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금속활자본과 박병선 박사-제 1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이현숙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멜리사 리
수필기행
조기조
김지향
송하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박종배
새움터
동진
이동온
피터 황
이현숙
변상호경관
마리리
마이클 킴
조병철
정윤성
김영나
여실지
Jessica Phuang
정상화
휴람
송영림
월드비전
독자기고
이신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과 박병선 박사-제 1편

0 개 2,137 정경란

1990년대 초반으로 기억한다. 영어 공부를 위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주한미군방송인 AFKN을 시청하던 중이었다. 프로그램 이름은 ‘Jeopardy’로 퀴즈쇼였다. 더러는 알아듣기도 하고, 더러는 무슨 말인지 모른 채 보고 있었다. 그 중 귀가 번쩍 뜨이는 문제가 있었으니 이랬다. ‘구텐베르크보다 00년 더 먼저 금속활자를 발명한 나라는 어느 나라인가?’였다. 정답이 아주 ‘분명’해 보였기에 누구라도 쉽게 맞출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아니, 세상에. 아무도 감히 정답을 맞추려 하지 않았다. 아마도 그 쇼에 참가한 미국인들은 그동안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세계 최초로 금속 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냈다고 믿고들 있었던 터라, 그보다 더 먼저 금속활자를 만든 나라가 따로 있다는 말에 충격을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세계 최초 금속 활자본의 나라로 인정받은 한국 시청자의 소견으로는 그렇다는 말이다.) 결국 사회자가 아시아의 국가라는 식의 힌트를 주었음에도 엉뚱한 ‘못먹어도 고~’ 식의 시도를 끝으로 그 문제를 맞추는 사람은 없었다. 이후 사회자가 ‘코리아’라고 정답을 알려주었지만, ‘아하!’ 하는 뒤늦은 깨달음의 감탄사는 전혀 없었다. 참가자나 방청석에서도...전혀...

‘아니, 저걸 왜 모를까?’

아시아의 끄트머리에, 누구 말마따나 맹장처럼 붙어있는 한국이 세계 최초로 (그때까지 공인된 기록상) 금속활자를 만들어 책을 인쇄했다는 사실을 ‘그럴 수도 있겠지’라고 선뜻 받아들일수 있는 서구인이 얼마나 될까. 더군다나 중국도 아니고 일본도 아닌 한국이라니...

청주에 가면 고인쇄 박물관이 있다. 올 겨울 박물관 기행의 일환으로 꼭 들러야 할 곳으로 꼽던 곳이었다. 버섯 머리를 한 박물관 지붕이 인상적이었는데 실제 버섯의 형상에서 따온 것인지는 확인해보지 못했다. 이 박물관은 전적으로 세계최초금속활자본이라는 ‘직지’(정식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인데, 확 줄여서 그냥 직지라고 한다.)와 실제 금속 활자로 인쇄되었음을 5년여의 노력으로 밝혀, 유네스코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한 박병선 박사 덕분에 생겨난 박물관이다. ‘직지’는 말 그대로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는 것이다. 불교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부처의 가르침의 본질을 ‘대놓고 간단하게 말하겠다’는 것인데 저마다 마음을 바르게 가지면 그게 곧 부처의 마음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청주 고인쇄박물관에 가면 이 ‘직지’ 원본이 없다. 복사본만 있을 뿐이다. 원본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있다. 우리한테 빼앗아 갔더라면 다시 돌려달라고 떼를 쓸 수 있으련만 안따깝게도 구한말 주한 프랑스 공사를 지낸 콜랭 드 플랑시가 어느 고물상 혹은 누군가에게 돈 주고 사 간 것이라고 한다.



박병선 박사는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유학을 떠나 역사학, 민속학, 철학을 두루 공부하고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사서가 된다. 당시까지 직지는 프랑스 서지학자에 의해서 금속활자로 인쇄되었음이 책 뒷면에 밝혀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실제 금속활자로 인쇄되었음을 증명한 예는 없었다. 플랑시 공사의 손에서 이후 다른 이의 손으로 넘어간 직지는 최종 소유자의 유지에 따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기증된다. 그리고 서고 한켠에서 먼지만 쌓여가던 이 책을 찾아낸 박병선 박사는 도서관장에게 그 책의 가치를 역설한 뒤 도서관장의 특별허락으로 5년 동안 홀로 서지학과 인쇄술사를 공부하면서 온갖 재료로 (심지어 당근과 진흙으로도) 주형을 뜨고 실험까지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유네스코에 발표하였고 직지는 2001년 공식적으로 세계기록유산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몇 줄로 간략하게 요약하였지만, 실제 박병선 박사가 개인적으로 겪은 어려움은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다. 직지를 연구하던 5년 동안 한국 학계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아무런 답변도 듣지 못하다가 나중에서야 ‘당신이 서지학자도 아닌데 왜 그걸 연구하느냐’라는 식의 말도 안되는 핀잔도 듣고, 박병선 박사의 연구에 숟가락만 얹어서 마치 자기네들이 그 공을 세운 듯 위세한 교수도 있었다.

