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연령 맞기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

은퇴연령 맞기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

0 개 4,066 NZ코리아포스트
나라마다 출생이 많은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한국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가정과 사회가 어느 정도 안정된 1955년부터 가족계획사업이 시작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로 2010년 현재 713만여명으로 총인구의 14%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뉴질랜드 이민 1세대의 상당수도 이 베이비붐 세대일 것으로 짐작된다. 미국은 1946년부터 1964년까지 태어난 7,200만명이, 일본은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출생한 806만명이 베이비붐 세대에 속한다. 뉴질랜드도 세계대전이 끝나고 1946년부터 1964년까지 태어난 세대를 베이비붐 세대라고 얘기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이 베이비붐 세대가 국민연금(Superannuation)을 받을 수 있는 65세가 되는 해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샌드위치 세대’

뉴질랜드의 베이비붐 세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태어나 뉴질랜드의 발전과 함께 성장했다. 1946년부터 1964년 사이 19년 동안 평균 출산율은 4.2명으로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은 편이었다.

베이비붐 세대가 25세에 이르기 전인 1970년 25세 미만 인구는 전체 인구의 무려 49.1%를 차지했고 호주(46.3%)와 미국(45.6%) 등지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 40년간 25세 미만 인구는 49.1%에서 35.8%로 줄어든 반면 25~64세 인구는 42.4%에서 52%로 늘었다.

뉴질랜드 사회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이 베이비붐 세대는 가장 부유하고 건강한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올해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65세에 도달하는 이들은 아직도 이전 세대와 자손을 돌봐야 하는 ‘3층 클럽 샌드위치 세대’라고 불린다.

오클랜드 파파토에토에(Papatoetoe)에 거주하는 노엘린 빌링(Noeline Billing, 62세)은 전형적인 클럽 샌드위치 세대의 사례이다. 노인문제 관련단체인 에이지 컨선(Age Concern)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그녀는 지난해 뇌졸중을 일으켜 양로원에 들어가게 된 시어머니를 1주일에 한 두 번 방문하고 직장생활하는 딸을 대신해 학교 끝날 시간에 두 손자들을 차에 태우고 수영장과 집으로 데려다 준다. 많은 친구들도 비슷한 처지에 있다는 빌링은 65세가 되면 은퇴를 고려해 보겠다고 한다.

실태적 인구통계를 살펴보면 베이비붐 세대가 양쪽 세대들을 돌보고 있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기대수명의 증가로 빌링과 같은 베이비붐 출신들이 60세가 지난 지금도 다른 세대의 가족 구성원들을 보살펴야 하는 것이다.

풍부한 경제력 바탕으로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등장

사회개발부가 최근 발표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 시기를 연장할 필요가 있고, 그로 인해 뉴질랜드 경제에 수십억달러의 혜택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노동력은 전체의 3~4%인데 오는 2051년이면 7~10%로 늘고 수입도 10억달러에서 100억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들이 내는 소득세도 2억달러에서 18억달러로 증가하고 소비지출은 100억달러에서 45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베이비붐 세대는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다.

광고 에이전시 FCB의 안나 치티(Anna Chitty) 이사는 “베이비붐 세대는 손자들이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사주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며 “따라서 기업들의 판매전략도 이들 세대를 주된 타겟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버그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Evergreen Marketing Communications)의 로렌 에드워즈(Lauren Edwards) 이사는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 사회를 변혁했고 인터넷과 각종 신기술 제품에도 친숙해지고 있다”며 “아무도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이들은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나가 정보를 찾을 것이다”고 말했다.

