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민자도 NZ의 귀중한 자산

역이민자도 NZ의 귀중한 자산

0 개 5,109 JJW


뉴질랜드는 거주한지 2년이 지난 영주권자에게 영구 영주권이 주어지는 몇 안 되는 나라중 하나이다. 영주권 스티커에 ‘영구(Indefinite)’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영구 영주권은 뜻 그대로 외국에 나가 살더라도 언제든지 뉴질랜드로 돌아와 무한정 살 수 있는 권리이다. 뉴질랜드에 영원히 살라는 영구 영주권 제도는 역설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가는 영주권자들을 양산해 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취업, 교육, 가정형편 등으로 필요한 시기에 본국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영주권자들의 마음 한 켠에는 뉴질랜드의 여운이 남게 된다. 언젠가는 여기에 다시 돌아올 수 있다고! 
 
경제력 높은 나라 출신의 역이민자 많아
역이민자는 몸은 뉴질랜드에 없지만 이민자와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와 끊을 수 없는 인연을 가지고 있는 뉴질랜드의 귀중한 자산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언제든지 이곳 뉴질랜드에 다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 나쁜 기억이 많든지, 좋은 기억이 많든지 간에 뉴질랜드 소식에 귀를 기울일 것이고 이왕이면 뉴질랜드가 발전하기를 바라고 뉴질랜드가 참가하는 스포츠 경기에서는 뉴질랜드 쪽으로 마음이 갈 것이다.

많은 이민자들이 직업을 구하지 못하거나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뉴질랜드를 떠난다.

이민부 자료에 따르면 2004년과 2011년 사이 영주권을 획득해 뉴질랜드에 거주한 29만6,258명중 13.7%인 4만692명이 현재 해외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역이민자들을 국적별로 보면 영국과 중국이 각각 1만1,171명과 8,257명으로 가장 많다. 

이는 이들 나라의 영주권자 절대 숫자가 단연 많기 때문이다.

비율 면에서 가장 높은 나라는 27%의 미국으로 2,479명의 미국인 영주권자들이 뉴질랜드를 떠났다.

대만(26%, 265명) 싱가포르(25%, 349명) 캐나다(25%, 762명) 네덜란드(21%, 549명) 등도 영주권자 대비 역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나라들이다.

중국의 이 비율은 20%로, 결국 중국인 영주권자 5명 가운데 1명은 중국 등으로 돌아가서 살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에 역이민자 비율이 낮은 나라들에는 미얀마(2%, 31명) 피지(3%, 607명) 통가(3%, 211명) 등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의 경우 2004년부터 2011년 사이 영주권을 받은 미얀마인 1,632명 가운데 고작 31명만이 본국으로 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약 750명에 주어지는 난민 쿼터 영주권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미얀마 이민자들은 여기서 잘 적응해서가 아니라 본국에 가도 아무 것도 없기 때문에 뉴질랜드에 남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얀마에서 아동 군인이었던 헤인 민 아웅(Hein Min Aung)은 “대부분의 미얀마 이민자들은 본국에 남아 있는 것이 없어 돌아가고 싶어도 갈 수 없다”며 “여기서도 적응하기 쉽지 않고 언어장벽에 맞닥뜨리지만 잠잘 지붕은 있고 자식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다”고 털어 놓았다.
 
그는 미얀마에서 정치적 자유가 높아진다면 더욱 많은 미얀마 이민자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역이민자 경제’ 연구 절실 
한국의 최근 뉴질랜드 이민 동향은 역이민자가 줄고 있는 추세이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영구 또는 1년 이상 장기거주 목적으로 출국한 한국인은 4월말 기준 연간 2011년 2,207명, 2012년 2,005명, 2013년 1,605명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한국인 이민자 유입은 2011년 1,889명, 2012년 1,616명, 2013년 1,672명으로 미미하지만 회복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

이 수치에는 12개월 이상 한국에서 살다가 뉴질랜드로 돌아온 영주권자도 포함돼 있다.

역이민자들은 비록 몸은 뉴질랜드에 없더라도 뉴질랜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매시 대학의 헨리 청(Henry Chung) 교수는 역이민자들이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가치는 수 천만 달러가 될 수 있고 ‘역이민자 경제’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매년 신규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가 19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역이민자들의 경제 기여도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 교수는 대부분의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보다 경제력이 높은 나라 출신들로, 저임금과 높은 세금, 기회 부족 등이 뉴질랜드를 떠나는 요인들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신규 이민자들은 고국으로부터 사업 아이디어를 가져와 차별화 전략으로 아시안 슈퍼마켓 등을 시작하고 아시아로부터 상품을 수입합니다. 마찬가지로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에 인맥을 두고 뉴질랜드식 사업 컨셉트와 제품을 본국으로 가져갈 것입니다.”

청 교수는 대만의 선선(Suncern) 회사를 이 같은 예로 들었다.

대만의 역이민자들이 세운 이 회사는 뉴질랜드로부터 제품을 수입해 대만에서 판매하는 사업을 한다.

