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이현숙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멜리사 리
수필기행
조기조
김지향
송하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박종배
새움터
동진
이동온
피터 황
이현숙
변상호경관
마리리
마이클 킴
조병철
정윤성
김영나
여실지
Jessica Phuang
정상화
휴람
송영림
월드비전
독자기고
이신

꽃게

0 개 3,122 박명윤

우리가 즐겨 먹는 생선 중에 꽃게와 고등어가 최근에 언론을 통해 자주 거론되고 있다. 지금 한강 하구와 연평도 해역에서 ‘꽃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꽃게는 중국어선 불법 조업으로 인하여 어획량이 전년대비 70% 급감했다. 고등어는 조리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의 20배 이상 배출된다는 환경부 발표로 인하여 한바탕 ‘고등어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꽃게와 고등어에 관한 칼럼을 두 차례에 걸쳐 게재하고자 한다. 

 

중국 어선들의 불법 조업은 ‘글로벌 공공의 적’이 되고 있다. 즉 중국의 불법 어로(漁撈)는 동북아, 동남아, 러시아 근해, 중동, 아프리카, 남미 해역까지 뻗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아프리카 24개국이 공동으로 “중국은 불법 조업을 중단하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중국 어선의 불법 어로가 근절되지 않자 일부 국가에서는 군(軍)을 동원하는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해군과 해병대, 해양경찰 등으로 구성된 ‘민정 경찰’이 한강 하구에서 불법 조업 중인 중국 어선을 퇴거하는 작전을 사상 처음으로 실시했다. 하지만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은 계속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중국에 항의하면 “단속은 하지만 쉽게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응답한다. 북한도 중국 어선들로부터 입어료(入漁料)를 받고 어장을 내주면서 해상의 군사분계선인 북방한계선(NLL, Northern Limit Line)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통제한다고 하지만 말뿐이다. 

 

국제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Greenpeace)’에 따르면, 중국 어선들은 바다 밑바닥까지 훑는 저인망 불법 조업으로 바다 생태계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다. 중국 연안의 어족 자원은 1950년대의 30% 이하로 급감했으며, 이 같은 남획(濫獲)이 전 세계 바다로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원양 선단은 약 2천척 규모로 세계 최대이다. 중국인의 생선 소비량은 1990년 1인당 10kg에서 2010년 33kg을 넘어섰으며, 2013년 기준으로 전 세계 생선 생산의 35%, 소비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연평도 어민들이 중국어선의 불법 꽃게 저인망 싹쓸이로 인하여 파산 위기에 처해 있다. 중국 어선들이 10여 년 전부터 불법조업을 해왔고, 특히 어족 보호를 위해 7-8월 두 달간은 법적 금어기(禁漁期)로 접어드는데 알이 밴 꽃게를 저인망으로 싹 쓸어가므로 연평도에서 어족(魚族)이 사라질 수 있다. 꽃게는 길이 6.4cm 이하는 잡지 못하도록 하고 있지만, 중국어선의 싹쓸이에 씨가 마르고 있다. 또한 중국 어선들의 불법 쓰레기 투기와 폐유(廢油) 방류 등으로 인하여 바다 오염이 심각하다. 

 

연평어장에서 5월 말까지 꽃게 어획량은 5만 1천600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만9995kg의 1/3수준, 2014년 33만1496kg의 1/6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뚝 떨어진다. 꽃게 물량이 적으니 값은 오를 수밖에 없어, 인천 연안부두 어시장 꽃게 가격은 암게 기준 1kg에 4만 원대로 지난해보다 1만 원가량 올랐다. 1kg이면 큰 꽃게 3마리 정도이므로, 한 마리에 3천 원 이상 오른 셈이다. 