아주 우연찮게, 2000년도 초반 대학원시절, 구내식당에서 이 분과 마주하고 점심을 같이 한 적이 있었다. 소박한 옷차림에 ‘노구’라고 밖에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당시로도 연세가 많이 들어뵈던 박병선 박사는 대화중에 그런 말씀을 하셨다. 나는 속으로 ‘저분을 더 붙들고 인터뷰라도 해야 하는데...다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을텐데....’ 하면서 기회를 보았지만, 게으름이 병이라 끝내 시도도 못해 보았다. 나중에 분명 후회할 것임을 알았고 실제 아주 많이 나를 탓하고 또 탓했다. 박병선 박사의 헌신과 노력은 ‘직지’에서 멈추지 않는다.

한 TV 프로그램에서 (그것도 오락성 프로그램에서) 시작하여 크게 사회적 호응을 불러온 ‘외규장각 도서 반환운동’을 기억하실 것이다. 이름도 낯선 외규장각 도서라... 알고 보면 아주 놀라실 것이다.

일본해냐 동해냐

댓글 0 | 조회 2,465 | 2014.02.12
최근 버지니아주 의회에서 주내 공립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일본해와 동해를 병기하도록 하는 결의안을 발의했고, 이제 주지사의 서명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한… 더보기

지진피해 현장을 찾아서

댓글 0 | 조회 2,549 | 2014.01.30
2014년 1월 20일 월요일 4시 50분경, 긴 지진을 경험했다. 날카롭지도, 짧은 순간 강력하지도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꽤 오랫동안 흔들림이 있었다. 이후 도미… 더보기

중국여행소감-광저우

댓글 0 | 조회 2,573 | 2014.01.14
중국 서쪽 사천성에서 동쪽으로 충칭, 항저우, 상하이를 아우르는 학술 답사를 다녀온 게 15년 전이었다. 대학원 박사과정 학생들로 구성된 학술답사팀은 2주 일정으… 더보기

차 혹은 커피 한잔? Tea에 관한 짧은 역사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1 | 2013.12.24
커피나 차 한잔 하실래요? Would you like to have a cup of coffee or tea? 너무 길다. a cup of coffee? 이것도 … 더보기

뉴질랜드스러운 야외용 취사도구들

댓글 0 | 조회 4,041 | 2013.12.10
앞서 배취에 대해서 말했듯이 자연속에서 살자면 전기의존도도 줄이고, 빗물을 모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럼, 아침으로 토스트를 즐기는 키위들이 사용하는 토스터… 더보기

배취(Bach)를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2,694 | 2013.11.26
▲ 뉴질랜드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배취의 모습 구글에서 뉴질랜드 배취를 검색하면 초록 언덕과 파란 바다를 다 품은 듯 자리잡은 소규모 별장급들의 건물들… 더보기

웰링턴은 공사중

댓글 0 | 조회 1,884 | 2013.11.12
▲ Te Papa Musium, Wellington, google image 새든지진이 있기 훨씬 전부터 웰링턴은 (오클랜드를 포함 대도시에서도) 지진 취약건물에… 더보기

살인적인 서비스 물가

댓글 0 | 조회 2,576 | 2013.10.22
그런 소리는 익히 들어서 알고 있었지만, 실제 겪어보니 ‘악’ 소리가 나올 지경이다. 지하실에 전구 두개 더 달기 위해 전기기사를 불렀다가 … 더보기

노벨생화학상 수상자 모리스 윌킨스

댓글 0 | 조회 6,735 | 2013.10.09
모리스 윌킨즈가 누구인가 하실 분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크릭(Francis Crick: 1916-2004)과 왓슨(James Watson: 1928-) 이라고… 더보기

최초의 마오리 지질학자, 마틴 테 풍아(Ⅱ)

댓글 0 | 조회 2,324 | 2013.09.25
마틴 테 풍아에 대한 제 2편이라기 보다는 그의 아들과 아내 그리고 아이에 대한 이야기가 2편을 이룬다. 올해 3월 가을(아직도 계절을 거꾸로 돌리는 것이 익숙치… 더보기

최초의 마오리 지질학자, 마틴 테 풍아(Ⅰ)