노인들이 젊은이들의 일자리 잠식

노인병 전문의 엘리자베스 스펠라시(Elizabeth Spellacy) 박사는 2050년이면 은퇴 연령이 73세로 연장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미 우리는 전통적인 은퇴 연령을 넘긴 사람들이 여전히 왕성하게 일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65세 이상 노령층의 취업인구는 지난 1991년 2만5,000명에서 2006년 6만2,000명으로 늘었고 20년 안에 24만명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스펠라시 박사는 “노년까지 일하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면서 “사람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진로를 바꾸고 노동시장의 요구도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계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령층이 더욱 늦은 나이까지 직업을 유지하면서 젊은이의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오클랜드의 고용시장은 이미 퇴직 등으로 생긴 10개의 일자리에 평균 16명의 신규자 비율로 구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BNZ의 이코노미스트 스티븐 토플리스(Stephen Toplis)는 노인들이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빼앗아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이 노동시장이 원만하게 돌아가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2007년 말과 현재를 비교하면 15세에서 19세 사이 취업자 수의 경우 5만500명이 줄어들었으나, 같은 기간 5만6,000명이 넘는 60세 이상 노령층이 일자리를 얻었고 특히 그들 중 41%는 65세가 넘는 사람들이라는 것. 토플리스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일하는 게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노인 세대들이 노동시장을 더 많이 파고 들어옴으로써 젊은이들이 취업 기회를 잃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65세 국민연금 최저 연령 ‘상향조정’ 해야

베이비붐 세대가 국민연금 수령 최저연령인 65세를 맞기 시작한 것은 뉴질랜드가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시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뉴질랜드의 인구 구조는 젊은층이 많은 삼각형 형태에서 모든 세대가 비슷한 직사각형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5년 동안 10만명의 베이비붐 세대가 65세를 맞게 된다.

현재 82.7세와 78.8세인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은 오는 2061년이면 89세와 86세로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해 약 50만명으로 전체인구의 12%를 차지했던 65세 이상 노령층은 2051년엔 전체인구의 26%인 12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따라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더욱 오랜 기간 국민연금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최저연령을 65세로 유지하는 것이 합당한가 하는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대부분의 복지제도는 65세 인구가 4%에 불과했던 1898년에서 1934년 사이에 태동되었다.

이에 은퇴위원회(Retirement Commission)는 오는 2020년부터 매년 2개월씩 국민연금 수령 최저연령을 높여 2033년부터 67세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최근 제안한 바 있다.

은퇴위원회는 국민연금에 들어가는 비용이 현재는 국내총생산(GDP)의 4% 정도로 비교적 낮지만 노령화로 7.3%까지 올라갈 것이라며 지금부터 대비를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은퇴위원회 다이애나 크로싼(Diana Crossan) 위원장은 “현재 45세 전후의 사람들이 미래에 국민연금을 차질 없이 받을 수 있도록 지금부터 조금씩 변화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뉴질랜드의 저명한 의사들도 ‘뉴질랜드 메디칼 저널’에 발표된 보고서를 통해 22%의 어린이들이 가난한 환경 속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65세 이상 인구에 후한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며 연금 연령을 올려 절약된 예산으로 빈곤가정에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65세의 연금 연령은 기대수명이 지금보다 25년이나 낮았던 1899년에 제정된 것인데 아직까지 변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존 화이트헤드(John Whitehead) 전 재무부 차관보도 연금 연령을 65세로 유지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연령을 상향 조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정부는 연금 연령의 조정을 검토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존 키(John Key) 총리는 “우리는 연금 수령 연령을 올릴 필요가 없고, 이는 국민과의 공약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뉴질랜드가 노령화의 조류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스펠리시 박사는 “정부는 근시안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고 노령화에 따른 문제들을 진지하게토론하려는 지도자들이 없다”고 말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둘기와 결투(?) 벌인 앵무새 ‘Kea’

댓글 0 | 조회 6,312 | 2017.11.07
올해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조류 챔피언 자리를 놓고온라인에서 일전이 벌어진 끝에 ‘고산 앵무새(mountain parrots)’로 널리 알려진 ‘키아(Kea)’가 … 더보기