 

게(crab)는 절족 동물로서 납작하고 두흉부가 크고 복부는 하면에 굽어 붙어 있다. 등과 배는 단단한 딱지에 싸여 있으며, 발은 모두 다섯 쌍으로 첫째 한 쌍은 집게발로 되어있다. 게는 옆으로 기어 다니기를 잘하고 거품을 내뱉는다. 사람이나 동물이 몹시 괴로울 때 부걱부걱 나오는 거품 같은 침을 ‘게거품’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게는 서식(棲息)하는 곳에 따라 바닷게와 민물게로 나눈다. ‘바닷게’에는 꽃게, 꽃발게, 농게, 도적게, 달랑게, 바닷참게, 털게, 대게 등이 있으며 ‘민물게’로는 참게, 방게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꽃게는 껍질이 암적색이나 황갈색의 마름모꼴로 생겼으며, 다섯째 다리가 납작한 것이 특징이다. 꽃게는 산란기를 바로 앞둔 것이 알이 꽉 차서 맛이 가장 좋다. 껍질이 둥근 것이 암놈이고, 삼각형으로 뾰족한 것이 수놈이다. 꽃게는 6월에 잡은 것을 최상품으로 치며, 고르는 요령은 들어 보아 묵직한 것이 좋다. 

 

꽃게는 수심 20-30m 모래 바닥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낮에는 모래펄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이 되면 활발하게 움직인다. 꽃게는 육식동물로서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겨울에는 깊은 곳이나 먼 바다로 이동하여 겨울잠을 자며, 3월 하순경부터 산란을 위해 얕은 곳으로 이동한다. 산란기는 6-8월이며, 꽃게의 수명은 약 3년으로 추정한다. 

 

게의 겉껍질와 발에는 아스타산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단백질과 결합해 있다. 게를 삶거나 구우면 빨갛게 변하는 것은 아스타산틴은 가열(加熱)하면 단백질과 결합이 끊어져 본래의 색인 붉은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게의 식용 부위는 주로 다리 살이며, 가열하면 근육 조직이 연해져 발라먹기가 쉽고 맛도 좋아진다. 

 

게살의 15-20% 정도가 단백질이며, 지방 함량이 적어 담백하고 달착지근하며 부드럽다.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의 중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발육기 어린이들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또한 지방 함량이 적어 소화성이 우수하여 회복기 환자나 허약한 사람과 노인에게도 좋다. 그러나 게는 신선도가 빨리 떨어지며 세균의 번식이 상당히 빨라 식중독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꽃게(Blue crab, swimming crab)의 주요 영양성분<삶은 것(boiled) 가식부(edible portion) 100g 당>은 다음과 같다. 에너지 102kcal/ 수분 77.4g/ 단백질 20.2g/ 지질 1.8g/ 회분 2.0g/ 탄수화물 0/ 칼슘 104mg/ 인 206mg/ 철 0.9mg/ 나트륨 279mg/ 칼륨 324mg/ 비타민A 레티놀 2㎍/ 비타민B1 0.10mg/ 비타민B2 0.05mg/ 나이아신 3.3mg/ 비타민C 3mg. 

 

게는 어느 나라에서나 즐겨 먹는데 특히 중국인과 일본인들이 좋아한다. 중국 당(唐)나라 시선(詩仙)이라 불린 이태백(李太白, 701-762)은 월하독작사수시(月下獨酌四首詩)에서 “한 손에는 게 다리를 들고 한 손에는 술잔을 들고 주지(酒池) 속을 헤엄치고 있으면 일생 살아가는 데 무엇을 더 바라리오”라고 읊었다. 

 

뱃속에 알이 꽉 차있는 암게로 장을 담그면 최고의 ‘밥도둑’이 된다. 꽃게는 찜, 탕, 게장 등으로 조리하며, 쪄서 먹거나, 끓는 물에 삶아서 살을 발라먹는 것이 가장 맛있다. 게살을 발라 전유어를 부쳐 먹기도 한다. 게가 죽었거나 냉동된 것은 토막을 쳐서 고추장이나 된장을 풀고 채소를 넣어 찌개를 끊이는 것이 좋다. 옛날 궁중에서 임금 수라상에 ‘꽃게감정’을 올렸다고 한다. 꽃게감정은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나 제철에 고급스럽고 깔끔한 맛을 내는 음식이다. 

 

꽃게감정을 만드는 법은 등딱지를 떼고 몸통을 갈라서 게살을 발라서 고기, 두부, 숙주 등 여러 가지 채소로 소를 만들어 등딱지에 가득 채운 다음 채운 면을 밀가루와 달걀을 묻혀서 지져낸다. 쇠고기장국에 게발을 넣고 끓여 국물이 우러나면 걸러서 된장과 고추장을 풀어서 맛이 들면 지져 낸 게와 마늘, 생강을 넣고 잠깐 더 끓이다가 마지막에 파를 얹고 불에서 내린다. 