댓글 0 | 조회 2,405 | 2013.09.11
웰링턴에서 차로 20분 정도 북쪽으로 가면 헛 밸리(Hutt Valley)가 나온다. 한때는 원시림이었다던 그곳에는 로어 헛(Lower Hutt)이라는 도시가 들… 더보기

재난대비

댓글 0 | 조회 2,004 | 2013.08.28
작년 12월, 웰링턴에서 칼리지를 다니던 조카가 2년여의 유학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갔다. 서울 도심지에서 물 좋은 가평으로 전 가족이 이사를 가게 되어 그 … 더보기

추억의 영화관

댓글 0 | 조회 3,399 | 2013.08.13
뉴질랜드만큼 노인들이 극장을 찾는 일이 자연스러운 곳도 없는 듯하다. 게다가 그 극장이라는 곳들이 리딩 시네마처럼 최신식의 설비를 갖춘 곳을 제외하면, 처음 건축… 더보기

시드니 소감

댓글 0 | 조회 2,994 | 2013.07.24
가족 상봉을 위해 애 셋을 데리고 시드니에 왔다. 여행 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호주에 이민 온 친구 집을 늘 내 집(!)처럼 이용한다. 친구 부부는 4년 전, 그러… 더보기

남섬에서 찾은 역사적 지진의 흔적들

댓글 0 | 조회 2,064 | 2013.07.10
▲ 1921년 머치슨 지진 ‘전력대란’ 편으로 잠시 중단되었던 남섬 기행을 계속해보자. 뉴질랜드는 지진이 잦은 나라다. 대충 알고 왔다가 1… 더보기

전력대란

댓글 0 | 조회 1,949 | 2013.06.26
폭풍과 전력대란 얘기를 해야겠다. 간혹 오클랜드 일부 지역 혹은 남섬의 넬슨 지역이 폭우와 강한 돌풍으로 인해 전력 공급이 끊겼다는 소식을 저 먼동네 얘기로만 들… 더보기

프란츠 조셉 빙하와 헬리콥터투어

댓글 0 | 조회 5,071 | 2013.06.12
<빙하입구에 선 큰 애> 남섬 여행의 백미중의 하나가 죠셉 글레이셔가 아닐까 싶다. 사실, 빙하를 직접 가까이 가서 보기 전에는, 그러니까 사진으로 처… 더보기

헤브락(Havelock)과 물리학자 러더포드

댓글 0 | 조회 2,278 | 2013.05.29
북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남섬을 여행하기 위해선 국내선 비행기 혹은 페리를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요트나 보트를 가지고 있다면 항해하는 방법도 있다.… 더보기

앤작데이(ANZAC DAY) 유감

댓글 0 | 조회 2,478 | 2013.05.15
<뉴질랜드 병사 6.25 참전비, 가평> 얼마전 일간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이곳 키위들은 와이탕이데이(Waitangi Day)보다 앤작데이(… 더보기

페더스톤과 일본군 포로 수용소 (Ⅱ)

댓글 0 | 조회 2,259 | 2013.04.24
▶ 좌측으로부터 진혼석, 벗꽃동산, 녹나무(camphor tree), 당시 사망한 뉴질랜드병사의 묘지석 지난회에 페더스톤의 일본군 포로수용소에 얽힌 비극적 이야기… 더보기

페더스톤과 일본군 포로 수용소 (Ⅰ)

댓글 0 | 조회 2,433 | 2013.04.09
<출처: Masterton District Library and Wairarapa Archive,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 더보기

한국의 카메라 박물관과 알렉산더 맥카이

댓글 0 | 조회 2,337 | 2013.03.27
▶ 알렉산더 맥카이 (Alexander McKay: 1841-1910) 한국 과천에 가면 (4호선 어린이대공원역 4번 출구 바로 앞 건물) 사진작가이자 수십년간 … 더보기

외규장각 도서와 박병선 박사-제 2편

댓글 0 | 조회 2,338 | 2013.03.13
지난 번에 소개한 ‘직지’와 박병선 박사의 이야기를 이어 소개하고자 한다. 앞서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당시 프… 더보기
Now

현재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과 박병선 박사-제 1편

댓글 0 | 조회 2,138 | 2013.02.27
1990년대 초반으로 기억한다. 영어 공부를 위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주한미군방송인 AFKN을 시청하던 중이었다. 프로그램 이름은 ‘Jeopa… 더보기

세계 유일 폰 박물관과 석주명

댓글 0 | 조회 2,291 | 2013.01.31
한국을 여행 중이다. 이번 여행의 주제는 박물관기행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전국의 박물관을 훑고 있다. 제주도에 박물관이 무려 100여개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 더보기