꼬리가 몸통을 ‘심하게’ 흔든 NZ 총선

댓글 2 | 조회 7,377 | 2017.10.26
뉴질랜드의 선거제도인 혼합비례투표제(MMP)는 독일을 모델로 하고 있다. 세계에서 혼합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는 대표적인 두 나라인 뉴질랜드와 독일은 공교롭게도 … 더보기

FIFA 월드컵 다시 도전하는 올화이츠

댓글 0 | 조회 5,701 | 2017.10.25
러시아 월드컵 본선 참가국들이 차례로 결정되면서 지구촌이 축구 열기로 후끈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대양주 대표인 뉴질랜드 역시 다음달에 본선 진출 자격을 놓고 남미… 더보기

제한 있는 ‘무제한’약정

댓글 2 | 조회 7,191 | 2017.10.11
많은 회사들이 고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무제한’사용 상품의 판매를 늘리고 있다. 특히 경쟁이 심한 전기 통신 시장에서 통화 시간과 데이터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 … 더보기

인종차별주의 본심 들킨 경찰관들

댓글 4 | 조회 9,250 | 2017.10.10
이민자로 구성된 이곳 뉴질랜드에서 인종차별 행위는 큰 범죄로 취급된다. 실제로 이는 우리 교민을 비롯해 특히 아시아권 이민자들이 평소 생활하면서 많이 부딪히는 현… 더보기

뉴질랜드 대학 교육이 향상되려면

댓글 0 | 조회 6,089 | 2017.09.27
최근 발표된 세계 대학 순위에서 뉴질랜드 주요 대학의 순위가 추락하면서 대학 교육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추세로 가다가는 뉴질랜드 대학들은 세계 상위… 더보기

숙제거리 떠안은 NZ대학들

댓글 0 | 조회 7,213 | 2017.09.26
지난 9월 초 발표된 ‘2018 타임즈 하이어 에듀케이션 세계대학순위(Times Higher Education World University Rankings)’에… 더보기

국민당의 4기 집권이냐, 노동당의 부활이냐

댓글 0 | 조회 8,711 | 2017.09.13
오는 23일 실시되는 총선은 지난 두 차례의 총선과 달리 접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 1야당 노동당이 지난달 1일 전격적으로 재신더 아던(Jacinda… 더보기

세계 제패한 NZ의 여전사들

댓글 0 | 조회 5,615 | 2017.09.12
▲ 우승한 블랙펀스지난 8월 26일, 뉴질랜드 여자럭비 국가대표인‘블랙펀스(Black Ferns)’가‘여자럭비 월드컵(Women’s Rugby World Cup,… 더보기

들쑥날쑥한 이민부 심사

댓글 3 | 조회 13,426 | 2017.08.23
비자 신청에 대한 이민부의 심사가 합리적인 결과를 예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무소 및 담당 직원의 자유재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민부 사무소마다… 더보기

눈앞에 다가온 인구 500만명 시대

댓글 0 | 조회 8,562 | 2017.08.22
뉴질랜드가 인구가 500만명 시대를 목전에 두게 됐다. 8월 중순에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은 금년 6월말 현재 총인구가 479만명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부정하게 수당을 받은 결말은?

댓글 0 | 조회 12,170 | 2017.08.09
더니든에 한 채의 주택과 한 채의 성을 가지고 있고 녹색당의 공동 대표로 성공한 메티리아 투레이(Metiria Turei, 47세)가 24년 전 수당을 받기 위해… 더보기

총선 앞두고 춤추는 NZ 정치계

댓글 0 | 조회 6,023 | 2017.08.08
9월 23일(토) 실시될 뉴질랜드 총선을 앞두고 정치인들의 움직임이 부산한 가운데 제1 야당인 노동당이 30대 젊은 여성 정치인으로 당의 얼굴을 전격적으로 교체했… 더보기

모든 주택 판매가 이익을 남기는 건 아니다

댓글 0 | 조회 8,695 | 2017.07.26
집값이 지난 몇 년 동안 상승하면서 많은 주택 판매자들에게 커다란 매매 차익을 안겨 주었다. 많은 사람들이 높은 수익을 쫓아 주택시장에 뛰어들었으나 모든 사람들이… 더보기