 

경상북도 영덕(盈德)은 ‘대게’로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영덕군은 매년 4월 초에 ‘영덕대게축제’를 주최하여 전국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이 영덕대게의 맛을 체험하고 있다. 대게라는 명칭은 게발이 붙어나간 모양이 대나무의 마디와 같이 이어져 있는 데에서 연유했으며, 한자로는 죽해(竹蟹)라고 한다. 

 

영덕대게는 껍질이 얇고 살이 많으며 맛이 담백하여 구미를 돋우는 명품 게이다. 서식지는 영덕군의 대진 앞바다에서 감포 앞바다에 걸쳐 있으며, 서식처의 수심은 150-250m이다. 대게의 교미기간은 3, 4월이며, 산란기는 그 다음해 봄철이다. 암놈은 대개 8만-15만개의 알을 낳는다. 

 

대게의 어획기간인 12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잡힌 게가 살이 많고 맛이 있다. 몸 너비 9cm 이하의 새끼대게는 잡을 수 없으며, 만약 남획하였을 때는 ‘수산물어획법’에 의하여 처벌을 받게 된다. 매년 6월부터 11월까지는 대게 금획기간이다. 대게 어획고(漁獲高)가 점점 감소하여 대게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민물게는 논이나 강어귀, 강모래 속에서 서식한다. 가을철에 암놈의 등딱지 속에 단맛이 나는 장이 드는데 이때가 맛이 가장 좋다. 그러나 민물게는 디스토마(distoma) 기생충에 감염될 위험이 크므로 날것이나 게장으로 먹는 것은 삼가 하도록 한다. 

 

코로나 블루(Corona Blue)

댓글 0 | 조회 4,973 | 2020.03.21
지난 2015년 당시 박근혜정부는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증후군) 초기 방역이 실패하여 확진자 186명이 발생하였으며 38명이 사망했다. 2020년 문재인정부도… 더보기

코로나 백신 부작용

댓글 0 | 조회 4,694 | 2021.10.09
전문가들이 “코로나19의 완전 종식은 어렵다”고 전망하고 있어 ‘위드 코로나(With Corona)’란 용어가 익숙해지고 있다.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 더보기

코로나 사태와 식량 대란(食糧大亂)

댓글 0 | 조회 4,423 | 2020.04.20
인류 역사의 분기점으로 BC(Before Christ, 그리스도 이전)와 AD(Anno Domini, 그리스도의 해)가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 칼럼니스트… 더보기

마스크 대란(大亂)

댓글 0 | 조회 4,407 | 2020.04.14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되면서 마스크(face-mask)가 고도의 전략물자(戰略物資)가 되어 세계 곳곳에서 ‘마스크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마스… 더보기

공중보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댓글 0 | 조회 4,225 | 2017.05.09
미국 예일대 윈슬로우(E. A. Winslow, 1877-1957) 교수는 ‘공중보건학’을 환경위생관리,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진단과… 더보기

결핵(結核) 후진국의 늪

댓글 0 | 조회 3,884 | 2016.09.01
최근 대형 병원에서 ‘결핵 비상’ 상황이 벌어졌다. 지난달 서울 이대목동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던 여성 간호사(32)가 결핵 확진을 받았으며, 이달에는 … 더보기

파킨슨병으로 알리 사망

댓글 0 | 조회 3,876 | 2016.06.23
몇 년 전에 필자의 고교 동창생 한 명과 파인트리클럽 시니어회원 한 명이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으로 오랜 기간 투병하다가 사망했다. 최근에… 더보기

장수촌(長壽村) 오키나와의 장수비결(長壽秘訣)

댓글 0 | 조회 3,811 | 2017.03.23
일본은 세계적으로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은 나라이다. 특히 100세 이상 장수 노인의 수는 1963년에는 153명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 무려 3만 명으로 증가했… 더보기

누죽걸산, 더 많이 움직이자

댓글 0 | 조회 3,810 | 2017.02.22
“누죽걸산” 累竹傑山(?) 지난 1월 25일에 개최된 대구 경북고등학교(1916년 개교) 제39회동창회 신년회에서 동창생 한 사람이 덕담(德談)으로 “누죽걸산”을… 더보기

정부 인증마크 신뢰성

댓글 0 | 조회 3,794 | 2017.09.12
“이제 믿고 살게 없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정부 인증마크를 믿지 못하고 하는 말이다. 그동안 ‘친환경’ 산란계 농장에서 생산한 계란은 살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더보기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