청 교수는 “이는 뉴질랜드와 역이민자 모두 좋은 윈-윈 상황이다. 이들 역이민자들은 뉴질랜드와 제품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을 뿐아니라 본국의 사업환경에도 정통하기 때문에 사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전했다.
 
NZ 연계사업, 역이민자와 NZ 모두 윈-윈 
청 교수는 역이민자들의 상당수가 사업이민 부문에서 영주권을 받았고 여전히 뉴질랜드와 연계된 사업을 하고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청 교수는 “그들은 뉴질랜드의 자산이고 역이민자 경제를 이해하는 것은 많은 사업과 투자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09년 4월 이후 투자이민 부문에서 영주권을 받은 건수는 185건이고 이들의 투자액은 5억2,000만 달러에 달한다.

심사과정을 거의 마치고 영주권 승인을 앞두고 있는 176건의 투자액은 4억8,000만 달러에 육박하고, 210건, 3억9,500만 달러의 투자이민 신청이 심사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싱가포르로 돌아간 이민자 켄 마(Ken Mar)는 여전히 뉴질랜드를 제1의 고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외아들인 그는 뉴질랜드의 기후에 적응할 수 없었던 연로한 부모를 모시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갔으나 부모가 죽은 후에는 뉴질랜드에 돌아올 계획이라고 얘기한다.

뉴질랜드에 있는 동안 박제술을 배운 그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박제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뉴질랜드박제협회 회원이기도 한 그는 모든 원재료를 뉴질랜드에서 대고 있고 아직도 뉴질랜드에 상당 규모의 투자액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 신규 중국인 이민자에 관한 오클랜드 대학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중국인들은 뉴질랜드 이민을 호주와 같은 다른 서구 국가들로 가기 위한 디딤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민 패턴 유동적으로 변화
해외에 살고 있는 뉴질랜드인들은 이제 60만 명이 넘고 있다.

이들의 25%는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들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매시 대학의 폴 스푼리(Paul Spoonly) 교수는 “이민 패턴이 더욱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이민자가 한 나라에서 영원히 남기를 기대하는 일은 비현실적이다”라고 주장했다.
 
스푼리 교수는 이어 “뉴질랜드는 높은 교육과 경제력을 가진 이민자를 뽑고 있는데, 이러한 사람들이 극히 유동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들은 뉴질랜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더 좋은 기회가 있는 곳으로 떠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천국의 노숙자들

댓글 0 | 조회 9,245 | 2018.05.23
거리에서 지내는 사람들에게 가장 혹독한 계절인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특히 집값과 렌트비가 저소득층에겐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른 오클랜드에서는 올 겨울 길거리… 더보기

이슈로 등장한 이동용 가스 난로

댓글 0 | 조회 9,252 | 2018.05.22
5월 중순으로 접어들면서 뉴질랜드에도 겨울이 본격 시작됐다. 매년 겨울이면 코 끝까지 얼어붙는 매서운 추위는 아니지만 몸을 으슬으슬하게 만드는 냉기는 사람들에게 … 더보기

은퇴는 사치? … 늦은 나이에 일하는 사람들

댓글 1 | 조회 7,515 | 2018.05.09
일하는 노년층이 늘고 있다. 일부는 경제적 여유가 있으면서 삶의 만족과 가치를 위해 직업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생계 불안에 생활비를 보태려 일하는 노인들도 늘… 더보기

교통사고 부르는 다리들

댓글 0 | 조회 7,133 | 2018.05.08
작년 중반부터 전국적으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급증, 경찰과 도로관리 부서를 포함한 정부 당국이 긴장한 가운데 국민들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대하기 시작했다.교통 전문… 더보기

성장하는 애완동물 시장

댓글 0 | 조회 5,911 | 2018.04.25
뉴질랜드의 애완동물 연관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료부터 동물 및 관련 용품, 보호 서비스, 보험 등 애완동물 연관 시장은 이제 연간 18억달러 규모 이상… 더보기

무국적자, 그들이 설 곳은 어디인가?

댓글 0 | 조회 5,284 | 2018.04.24
지난 4월 18일 발표된 올해의 퓰리처상(Pulitzer Prize) 피처 부문에, 미얀마의 로힝야(Rohingya) 난민 위기를 담은 보도 사진들을 선보였던 로… 더보기

국민이 행복한 나라가 이민자도 행복하다

댓글 9 | 조회 12,215 | 2018.04.11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2012년부터 매년 세계행복보고서를 발표한다. 지난달 발표된 ‘2018 세계행복보고서’는 특히 세계가… 더보기

송어 플라이 낚시도 ‘우리가 먼저!’