사진 찍어 페이스북 올리는 죄수들

댓글 0 | 조회 5,933 | 2017.07.25
보안이 엄격한 교도소에서 재소자들이 기념사진들을 찍은 후이를 인터넷에 버젓이 올려 자랑까지 해대는 사건이 벌어졌다.▲ 초소형 휴대폰​보안에 큰 구멍 뚫린 교도소최… 더보기

상승 물결 타는 뉴질랜드 달러

댓글 2 | 조회 13,632 | 2017.07.12
한동안 하락했던 뉴질랜드 달러화가 다시 상승 모드로 돌아섰다. 뉴질랜드 달러화의 강세는 앞으로도 1년 동안 계속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뉴질랜… 더보기

늘어나는 외국인 방문자의 공공병원 치료비

댓글 0 | 조회 7,882 | 2017.07.11
매년 5월 말 무렵이면 국내 언론에 단골로 등장하는 기사가 있는데, 그것은 국내의 공공 의료기관을 무료로 이용할 자격이 없는 외국 출신 방문객들에게 투입된 각종 … 더보기

시행 10주년 맞는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7,088 | 2017.06.28
다음달이면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지 10년이 된다. 키위세이버는 그동안 뉴질랜드의 노후대비 저축제도로 자리 잡으면서 기금과 가입자 측면에서 괄목한… 더보기

점점 줄어드는 개와 고양이

댓글 1 | 조회 6,954 | 2017.06.27
인구가 늘고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람들 일상생활도 점점 바빠지면서 뉴질랜드 국민들이 사랑하는 반려동물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고 있다. 전통적 반려동물이… 더보기

살기 힘들어진 오클랜드

댓글 10 | 조회 18,976 | 2017.06.14
살인적인 집값과 높은 렌트비, 날로 심해지는 교통체증, 늘어나는 흉악 범죄, 자연재해에 무방비 등등.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조사에서 올해 3위를 차지하는… 더보기

전기 난방기기, 어떤 게 적당할까?

댓글 2 | 조회 14,488 | 2017.06.13
겨울이 되면 고국을 떠나온 교민들이 아쉬움 속에 그리워하는 게 이민 전 한국의 아파트 생활에서 누렸던 따뜻한 온돌과 중앙난방, 그리 큰 부담 없이 쓰던 뜨거운 물… 더보기

'퇴색한 안작 우정' -NZ이주자에 대한 호주의 주요 정책 변화

댓글 0 | 조회 8,201 | 2017.05.24
뉴질랜드와 호주는 매년 4월 25일 공통으로 안작데이를 기념한다. 이 날은 1915년 제 1차 세계 대전 당시 호주·뉴질랜드 연합 군단(ANZAC, Austral… 더보기

누가 이민을 오고 있나?

댓글 0 | 조회 12,149 | 2017.05.23
연간 유입되는 이민자 숫자가 신기록을 이어가는 가운데 금년 9월 23일에 실시될 총선을 앞두고 정가는 물론 뉴질랜드 사회 전체에서 이민 정책이 중요한 선거 이슈로… 더보기

규제 일변도의 이민 정책

댓글 2 | 조회 12,517 | 2017.05.10
총선을 4개월여 앞두고 국민당 정부는 연봉에 따라 기술이민과 워크비자를 규제하기로 발표했다. 정부는 이민 신청자들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 이민 정책을 변경하… 더보기

지역사회 뒤흔든 경찰관의 총격사건

댓글 0 | 조회 6,286 | 2017.05.09
현직 경찰관이 사이가 멀어진 아내와 그녀의 연인에게 총을 쏴 아내를 살해하고 남자에게는 중상을 입히는 충격적 사건이 벌어져 한 도시의 지역사회 전체가 술렁거리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