댓글 0 | 조회 3,740 | 2016.11.22
속담에 ‘이(齒)가 오복(五福)에 든다’고 하는 것은 치아(齒牙)가 좋아야만 건강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 듯하다. 오복이란 우리나라 사람들이 예부터 즐겨 사용… 더보기

햄릿(Hamlet)의 삶과 죽음

댓글 0 | 조회 3,686 | 2016.08.11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 대사는 셰익스피어(William Shak… 더보기

바이러스성 질환과 면역력 강화

댓글 0 | 조회 3,666 | 2020.03.07
면역(免疫, Immunity)이란 전염병(疫)을 면(免)한다는 뜻으로 체내에 병원체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말한다. 요즘 … 더보기

높은 코로나 확진•위중증•사망

댓글 0 | 조회 3,592 | 2021.12.27
코로나19 확진자로 재택 치료를 받던 30대 임신부(姙娠婦)가 병원 병상을 배정받지 못해 119 구급차 안에서 출산(出産)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집에 머무는 코로… 더보기

코로나 비만(肥滿)

댓글 0 | 조회 3,562 | 2020.04.17
요즘 ‘집안 식탁에서도 마스크(mask)를 착용하라’고 권장한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예방(to prevent Coronavirus) 보다는 코로나 스트레스 해소… 더보기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 개발

댓글 0 | 조회 3,470 | 2020.05.0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세계적 대유행이 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치료제도 중요하지만 근… 더보기

의료붕괴 올수도 있다

댓글 0 | 조회 3,443 | 2020.09.05
광복절(光復節) 연휴(8월 14-17일)가 끝난 다음날 아침에 배달된 신문에는 코로나19의 대유행(팬데믹) 조짐이 보이고 있으며, 최악의 경우 의료(醫療)시스템 … 더보기

코로나 팬데믹 3년차, 오미클론 대확산

댓글 0 | 조회 3,375 | 2022.02.14
2020년 1월 20일에 국내에서 코로나19(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첫 확진자가 나왔다. 첫 확진자는 1월 19일 인천공… 더보기

‘중국발 코로나’ 막아라

댓글 0 | 조회 3,357 | 2023.01.06
조선일보가 12월 26일자 신문에 보도한 <조선일보 선정 2022년 10대 뉴스>에는 국내와 국제 뉴스가 10개씩 선정되었다. 국제 10대 뉴스에는 &… 더보기

곤충산업(昆蟲産業) ‘메카’

댓글 0 | 조회 3,230 | 2016.08.24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 중 약 20억 명이 1900여종의 곤충(昆蟲, insect)을 먹고 있다. 딱정벌레, 꿀벌(말벌)과 애벌레… 더보기

코로나 정상회의(Summit)

댓글 0 | 조회 3,181 | 2020.04.0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 대한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G20 정상회의(Summit)가 3월 26일 화상(畵像)회의 형식으로 열렸다.… 더보기

현재 꽃게

댓글 0 | 조회 3,123 | 2016.07.01
우리가 즐겨 먹는 생선 중에 꽃게와 고등어가 최근에 언론을 통해 자주 거론되고 있다. 지금 한강 하구와 연평도 해역에서 ‘꽃게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꽃게는 중… 더보기

Greenery 반려식물(伴侶植物) 시대

댓글 0 | 조회 3,114 | 2017.05.31
세계적인 색채 전문기업 팬톤(Pantone)이 2017년도 컬러(Color of the Year 2017)로 선정한 총 10가지 컬러 중 가장 눈여겨볼 색은 그리… 더보기

노니(Noni)와 커피(Coffee)

댓글 0 | 조회 3,109 | 2019.04.19
베트남을 관광하는 한국인이 즐겨 구입하는 품목에는 노니(Noni)와 커피(Coffee)가 있다. 필자가 지난 3월 가족여행으로 택한 베트남 관광지 방문코스에도 노… 더보기

배우 최은희, 신장(腎臟) 투석(透析)

댓글 0 | 조회 2,979 | 2018.05.05
‘은막(銀幕)의 톱스타’ 최은희(崔銀姬)씨가 지난 4월 16일 향년 9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의 장남인 신정균 영화감독은 이날 “어머니가 오늘 오후 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