 6,956 | 2022.05.25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30여 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상승으로 많은 가정들은 씀씀이를 줄이고 있지만 저소득층에겐 기본적인 생활도 벅찬 현실이다. 물가 급등세는 앞… 더보기

스치듯 바다 위 나는 ‘Seaglider’

댓글 0 | 조회 2,723 | 2022.05.24
최근 뉴질랜드 기업인 ‘오션 플라이어(Regent)’는 ‘시글라이더(seaglider)’라는 생소한 이름의 운송 수단을 도입해 2025년부터 운행에 나선다고 발표… 더보기

국경 개방 후 이민정책

댓글 0 | 조회 8,035 | 2022.05.11
코로나19 규제가 서서히 풀리면서 그 동안 수면 아래 있었던 이민이 다시 정치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닫혔던 국경이 점차 열리면서 지금까지 해외로 나… 더보기

집값 폭등이 부추긴 이혼 , 하지만 건수는…

댓글 0 | 조회 6,617 | 2022.05.10
2년이 넘게 지구촌 가족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은 팬데믹이 일상은 물론 인생 중대사인 결혼과 이혼에 대한 뉴질랜드의 풍속도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팬데믹이 시작… 더보기

집값 급등 우려가 집값 급락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539 | 2022.04.28
팬데믹 이후 지난 2년 동안 집값이 급등하면서 주택을 소유하지 못한 상대적 소외감과 두려움의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증후군이 기… 더보기

금값 오르자 몰려드는 황금 사냥꾼들

댓글 0 | 조회 4,489 | 2022.04.28
귀중한 금속인 금을 숭상했던 인간은 오래전부터 금맥을 찾아다녔고 1800년대 들어서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이른바 ‘골드 러시(Gold Rush)’가 벌어져… 더보기

뉴질랜드에도 고용보험이 필요한가

댓글 0 | 조회 3,929 | 2022.04.13
한국에는 있고 뉴질랜드에는 없는 제도 가운데 하나가 고용보험이다.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더보기

올화이츠 “꿈은 다시 이뤄진다”

댓글 0 | 조회 2,913 | 2022.04.12
2년 넘게 이어지는 코로나 19 팬데믹 중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세계의 이목이 쏠리면서 연일 푸틴 대통령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그런 중에도 올 11월부… 더보기

최적의 은퇴 연령은?

댓글 0 | 조회 6,920 | 2022.03.23
많은 젊은이들은 65세가 되기 휠씬 전에 은퇴를 꿈꾼다. 하지만 사람들은 흰머리가 나기 시작하면 노령연금 수급연령을 넘어서도 일을 하고 싶거나, 할 필요를 인식하… 더보기

침략당한 우크라이나의 아픈 과거

댓글 0 | 조회 3,235 | 2022.03.22
우크라이나(Ukraine)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으로 두 나라 군인들은 물론 어린이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이 대거 희생되는 비참한 전쟁터 모습과 이웃 국가로 피난하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