댓글 0 | 조회 5,818 | 2018.04.10
▲ 헬리콥터를 이용한 송어 플라이 낚시​뉴질랜드 전국의 민물낚시 명소들이 밀려드는 외국인 낚시꾼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상황이 이에 이르자 소중한 낚시터들과 송어… 더보기

NZ, 제2의 알바니아가 될 것인가

댓글 0 | 조회 8,882 | 2018.03.28
중국이 막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전세계 곳곳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특히 지난 2008년 서방 선진국 가운데 처음으… 더보기

섬나라 뉴질랜드의 막내 섬들

댓글 0 | 조회 7,607 | 2018.03.27
얼마 전 국내 언론들에는 남빙양의 한 외딴 섬에서 쥐 구제 작업을 벌이던 자연보존부(DOC) 직원에게 급성 질병이 발생, 해군 함정이 긴급 출동해 며칠 만에 본토… 더보기

‘총체적 불공평’ 대학 무상교육

댓글 0 | 조회 9,533 | 2018.03.14
지난달 26일 대부분의 대학들이 개강했다. 새로운 학기를 맞는 대학가의 화두는 올해 신입생부터 적용되는 무상교육이다. 노동당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인 대학 무상교육… 더보기

변화의 바람 거센 NZ 정계

댓글 0 | 조회 6,293 | 2018.03.13
지난 2월 국민당은 당의 새 얼굴로 ‘사이먼 브리지스(Simon Bridges, 41)’의원을 내세웠다. 당 역사상 최초의 마오리계이자 나이 역시 마흔을 갓 넘긴… 더보기

매력 잃은 주택 투자

댓글 0 | 조회 12,689 | 2018.02.28
임대주택에 대한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집값 조정이 지속되면서 주택시장을 떠나는 임대주택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임대주택 공급 부족… 더보기

NZ 여성들 “자녀 적게, 늦게 갖는다”

댓글 0 | 조회 6,580 | 2018.02.27
뉴질랜드 여성들이 평생 동안 출산하는 자녀의 수가이전에 비해 크게 줄면서 출산 나이 자체도 늦어지고 있다.지난 2월 하순 발표된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이른바 ‘… 더보기

학교에 교사가 부족하다

댓글 0 | 조회 6,852 | 2018.02.14
학교들이 긴 방학을 마치고 새로운 학년을 시작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학교에서 아직도 필요한 교사들을 구하지 못해 반을 재편성하거나 과목을 줄여야 할 형편인 것으… 더보기

오싹한 풍경 속에 즐기는 만찬

댓글 0 | 조회 5,668 | 2018.02.13
평소 이색적인 즐길거리와 먹거리를 찾아 다니고거기다 모험심까지 충만한 이들에게 딱 어울리는레스토랑이 뉴질랜드에 등장했다.▲ 하늘에서의 결혼식​2월 초부터 중순까지… 더보기

비트코인과 뉴질랜드(Ⅱ)

댓글 0 | 조회 8,879 | 2018.02.01
지난 2014년 4월 뉴질랜드의 첫 비트코인용 ATM 설치에 즈음하여 ‘비트코인과 뉴질랜드’라는 제목의 포커스가 게재된 바 있다.그 이후 세간의 관심에서 다소 멀… 더보기

여전히 어려운 내집 마련의 길

댓글 0 | 조회 8,079 | 2018.01.31
내집 장만을 비롯한 주거 문제는 현재 뉴질랜드 정부와 국민들이 안고 있는 오랜 숙제거리 중 하나이다. 특히 대도시 주민들의 열악한 주거 현황은 매번 선거 때면 중… 더보기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댓글 0 | 조회 11,712 | 2018.01.17
■ 주택대출 규제 완화1월 1일부터 주택대출 규제가 다소 완화됐다.중앙은행은 주택 투자자에 대한 신규대출의 경우 시중은행들이 40% 미만 디포짓의 대출을 5%로 … 더보기

갈수록 오락가락하는 날씨

댓글 0 | 조회 6,908 | 2018.01.16
뉴질랜드의 날씨 변화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요란해지고 있다.이는 비단 뉴질랜드만이 아닌 전 지구적 현상이기도 한데,이 바람에 예전과는 판이하게 달라진 기후가우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7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7,735 | 2017.12.20
■ 12일 체류 미국인 억만장자 틸에 시민권 승인 논란연초에 미국 IT 업계 거물 피터 틸(Peter Thiel) 페이팔 창업자가 뉴질랜드 시민권을 2011년 비… 더보기

여름을 더욱 안전하게

댓글 0 | 조회 4,869 | 2017.12.19
본격 여름을 맞이해 많은 이들이전국 곳곳의 해변과 강,호수를 찾아 갖가지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특히 금년에는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비가 내리지 않는건조한 날씨가… 더보기

46% 오클랜드 주택 평균 가치 상승

댓글 0 | 조회 10,118 | 2017.12.06
오클랜드 카운슬이 지난달 20일 공개한 오클랜드 주거용 부동산의 과세표준액(RV, Rateable Value)이 3년 전에 비해 평균 4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 더보기

경찰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

댓글 1 | 조회 5,783 | 2017.12.05
▲ 수색구조에 나선 경찰 및 수색구조대지난달 말 뉴질랜드 경찰이 신규 경찰관 채용 홍보영상을 공개해 국내는 물론 해외 언론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영상에는 한… 더보기

뉴질랜드 기후변화 대응 ‘낙제’ 수준

댓글 0 | 조회 7,393 | 2017.11.22
파리협정 이행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협상이 진행된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3)가 뉴질랜드 등 197개 당사국이 참석한 가운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